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인삼정과의 제조에 있어 당 종류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85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삼정과 제조 시 물성학적 품질을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sucrose, glucose, honey 및 fructose 등 4종의 당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인삼정과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 물성 및 색도를 ...

      인삼정과 제조 시 물성학적 품질을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sucrose, glucose, honey 및 fructose 등 4종의 당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인삼정과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 물성 및 색도를 기계적인 측정치와 관능요원들의 평가치에 의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성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Rf가 당 종류종별에 따라 각기 함량에 큰 차이를 보여 sucrose로 제조한 인삼정과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glucose>honey>fructose의 순으로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검출된 7종의 진세노사이드의 총 함량은 sucrose로 제조한 인삼정과가 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glucose>honey>fructose의 순으로 높아 fructose로 제조한 인삼정과가 가장 낮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Hardness와 adhesiveness가 가장 높은 것은 fructose를 이용하여 제조한 정과이었고 stiff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및 springiness는 honey를 이용하여 제조한 정과이었으며 fracture force는 당 종류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다. 당 종류별 정과제품의 편차는 honey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제품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정과의 색도 중밝기,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sucrose에서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가 가장 낮은 것은 glucose, 황색도는 fructose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과제조 시 당의 종류 중 fructose 함량이 높을수록 갈색화가 크게 일어남을 볼 수 있었다. 관능평가에서는 honey를 이용한 인삼정과가 조직도와 전체적인 기호 도면에서 가장 좋았으며 fructose를 이용한 정과는 조직도면에서 기호도가 가장 낮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obtained by treatments with different sugars. Ginseng Jung Kwa was made with four different sugars (sucrose, glucose, honey and fructose). Chemical characteristi...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obtained by treatments with different sugars. Ginseng Jung Kwa was made with four different sugars (sucrose, glucose, honey and fructose). Chemical characteristic was measured by ginsenosides content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rheometer and color meter. Total ginsenoside and Rf contents on Ginseng Jung Kwa by sucrose were highest at 10.0, and 7.82 ㎎/g, respectively. On ginseng Jung Kwa by fructose, total ginsenoside content was the lowest, and hardness and adhesiveness were the highest, and by honey, stiff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and springiness were the highest, and fracture force did not appear 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reatment of different sugars. Coefficient of variance on ginseng Jung Kwa by honey was the highest. On ginseng Jung Kwa by sucrose, colo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all were the highest. Browning on Jung Kwa by fructose was the greatest. Sensory evaluation preference analysis (color, taste, textur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n ginseng Jung Kwa were determined by 50 panelists (30~50's age) using 5-point scale. On ginseng Jung Kwa by honey,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the best. Ginseng Jung Kwa by fructose was very sticking and adhering, so preference by sensory evaluation was inferior to ot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가순, "인삼정과 제조과정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87-593, 2009

      2 이가순, "원적외선 건조온도에 따른 백삼의 주근과 세근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6 (16): 211-217, 2008

      3 권후자,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도라지와 연근 정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53-59, 2009

      4 신승렬, "마스낵 제조를 위한 당절임 공정의 최적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0 (10): 320-325, 2003

      5 백진경, "당침시간을 달리한 인삼정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792-798, 2006

      6 박미란, "당 첨가량에 따른 송이정과의 물성 및 관능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95-701, 2006

      7 신용목, "가열 조건이 모델 경질형 캔디의 물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0 (10): 125-130, 2006

      8 Hwang TY, "The effects of microwave heating on the texture of sugared chestnuts" 30 : 569-573, 1998

      9 Kim HJ, "The effect of honey concentration on the quality of honeyed ginseng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honeyed ginseng" 9 : 128-134, 1985

      10 Yudkin J, "Sugar-Chemical, 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Sucrose" Butterworth 1973

      1 이가순, "인삼정과 제조과정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87-593, 2009

      2 이가순, "원적외선 건조온도에 따른 백삼의 주근과 세근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6 (16): 211-217, 2008

      3 권후자,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도라지와 연근 정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53-59, 2009

      4 신승렬, "마스낵 제조를 위한 당절임 공정의 최적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0 (10): 320-325, 2003

      5 백진경, "당침시간을 달리한 인삼정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792-798, 2006

      6 박미란, "당 첨가량에 따른 송이정과의 물성 및 관능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95-701, 2006

      7 신용목, "가열 조건이 모델 경질형 캔디의 물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0 (10): 125-130, 2006

      8 Hwang TY, "The effects of microwave heating on the texture of sugared chestnuts" 30 : 569-573, 1998

      9 Kim HJ, "The effect of honey concentration on the quality of honeyed ginseng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honeyed ginseng" 9 : 128-134, 1985

      10 Yudkin J, "Sugar-Chemical, 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Sucrose" Butterworth 1973

      11 Xiang GL, "Studies on the transforming mechanism of amino acid components in ginseng in the course of ginseng processing" 16 : 64-67, 1992

      12 Lee HG,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Wax gourd Jung Kwa by different recipes" 17 : 412-420, 2001

      13 Kim KO, "Sensory Evaluation and Application" Shinkwang 207-225, 1993

      14 John M, "Principles of Food Chemistry" AVI Publ, Co. 135-155, 1976

      15 Yukinaga M, "Isola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 new acid derivative from Korean red ginseng" 18 : 204-211, 1994

      16 Lee TW, "Instrument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lly" 23 : 336-340, 1991

      17 Lee KS, "Effects of amino acids and sugars on the maillard browning reactions during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of red ginseng" 14 : 117-121, 1990

      18 Lee JS, "Effect of repeated heat-process on content of arginyl-fructose, arginyl-fructosyl-glucose and bioactivities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Hannam University 2010

      19 Kim ES, "Effect of honeyed ginseng on growth and biochemical components of rats" 24 : 559-570, 1990

      20 Lee KS,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s and free amino acids in ginseng and ginseng solution during the Jung Kwa process" 3 : 58-64, 2009

      21 Cho SH, "A study on ingredients preparation method of lotus root Jung Kwa" 13 : 42-50, 1984

      22 Lee CH, "A literature review on tradition Korean cookies, Nankwa" 2 : 55-69, 1987

      23 Cho SH, "A historical research on "Kha-Jung" Korean traditional cooki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1991

      24 농림수산식품부 식량원예정책관실, "2009년 인삼통계자료집" 77-7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