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62417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인천

      • 형태사항

        78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희연

      • 소장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경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인천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남 소재 S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Eyberg 아동행동검사를 통해 문제행동 심도점수가 127점, 문제행동 수가 11점 이상인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단계는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단계로 설정하였고, 기초선 단계에서는 대상 학생별로 총 5회기, 중재는 총 12회기, 일반화 단계에서는 총 3회기, 유지단계에서는 일반화가 종료된 3주 후에 총 3회기씩 실험을 실시하여 대상 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을 각각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관찰하고 수업참여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기간 등 전 실험회기에 걸쳐 수업시간 시작 후 10분까지 비디오로 녹화한 후 관찰시간을 15초 간격(10초 관찰 5초 기록)으로 나누어 기록하고, 이를 활용하여 학생행동관찰기록표작성을 통해 행동 발생 여부를 측정하였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수업시작 후 10분 동안 학생의 수업장면을 녹화한 후 관찰하여 하여 문제행동 및 수업참여행동을 측정하였다. 이 기간 동안 대상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이 안정세를 보일 때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수업시작 전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에 2분 동안 자신이 성공적으로 발표하는 모습을 담은 비디오를 시청하게 지도하였다. 비디오 자기모델링 자료는 연구 대상 학생이 바람직한 자세로 수업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을 2분으로 편집하여 사용하였다.
      일반화 단계에서는 중재가 종결된 후 대상학생이 중재를 통해 습득된 행동이 안정적으로 일반화 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기초선 단계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영어교실에서 연속 3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유지단계에서는 일반화가 종결되고 3주 후에 대상 학생이 중재를 통해 습득된 행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기초선 단계와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는 정서·행동장애위험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는 정서·행동장애위험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켰다.

      핵심어: 비디오 자기모델링,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 문제행동, 수업참여행동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남 소재 S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Eyberg ...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남 소재 S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Eyberg 아동행동검사를 통해 문제행동 심도점수가 127점, 문제행동 수가 11점 이상인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단계는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단계로 설정하였고, 기초선 단계에서는 대상 학생별로 총 5회기, 중재는 총 12회기, 일반화 단계에서는 총 3회기, 유지단계에서는 일반화가 종료된 3주 후에 총 3회기씩 실험을 실시하여 대상 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을 각각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관찰하고 수업참여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기간 등 전 실험회기에 걸쳐 수업시간 시작 후 10분까지 비디오로 녹화한 후 관찰시간을 15초 간격(10초 관찰 5초 기록)으로 나누어 기록하고, 이를 활용하여 학생행동관찰기록표작성을 통해 행동 발생 여부를 측정하였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수업시작 후 10분 동안 학생의 수업장면을 녹화한 후 관찰하여 하여 문제행동 및 수업참여행동을 측정하였다. 이 기간 동안 대상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이 안정세를 보일 때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수업시작 전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에 2분 동안 자신이 성공적으로 발표하는 모습을 담은 비디오를 시청하게 지도하였다. 비디오 자기모델링 자료는 연구 대상 학생이 바람직한 자세로 수업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을 2분으로 편집하여 사용하였다.
      일반화 단계에서는 중재가 종결된 후 대상학생이 중재를 통해 습득된 행동이 안정적으로 일반화 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기초선 단계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영어교실에서 연속 3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유지단계에서는 일반화가 종결되고 3주 후에 대상 학생이 중재를 통해 습득된 행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기초선 단계와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는 정서·행동장애위험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는 정서·행동장애위험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켰다.

      핵심어: 비디오 자기모델링,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 문제행동, 수업참여행동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articipants were three 6th grader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Seongnam city. They got a score of over 127 in the Eyberg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over 11 scores in problematic behaviors. As an experimental design, we used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consisted of 5 sessions of baseline, 12 sessions of intervention, 3 sessions of generalization, and 3 sessions of maintenance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We observed participants’ behaviors for 10 minute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and recorded the behaviors using 15 seconds time interval recording method(observation for 10 seconds observation and 5 seconds-recording).
      During the baseline, we recorded the lesson for 10 minutes after starting class and measured participants’ problematic behaviors and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without any intervention. When the data were stable,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During the intervention stage, participants watched video clips showing their successful performance with desirable attitude during break time and lunch time. The contents of video self-modeling were edited suitable to 2 minutes video play time.
      During the generalization stage, the same conditions as the baseline phrase were implemented for consecutive 3 sessions in the English classroom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acquired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had generalized in other class or not.
      After 3 weeks of terminating the generalization phrase, the maintenance stage was implement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acquired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were maintained or not.
      The results for this study presented that the video self-modeling invention decreased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increased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ey words: video self-modeli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roblem behavior,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articipants were three 6th graders from S elementary s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articipants were three 6th grader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Seongnam city. They got a score of over 127 in the Eyberg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over 11 scores in problematic behaviors. As an experimental design, we used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consisted of 5 sessions of baseline, 12 sessions of intervention, 3 sessions of generalization, and 3 sessions of maintenance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We observed participants’ behaviors for 10 minute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and recorded the behaviors using 15 seconds time interval recording method(observation for 10 seconds observation and 5 seconds-recording).
      During the baseline, we recorded the lesson for 10 minutes after starting class and measured participants’ problematic behaviors and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without any intervention. When the data were stable,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During the intervention stage, participants watched video clips showing their successful performance with desirable attitude during break time and lunch time. The contents of video self-modeling were edited suitable to 2 minutes video play time.
      During the generalization stage, the same conditions as the baseline phrase were implemented for consecutive 3 sessions in the English classroom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acquired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had generalized in other class or not.
      After 3 weeks of terminating the generalization phrase, the maintenance stage was implement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acquired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were maintained or not.
      The results for this study presented that the video self-modeling invention decreased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increased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ey words: video self-modeli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roblem behavior,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비디오 자기모델링 5
      • 2.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 13
      • 3. 문제행동 17
      • 4. 수업참여행동 22
      • Ⅲ. 연구방법 25
      • 1. 연구대상 25
      • 2. 연구설계 27
      • 3. 용어정의 27
      • 4. 연구도구 30
      • 5. 연구절차 31
      • 6. 자료수집 및 분석 36
      • Ⅳ. 연구결과 39
      • 1. 문제행동발생률 39
      • 2. 수업참여행동발생률 43
      • 3. 문제행동발생률과 수업참여행동발생률의 일반화 46
      • 4. 문제행동발생률과 수업참여행동발생률의 유지 47
      • Ⅴ. 논의 및 제언 49
      • 참고문헌 53
      • 부록 66
      • ABSTRACT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