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남방언 남·여 화자의 영어 고모음 발화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82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nglish high vowels produced by South Kyungsang(SK) Korean (Busan dialect) speakers. The 10 SK Korean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5 male and 5 female university students. Eng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nglish high vowels produced by South Kyungsang(SK) Korean (Busan dialect) speakers. The 10 SK Korean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5 male and 5 female university student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experiment, /i/-/ɪ/ and /u/-/ʊ/, were acous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formant frequencies of the vowels using Praat speech analysis program. In order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SK Korean single vowels and standard Korean single vowels, the formant frequencies of 7 Korean single vowels /ㅏ/, /ㅔ/, /ㅣ/, /ㅗ/, /ㅜ/, /ㅡ/, /ㅓ/ were also measured using Praat. The collected data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compared to the formant frequencie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K Korean speakers have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English tense and lax pairs regardless of gender.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English high vowels, /i/, /ʊ/, /u/ between SK Korean speakers and standard Korean speakers. Third, in the case of Korean high vowels, the difference of F2 values between SK Korean speakers and standard Korean speakers is more than 100 Hz, especially in the Korean high back vowel /ㅜ/. These results show that each Korean dialect causes variance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English vowels and Korean vow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 연구
      • 3. 실험
      • 3.1. 연구 방법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 연구
      • 3. 실험
      • 3.1. 연구 방법
      • 3.2. 피실험자
      • 3.3. 분석
      • 4.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경,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원어민의 긴장 및 이완 모음 발화이해도: 고모음을 중심으로" 한국음운론학회 17 (17): 497-520, 2011

      2 박재일, "한국인 성인 화자의 영어 단모음 발화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분석"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 이현복, "한국어의 표준발음" 교육과학사 1989

      4 김평원, "포먼트(formant) 및 <표준 발음법>을 통한 국어 발음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5 구희산, "남?여 화자간의 영어모음 발음 연구" 한국음성과학회 12 (12): 1-1, 2005

      6 이호영, "국어 음성학" 태학사 1996

      7 이근열, "경남 방언의 음운론" 세종출판사 1997

      8 김영태, "경남 방언과 지명연구" 경남대출판부 1998

      9 박정수, "경남 방언 분화연구" 한국문화사 1999

      10 Flege, J. E., "Effects of Experience on Non-native Speaker’s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25 : 437-470, 1997

      1 이주경,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원어민의 긴장 및 이완 모음 발화이해도: 고모음을 중심으로" 한국음운론학회 17 (17): 497-520, 2011

      2 박재일, "한국인 성인 화자의 영어 단모음 발화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분석"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 이현복, "한국어의 표준발음" 교육과학사 1989

      4 김평원, "포먼트(formant) 및 <표준 발음법>을 통한 국어 발음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5 구희산, "남?여 화자간의 영어모음 발음 연구" 한국음성과학회 12 (12): 1-1, 2005

      6 이호영, "국어 음성학" 태학사 1996

      7 이근열, "경남 방언의 음운론" 세종출판사 1997

      8 김영태, "경남 방언과 지명연구" 경남대출판부 1998

      9 박정수, "경남 방언 분화연구" 한국문화사 1999

      10 Flege, J. E., "Effects of Experience on Non-native Speaker’s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25 : 437-470, 1997

      11 Peterson, G., "Control Methods used in a Study of Vowels" 24 : 175-184, 1952

      12 Ladefoged. P., "A Course in Phonetics" Harcourt 2006

      13 Ladefoged. P., "A Course in Phonetics" Cengage Learning 2011

      14 Yang, Byunggon,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Vowels Produced by Male and Female Speakers" 24 : 245-261,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5 0.877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