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WTO時代 職業技術 敎育의 課題와 方向  :  공업계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 The Direction and Subject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under the World Trade of Organization-A Case Study of Technical Junior Colle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04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문대학이 과거 노동집약적 산업을 주축으로 공업화를 추진하던 '70년대의 직선형 단기학제의 종국적인 중견직업인 양성교육으로 충족되기에는 최근의 기술·공학의 급속한 발전, WTO체제�...

      전문대학이 과거 노동집약적 산업을 주축으로 공업화를 추진하던 '70년대의 직선형 단기학제의 종국적인 중견직업인 양성교육으로 충족되기에는 최근의 기술·공학의 급속한 발전, WTO체제가 출범함에 따른 국제경쟁의 가속화, 산업구조의 고도화 과정에서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전문기술 인력 양성을 위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교육 수요자 측의 냉엄한 비판을 받고 있는 현 상황과, 교육시장 개방에 대비하여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대학교육 개혁의 일환에 부응하여 직업기술 교육에 대한 문제점의 검토와 개선방향을 살펴보는 것은 硏究意義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현대 국가간의 경쟁은 비단 가격경쟁만이 아니라 우수한 제품의 생산을 통한 품질 경영과 가치혁신에 있다고 할 때 과학기술 인력의 개발자 및 기술문화의 창조자로서 전문대학의 사명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고의 연구목적은 우선, 우리 나라 기술인력의 양성구조와 특성을 통한 수요전망을 살펴보고 특히 중견기술인 양성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전문대 직업교육의 위상과 과제 등 인력개발 실태를 개관하였으며, 다음으로 교육 수요자의 선택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전문대직업기술 교육이 대학선택의 대안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산업인력의 부족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 데 있으며, 마지막으로는, 대학과 산업체 그리고 유관기관이 상호협력하여 직업기술 교육과 연구의 공동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 등을 고찰하는 데 있다.
      본고에 있어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Ⅰ장은 서론으로서 정보산업사회에서는 기술·공학의 고도화, 자동화, 소프트화의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인적자원, 그 중에서도 특히 고도의 기술과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 전문기술·기능인력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가고 있는 국제적인 추세속에서 지속적인 경제성장의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산업인력 개발의 중요성에 대한 문제의 제기와 연구의 의의에 대하여 고찰했다.
      제 Ⅱ장에서는 첫째, 최근 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산업인력 수급체제상의 심각한 불균형 문제를 어떻게 해소시킬 것인가 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80년대 후반부터 산업현장에서는 노사간의 대립과 기술·기능인력의 부족 및 적웅력의 문제가 심화되기 시작한 반면, 인문·사회계 고학력자들은 취업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기형적 취업난을 겪고 있다. 이것은 결국 사회·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 귀중한 교육자원과 시간적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술인력의 양적·질적인 수요 변화에 부응하는 전문대 기술인 양성안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둘째, 직업교육의 양성체제상 서구사회의 경우처럼 학제상 중학교 과정부터 조기에 직업 진로교육 체제를 실시하고 산업정보화 시대에 대비한 직업반의 비율이 높도록하는 둥의 교육문화 형성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70년대 공업화 전략의 필요에 따라 설정된 전문대 직업교육의 역할 내지 위상은,'95년부터 교육시장 개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쟁상황을 고려하여 2000년대의 사회·경제적 요구를 반영하는 새로운 전문직업 기술교육 기관으로 위상이 전환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교육서비스 수요자들은 급격한 기술·공학의 발달과 경제·경쟁환경의 변화로 직업교육 학제의 과감하고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제IV장에서는 전문대 직업기술 교육의 세계화 방향에 대하여 총론적으로 고찰한 다음에, 이를 좀더 구체화하는 형식으로 산학협동을 통한 바람직한 산업인력 양성안을 모색하였는데, 첫째, 대학과 기업간의 상호 공동관심사 구축에 기초한 호혜적 관계의 설정, 둘째, 산업체 위탁교육의 정상화, 셋째, 전문대학과의 특성에 따라 학제의 다양화가 추진되어 기존의 단기 완성, 종결교육이 아닌 개방체제로의 운영방안 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WTO 시대에 적합한 직업 교육은 WTO시대에 적응하는 산학협동을 통한 산업사회 전체 분위기 속에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문대학의 교육혁신은 세계화에 적응할 수 있는 직업기술 교육의 혁신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산업지향적인 건전한 기술교육 문화의 형성(도제 내지 장인정신의 갈구)이 요구되며, 또한 120여년 이상의 산업화 역사를 갖고 있는 서구 선진공업국에 비하면 기술교육에 대한 Know-how의 축적이 없는 상태에서 기술교육은 단계적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으며 교육주체(통산산업부의 기술대학, 노동부의 기능대학 설립)를 바꾼다고 교육혁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기존 대부분의 전문대는 교육경험을 15년 이상 축적해왔으며 사립중심의 교육투자도 그 동안 누적해 왔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직업기술 교육의 Synergy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교육투자 균형관리('94년의 경우 학생수와 학교수 등으로 볼 때 고둥교육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전문대의 재정지원 규모는 일반대의 1/10에 지나지 않음)와 획기적 재정지원책의 마련이 요원하다.
      한편으로,'80년대 후반 이후 인력부족이 심화되고 있는 제조업 분야에 노동력 유입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고용관행과 작업환경 개선 등 근로조건을 계속 향상시킴은 물론 기술계 직업에 대한 국민의식과 사회분위기가 우선 변화되어야 한다. 일례로서 기업에서 학력보다 능력 즉, 기술·기능자격증이 중요시되도록 자격증 소지자들이 승진과 임금면에서 우대되어야 할 것이다. 인력의 탄력적인 활용을 위하여 직업기술에 대한 계속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동일계열내의 일정한도 내에서 轉科制度와 副·複數專攻制度 등을 활성화하여 인력양성의 회임기간을 최소화 해야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序論 = 43
      • Ⅱ. 우리나라 技術人力 開發의 實態 = 45
      • Ⅲ. 職業技術 敎育의 課題와 方向 = 52
      • Ⅳ. 要約 및 結語 = 57
      • 목차
      • Ⅰ. 序論 = 43
      • Ⅱ. 우리나라 技術人力 開發의 實態 = 45
      • Ⅲ. 職業技術 敎育의 課題와 方向 = 52
      • Ⅳ. 要約 및 結語 = 57
      • Ⅴ. 參考文獻 = 6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