팥 종실은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는데 30시간 내외의 긴시간이 소요되어 팥 이용 측면에서 주요 제한 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수분흡수 특성 연구는 팥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중요한 분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25568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7-174(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팥 종실은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는데 30시간 내외의 긴시간이 소요되어 팥 이용 측면에서 주요 제한 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수분흡수 특성 연구는 팥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중요한 분야...
팥 종실은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는데 30시간 내외의 긴시간이 소요되어 팥 이용 측면에서 주요 제한 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수분흡수 특성 연구는 팥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중요한 분야이다. 본 연구는 국내산 팥의 가속화 저장에따른 미세구조 및 수분흡수 특성을 분석하여 수침 시간 단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팥의 저장은 대조구(control)인 저온(4°C), 상온(25°C) 및 가속화 고온(45°C)의 세 조건에서 3개월 동안 수행하였다.
1. 발아율, 지방산가, 적색도(a*) 및 황색도(b*) 값은 저장전 대비 3개월 후, 대조구(control)인 저온(4°C) 저장 팥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가속화 고온(45°C)에서는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특히 가속화 고온(45°C) 조건에서 3개월 동안 저장한 팥은 발아율이 0%까지 감소하고, 지방산가는 초기 10.43 mg KOH/100 g에서 33.63 mg KOH/100 g까지 증가하는 등 품질 저하가 유의적으로 일어났다.
2. 저장 3개월 후, 종실의 배꼽, 종피, 자엽의 미세구조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가속화 고온(45°C) 조건에서만 배꼽의 구멍과 찢어진 틈 등의 손상이 있었고, 종피와 자엽 사이의 틈이 벌어지는 변화가 있었으나 자엽자체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저장 온도별 3개월 저장 시료를 대상으로 수분흡수 kinetic 을 분석한 결과, 대조구(control)인 저온 조건(4°C) 대비가속화 고온(45°C)에서는 팥 종실의 평형수분함량은 낮았으나, 평형수분함량의 50%에 도달하는 시간은 짧고, 수분흡수 속도는 빨랐다.
4. 팥의 수분흡수 특성은 종실의 미세구조 특성과 밀접한관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며, 가속화 고온(45°C) 조건의 저장 팥에서 관찰되는 배꼽의 구멍 및 손상, 종피와자엽 사이의 틈 등 미세구조의 변화가 수분흡수 시간과속도를 단축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미세구조의 변화와 평형수분함량과의 관계는 명확한 설명이 되지 않아 이와 관련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structure and water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dzuki bean (Vigna angularis L.) cultivar under accelerated storage. The germination rate, acid valu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showed no si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structure and water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dzuki bean (Vigna angularis L.) cultivar under accelerated storage. The germination rate, acid valu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three months of storage compared to pre-storage under low temperatures (4°C).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under accelerated high temperatures (45°C). In particular, after storage for three months, the germination rate and acid value were 0% and 33.63 mg KOH/100g, respectively, under accelerated high temperatures.
After storage for three months, the holes, hilum damage, and spaces between the seed coat and cotyledon shortened the time and speed of water absorption under accelerated high temperatures compared to that under low temperatures. Conversel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reason for the low rate of parallel water absorp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충기 ; 오병현 ; 나종민 ; 신동화, "한국산 및 중국산 팥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5 (35): 551-555, 2003
2 송석보 ; 서혜인 ; 고지연 ; 이재생 ; 강종래 ; 오병근 ; 서명철 ; 윤영남 ; 곽도연 ; 남민희 ; 우관식, "품종에 따른 팥 앙금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121-1127, 2011
3 이진영 ; 우관식 ; 서정현 ; 이유영 ; 이병원 ; 김미향 ; 강문석 ; 김현주, "재배지역에 따른 검정콩의 이화학적 품질 및 생리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50 (50): 29-35, 2021
4 노창우 ; 손석용 ; 홍성택 ; 이경희 ; 유인모, "재래종 팥의 작물학적 형질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 16 (16): 37-42, 2003
5 송석보 ; 고지연 ; 우관식 ; 최명은 ; 추지호 ; 하태정 ; 한상익 ; 곽도연, "쓰러짐에 강하고 수량성이 우수한 팥 품종 ‘홍진’" 한국육종학회 51 (51): 523-528, 2019
6 김홍열 ; 양창인 ; 최용환 ; 원용재 ; 이영태, "벼 생태형별 저장기간에 따른 종자 발아율 및 이화학적 특성변화" 한국작물학회 52 (52): 375-379, 2007
7 김기영 ; 이건미 ; 노광일 ; 하기용 ; 손지영 ; 김보경 ; 고재권 ; 김정곤, "벼 고온저장시 발아율, 지방산도 및 Lipoxygenase 활성의 품종간 차이" 한국작물학회 52 (52): 29-35, 2007
8 오선민 ; 조영제 ; 천아름 ; 곽지은 ; 오유근 ; 김미정 ; 송석보 ; 최인덕, "국내산 팥의 품종별 종실 및 수분흡수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53 (53): 607-612, 2021
9 Sopade, P., "The use of Peleg’s equation to model water absorption in some cereal grains during soaking" 15 : 269-283, 1992
10 Yousif, A. M., "The effect of storage time and conditions on the hardness and cooking quality of Adzuki (Vigna angularis L.) beans" 34 (34): 338-343, 2002
1 김충기 ; 오병현 ; 나종민 ; 신동화, "한국산 및 중국산 팥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5 (35): 551-555, 2003
2 송석보 ; 서혜인 ; 고지연 ; 이재생 ; 강종래 ; 오병근 ; 서명철 ; 윤영남 ; 곽도연 ; 남민희 ; 우관식, "품종에 따른 팥 앙금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121-1127, 2011
3 이진영 ; 우관식 ; 서정현 ; 이유영 ; 이병원 ; 김미향 ; 강문석 ; 김현주, "재배지역에 따른 검정콩의 이화학적 품질 및 생리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50 (50): 29-35, 2021
4 노창우 ; 손석용 ; 홍성택 ; 이경희 ; 유인모, "재래종 팥의 작물학적 형질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 16 (16): 37-42, 2003
5 송석보 ; 고지연 ; 우관식 ; 최명은 ; 추지호 ; 하태정 ; 한상익 ; 곽도연, "쓰러짐에 강하고 수량성이 우수한 팥 품종 ‘홍진’" 한국육종학회 51 (51): 523-528, 2019
6 김홍열 ; 양창인 ; 최용환 ; 원용재 ; 이영태, "벼 생태형별 저장기간에 따른 종자 발아율 및 이화학적 특성변화" 한국작물학회 52 (52): 375-379, 2007
7 김기영 ; 이건미 ; 노광일 ; 하기용 ; 손지영 ; 김보경 ; 고재권 ; 김정곤, "벼 고온저장시 발아율, 지방산도 및 Lipoxygenase 활성의 품종간 차이" 한국작물학회 52 (52): 29-35, 2007
8 오선민 ; 조영제 ; 천아름 ; 곽지은 ; 오유근 ; 김미정 ; 송석보 ; 최인덕, "국내산 팥의 품종별 종실 및 수분흡수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53 (53): 607-612, 2021
9 Sopade, P., "The use of Peleg’s equation to model water absorption in some cereal grains during soaking" 15 : 269-283, 1992
10 Yousif, A. M., "The effect of storage time and conditions on the hardness and cooking quality of Adzuki (Vigna angularis L.) beans" 34 (34): 338-343, 2002
11 Li, P., "Study on water absorption kinetics of black beans during soaking" 283 : 110030-, 2020
12 Pomeranz, Y., "Storage of Cereal Grains and Their Products"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55-141, 1992
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tandard agricultural manuals for adzuki bean cultivation"
14 Han, J. G., "Shelf-life prediction of brown rice in laminated pouch by n-hexanal and fatty acids during storage" 25 : 643-648, 1996
15 Karunakaran, C., "Safe storage time of high moisture wheat" 37 : 303-312, 2001
16 Nithya, U., "Safe storage guidelines for durum wheat" 47 : 328-333, 2011
17 Kon, S., "Phytate content and its effect on cooking quality of beans" 5 (5): 169-178, 1981
18 Kaptso, K., "Physical properties and rehydration kinetics of two varieties of cowpea (Vigna unguiculata) and bambara groundnuts (Voandzeia subterranea) seeds" 86 : 91-99, 2008
19 AOAC International,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ternational 2000
20 Oliveira, A. L., "Modeling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hydration kinetic of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118 : 417-420, 2013
21 Deshpande, S., "Microstructure and water uptake of phaseolus and winged beans" 51 : 1218-1223, 1986
22 Hatai, A., "Influences of storage temperatures on characteristics of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Ohwi et Ohashi" 33 (33): 579-584, 1982
23 Antunes, P. L., "Influence of time and conditions of storage on technolog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a dry bean (Phaseolus vulgaris, L.) variety Rosinha G2" 44 : 1703-1706, 1979
24 Miano, A. C., "Enhancing the hydration process of common beans by ultrasound and high temperatures: Impact on cooking and thermodynamic properties" 225 : 53-61, 2018
25 Miano, A. C., "Enhancing mung bean hydration using the ultrasound technology: description of mechanisms and impact on its germination and main components" 6 : 1-14, 2016
26 White, N. D. G.,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quality loss of hull-less and hulled oats and barley" 79 : 475-482, 1999
27 Yousif, A., "Effect of storage on the biochemical structure and processing quality of adzuki bean (Vigna angularis)" 23 : 1-33, 2007
28 Oh, S. M.,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L.) under dry state-Analyzing microstructure, water absorp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11 (11): 1653-, 2022
29 Mills, J. T., "Cereal Grain Quality" Chapman & Hall 441-478, 1996
30 Turhan, M., "Application of Peleg model to study water absorption in chickpea during soaking" 53 : 153-159, 2002
31 MAFRARK,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2021
중국 단동 지역에서 국내 벼 품종의 출수 반응과 적응 출수생태 특성
대기온도와 CO2 농도 증가에 따른 우점잡초 깨풀의 제초제 약효 및 콩 약해 변화§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from Tongil-type Rice Varie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