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전기 소송 청탁과 처벌 개인 일기와 결송입안(決訟立案)을 중심으로 = Litigation Lobbying and Punishmen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ased on Ca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4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s of litigation lobbying in the mid-Joseon Dynasty, and how judges of justice dealt with litigation solicitation charges using real-life data, such as personal diaries and written judgments.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litigation lobby clients appearing in Mukjae Diary (默齋日記) according to status revealed that not only the yangban upper class but also commoners, slaves, and people of low status asked for convenience in litigation and asked for favorable judgments using their connections. The contents of the lobbying included not only the detailed procedure of the lawsuit, but also the direction of the judge’s trial and the content of the judgment. However, Lee Mun-gun (李文楗) and judges showed a cautious attitude toward lawsuits, and demonstrated a tendency not to easily accept lobbying.
      Meanwhile, there were no separate regulations for the punishment of litigation in the Joseon Dynasty. Litigation lobbying was punished in the name of the result of the solicitation, such as intentional miscalculation, and delay in litigation. However, punishment for litigation lobbying continued to be restricted in terms of the difficulty of proving solicitation and the atrophy of judgment rights. As a result, dispositions by personnel administration were more effective than legal penalties.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true or not, litigation lobbying acted as a weakness for bureaucrats, and bureaucrats adopted the method of avoiding litigation with moral responsibility to escape the charges.
      Since mutual assistance through personal connections was common in pre-modern society, solicitation in the Joseon Dynasty wa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life. However, in analyzing cases of litigation lobbying, negative perceptions, sanctions, and avoidance could be observed. In addition, politicians also made efforts to establish a rational legal system to solve the litigation request problem. This illustrates the Joseon Dynasty’s awareness of the issue of litigation and its efforts to solve it.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s of litigation lobbying in the mid-Joseon Dynasty, and how judges of justice dealt with litigation solicitation charges using real-life data, such as personal diaries and written judgments.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s of litigation lobbying in the mid-Joseon Dynasty, and how judges of justice dealt with litigation solicitation charges using real-life data, such as personal diaries and written judgments.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litigation lobby clients appearing in Mukjae Diary (默齋日記) according to status revealed that not only the yangban upper class but also commoners, slaves, and people of low status asked for convenience in litigation and asked for favorable judgments using their connections. The contents of the lobbying included not only the detailed procedure of the lawsuit, but also the direction of the judge’s trial and the content of the judgment. However, Lee Mun-gun (李文楗) and judges showed a cautious attitude toward lawsuits, and demonstrated a tendency not to easily accept lobbying.
      Meanwhile, there were no separate regulations for the punishment of litigation in the Joseon Dynasty. Litigation lobbying was punished in the name of the result of the solicitation, such as intentional miscalculation, and delay in litigation. However, punishment for litigation lobbying continued to be restricted in terms of the difficulty of proving solicitation and the atrophy of judgment rights. As a result, dispositions by personnel administration were more effective than legal penalties.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true or not, litigation lobbying acted as a weakness for bureaucrats, and bureaucrats adopted the method of avoiding litigation with moral responsibility to escape the charges.
      Since mutual assistance through personal connections was common in pre-modern society, solicitation in the Joseon Dynasty wa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life. However, in analyzing cases of litigation lobbying, negative perceptions, sanctions, and avoidance could be observed. In addition, politicians also made efforts to establish a rational legal system to solve the litigation request problem. This illustrates the Joseon Dynasty’s awareness of the issue of litigation and its efforts to solve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개인 일기와 결송입안(決訟立案) 등 실생활 자료에 나타난 조선 전기의 소송청탁 양상과 소송청탁 관련 규정을 통한 처벌방식, 소송청탁 혐의에 임하는 송관(訟官)들의 대처방식에 대해 살펴본 논문이다. 『묵재일기』 속 소송 청탁인의 신분별 분포를 볼 때 양반뿐 아니라 양민, 노비 및 천민도 인맥을 통해 소송에서 편의를 부탁하고유리한 판결을 얻기 위한 청탁 활동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 청탁 내용은 소송의 세부적 절차뿐 아니라 관의 심리 방향, 판결내용까지 포함되었다. 그러나 이문건이나 송관들은 소송청탁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쉽게 수락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조선시대 소송청탁 처벌은 단독 규정이 마련되지 않았다. 소송청탁은 청탁으로인해 발생하는 현상 즉 고위 관료의 사가(私家) 출입 금지, 고의적 오결(誤決) 및 소송지연 등을 명분으로 처벌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소송청탁의 처벌은 청탁 입증의 어려움, 송관의 판결권 위축이라는 점에서 제약이 뒤따랐다. 이에 따라 실제 소송에서 소송청탁의 제재는 법률적 처벌보다는 인사행정에 따른 처분이 더 유효한 방식이었다. 소송청탁혐의는 사실 여부를 떠나 관료에게 약점으로 작용하였고, 관료들은 혐의를 벗어나기 위해 도덕적 책임을 지고 소송을 회피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전근대사회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부조가 일상적이었기 때문에 조선시대의청탁은 생활의 필수요건이었으나, 소송청탁 사례를 분석해 볼 때 부정적 인식 및 제재와기피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위정자들도 소송청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리적 법률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조선시대의 소송청탁에 대한 문제의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살펴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개인 일기와 결송입안(決訟立案) 등 실생활 자료에 나타난 조선 전기의 소송청탁 양상과 소송청탁 관련 규정을 통한 처벌방식, 소송청탁 혐의에 임하는 송관(訟官)들의 대처방식...

      이 논문은 개인 일기와 결송입안(決訟立案) 등 실생활 자료에 나타난 조선 전기의 소송청탁 양상과 소송청탁 관련 규정을 통한 처벌방식, 소송청탁 혐의에 임하는 송관(訟官)들의 대처방식에 대해 살펴본 논문이다. 『묵재일기』 속 소송 청탁인의 신분별 분포를 볼 때 양반뿐 아니라 양민, 노비 및 천민도 인맥을 통해 소송에서 편의를 부탁하고유리한 판결을 얻기 위한 청탁 활동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 청탁 내용은 소송의 세부적 절차뿐 아니라 관의 심리 방향, 판결내용까지 포함되었다. 그러나 이문건이나 송관들은 소송청탁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쉽게 수락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조선시대 소송청탁 처벌은 단독 규정이 마련되지 않았다. 소송청탁은 청탁으로인해 발생하는 현상 즉 고위 관료의 사가(私家) 출입 금지, 고의적 오결(誤決) 및 소송지연 등을 명분으로 처벌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소송청탁의 처벌은 청탁 입증의 어려움, 송관의 판결권 위축이라는 점에서 제약이 뒤따랐다. 이에 따라 실제 소송에서 소송청탁의 제재는 법률적 처벌보다는 인사행정에 따른 처분이 더 유효한 방식이었다. 소송청탁혐의는 사실 여부를 떠나 관료에게 약점으로 작용하였고, 관료들은 혐의를 벗어나기 위해 도덕적 책임을 지고 소송을 회피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전근대사회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부조가 일상적이었기 때문에 조선시대의청탁은 생활의 필수요건이었으나, 소송청탁 사례를 분석해 볼 때 부정적 인식 및 제재와기피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위정자들도 소송청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리적 법률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조선시대의 소송청탁에 대한 문제의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살펴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홍, "청탁금지법과 관련한조선시대 奔競 금지의 시사점" 한국법사학회 (55) : 9-34, 2017

      2 임상혁, "조선전기 민사소송과 소송이론의 전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 이정철, "조선시대 일기의 탄생" 65-, 2021

      4 한상권, "조선시대 소송에서의 忌避와 回避" 한국고문서학회 49 : 1-26, 2016

      5 심희기, "조선시대 결송입안집성" 민속원 2022

      6 한상권, "조선시대 詞訟에서의 誤決과 再訟" 한국고문서학회 51 : 113-144, 2017

      7 李成妊, "조선 중기 양반관료의 ‘稱念’에 대하여" 조선시대사학회 (29) : 47-74, 2004

      8 정긍식, "잊혀진 법학자 신번: 譯註 大典詞訟類聚" 민속원 2012

      9 박병호, "소송과 분경" 한국사법행정학회 23 (23): 1982

      10 이광린, "분경금지법의 제정과 그 변천에 대하여" 4 : 99-109, 1959

      1 김대홍, "청탁금지법과 관련한조선시대 奔競 금지의 시사점" 한국법사학회 (55) : 9-34, 2017

      2 임상혁, "조선전기 민사소송과 소송이론의 전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 이정철, "조선시대 일기의 탄생" 65-, 2021

      4 한상권, "조선시대 소송에서의 忌避와 回避" 한국고문서학회 49 : 1-26, 2016

      5 심희기, "조선시대 결송입안집성" 민속원 2022

      6 한상권, "조선시대 詞訟에서의 誤決과 再訟" 한국고문서학회 51 : 113-144, 2017

      7 李成妊, "조선 중기 양반관료의 ‘稱念’에 대하여" 조선시대사학회 (29) : 47-74, 2004

      8 정긍식, "잊혀진 법학자 신번: 譯註 大典詞訟類聚" 민속원 2012

      9 박병호, "소송과 분경" 한국사법행정학회 23 (23): 1982

      10 이광린, "분경금지법의 제정과 그 변천에 대하여" 4 : 99-109, 1959

      11 "대법원 2003.7.11. 선고 99다24218 판결"

      12 박병호, "근세의 법과 법사상" 진원 1996

      13 정긍식, "국역 묵재일기" 경인문화사 2019

      14 "續大典"

      15 "經國大典"

      16 "經世遺表"

      17 "眉巖日記"

      18 "燃藜室記述"

      19 "朝鮮王朝實錄"

      20 吳甲均, "朝鮮時代 司法機構와 運營에 관한 硏究"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0

      21 "書經集傳"

      22 "星湖全集"

      23 "日省錄"

      24 "新補受敎輯錄"

      25 박병호, "奔競禁止法" 한국사법행정학회 23 (23): 1982

      26 "各司受敎"

      27 정구복, "『決訟類聚補』 解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28 김현영, "16세기 한 양반의 일상과 재지사족: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8 : 63-102,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5-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2 1.31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