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범주성장애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결함,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관심·활동의 패턴이 주요 증상인 장애로, 1990년대 까지만 해도 출현율이 낮은 장애에 속...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211112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다문화학과 , 2016. 8
2016
한국어
331.59 판사항(21)
인천
Employment and Social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v, 94 p. ; 26cm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영선
참고문헌 : p.81-8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폐범주성장애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결함,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관심·활동의 패턴이 주요 증상인 장애로, 1990년대 까지만 해도 출현율이 낮은 장애에 속...
자폐범주성장애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결함,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관심·활동의 패턴이 주요 증상인 장애로, 1990년대 까지만 해도 출현율이 낮은 장애에 속했으나 최근 전 세계적으로 출현율이 급증하고 있다. 자폐범주성장애는 전 생애에 걸쳐 지속되며, 대부분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교육과 훈련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들어 자폐범주성장애인의 성인기 삶과 관련한 문제들이 이슈화 되며 이전과 비교해 이들의 고용, 여가, 지역사회 참여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성인기의 자립생활을 위한 고용 지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폐범주성장애 성인들이 고용과 고용유지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서 중요한 언어·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초점을 맞춘 지원과 비장애인 동료들의 장애 수용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지원의 필요성이 매우 높은데 그 동안의 지원 방향과 내용은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직장생활 등 사회 참여 상황에서 경험하는 상호작용,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과 관련된 연구도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직장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자폐범주성장애 성인들이 고용환경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사회적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자폐범주성장애인이 고용환경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 논의를 통해 효율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고용 영역에 참여하고 있는 자폐범주성장애인 4명, 이들의 직장동료 4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진행했고, 고용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경험에 초점을 두고 면담 자료의 내용을 분석하여, 최종 4개의 대주제를 도출했다. 4개의 대주제는 자폐범주성장애인에게 직장의 의미, 자폐범주성장애인의 직장생활, 고용환경에서 경험하는 자폐범주성장애인의 업무 측면의 커뮤니케이션, 관계 측면의 커뮤니케이션이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 다섯 가지로 요약 할 수 있겠다.
첫째,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에게 직장은 사회·경제활동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 현재 삶에 만족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폐범주성장애 특성이 연구 참여자들의 직장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직장생활의 지속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배려와 함께 자폐범주성장애인의 생애 주기 전반에 걸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고용환경에서 경험하는 자폐범주성장애인의 커뮤니케이션은 낮은 기대수준 설정과 평가기준의 차이를 이유로, 업무와 관련해서는 특별한 어려움이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고용환경에서 경험하는 자폐범주성장애인의 관계 측면의 커뮤니케이션은 같은 부서 동료, 다른 부서 동료, 외부인과 재학생 이렇게 세 관계의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었다. 고용 경험은 자폐범주성장애인과 직장동료 모두에게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왔다.
마지막으로는 자폐범주성장애인의 고용과 관련한 전반적인 지원요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자폐범주성장애 연구 참여자들은 현 상황에 주로 만족감만을 표현한 반면, 직장동료 연구 참여자들은 지원 요구에 대한 의견 제시가 많았다.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 성인들의 고용 증가, 그 과정에서 직면하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자폐범주성장애인 본인과 관련인의 관점에서 제기한데 의의가 있다. 향후 취업한 자폐범주성장애인들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과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방안이 연구되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