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진오, "한국 여성사 깊이 읽기" 푸른역사 2013
2 왕현종, "한국 근대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 역사비평사 2003
3 사키모토 히로코, "중국 민족주의의 신화" 지식의풍경 2006
4 "자선부인회잡지"
5 박맹수, "이단의 민중반란" 역사비평사 2008
6 장지연, "애국부인전" 광학서포 1907
7 손성준, "번역과 원본성의 창출: 롤랑부인 전기의 동아시아 수용 양상과 그 성격" 한국비교문학회 (53) : 109-142, 2011
8 정용화, "문명의 정치사상" 문학과지성사 2004
9 "라란부인전"
10 하야카와 노리요, "동아시아의 국민국가형성과 젠더-여성표상을 중심으로" 소명 2009
1 주진오, "한국 여성사 깊이 읽기" 푸른역사 2013
2 왕현종, "한국 근대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 역사비평사 2003
3 사키모토 히로코, "중국 민족주의의 신화" 지식의풍경 2006
4 "자선부인회잡지"
5 박맹수, "이단의 민중반란" 역사비평사 2008
6 장지연, "애국부인전" 광학서포 1907
7 손성준, "번역과 원본성의 창출: 롤랑부인 전기의 동아시아 수용 양상과 그 성격" 한국비교문학회 (53) : 109-142, 2011
8 정용화, "문명의 정치사상" 문학과지성사 2004
9 "라란부인전"
10 하야카와 노리요, "동아시아의 국민국가형성과 젠더-여성표상을 중심으로" 소명 2009
11 "독립신문"
12 김소영, "대한제국기 '국민' 형성론과 통합론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3 "대한매일신보"
14 노병희, "녀자소학수신서" 박문서관 1909
15 홍인숙, "근대계몽기 여성 담론" 혜안 2009
16 유연실, "근대 중국 언론에 나타난 朝鮮 여성의 形象" 호남사학회 (41) : 127-159, 2011
17 전성곤, "근대 일본의 젠더 이데올로기" 소명출판 2009
18 송인자, "개화기수신서에서의 성 정체성" 한국교육학회 41 (41): 3-74, 2003
19 宋仁子, "개화기 여성교육론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20 김수경, "개화기 여성 수신서에 나타난 근대와 전통의 교차" 한국문화연구원 20 : 99-137, 2011
21 유길준, "西遊見聞" 1895
22 "西友"
23 "西北學會月報"
24 "皇城新聞"
25 "畿湖興學會月報"
26 "家庭雜誌"
27 "女子指南"
28 "太極學報"
29 "大韓學會月報"
30 노연숙, "20세기 초 동아시아 정치서사에 나타난 ‘애국’의 양상" 한국현대문학회 (28) : 7-3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