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김경서 현창의 추이와 당대사적 의미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plored in this article is how Vice Commander(Bu-Weonsu) Kim Gyeong-seo, who joined the Shimha war only to be captured as a prisoner of war and later died in Hu-Geum, was commemorated posthumously, and why. At the Shimhar war, many Joseon soldiers...

      Explored in this article is how Vice Commander(Bu-Weonsu) Kim Gyeong-seo, who joined the Shimha war only to be captured as a prisoner of war and later died in Hu-Geum, was commemorated posthumously, and why.
      At the Shimhar war, many Joseon soldiers were either killed or captured. However, while the former were hailed as loyal victims and commemorated in the name of loyalty and dignity[忠節], the latter were condemned as traitors[逆節]. Case of Kim Gyeong-seo belonged to the latter, as he was criticized –along with Do-Weonsu(Supreme commander) Kang Hong-rib- just for the reason that he was captured. Compared to the ongoing praise of Kim Eung-ha who was known to have valiantly struggled and then got killed, the evaluation of Kim Gyeong-seo was quite harsh. Then, later the fact that Kim Gyeong-seo was actually killed by Hu-Geum was revealed and disclosed to the public, so his honor was reinstated along with his earlier position, and a new title was even bestowed posthumously. It seemed like his name was being finally cleared from that of a ‘surrenderer.’ Yet in reality, for quite some time, his reputation remained somewhat murky, between ‘loyal’ and ‘disloyal,’ as there was an opinion –supported by many- which believed while his case certainly merited a sympathetic reevaluation, the fact that he surrendered could not be ignored.
      But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sense of obligation to ‘honor the true master race(in this case, the Chinese Ming dynasty)’ began to form rather dominantly, and a new effort to commemorate Kim Gyeong-seo was initiated. He was hailed as a “Loyal vassal,” and in the 19th century he was even cited as a symbol to propagate an agenda of the time, which was to ‘uphold a righteous cause,’ commemorating Ming.
      In the process of his being reevaluated and newly honored, the evaluation of Gang Hong-rib, who was known to have surrendered to Hu-Geum with Kim, deteriorated. Gang’s surrender was defined as an act following former king Gwang’hae-gun’s secret order, and the Shimha battle was redefined as a battle that cost many lives in the name of honoring the true legitimate (Ming) dynasty. Such definitions were meant to strengthen Joseon’s new identity as the bearer of the Sino-centric traditions, while the dynasty itself was being forced to serve the ‘barbaric’ Q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 1. 김응하의 현창과 ‘양수투항’의 오명
      • 2. 김경서의 신원과 ‘양수’에 대한 인식 변화
      • 3. 김경서에 대한 현창과 존주대의의 표방
      • 맺음말
      • 머리말
      • 1. 김응하의 현창과 ‘양수투항’의 오명
      • 2. 김경서의 신원과 ‘양수’에 대한 인식 변화
      • 3. 김경서에 대한 현창과 존주대의의 표방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시모토 미오, "현재를 보는 역사, 조선과 명청" 너머북스 2014

      2 구범진,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민음사 [서울] 2012

      3 김유진, "죽음의 미화, 숭고의 미학 - 김응하 서사를 중심으로" 국문학회 (25) : 75-116, 2012

      4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5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일지사 1998

      6 지두환, "조선 병자호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한국학연구소 34 : 795-819, 2010

      7 민장원, "정조의 ‘충신’ 현창사업과 이순신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 조선시대사학회 (89) : 145-186, 2019

      8 주채영, "임진전쟁과 한국 민족담론의 출현 - JaHyun K. Haboush, 2016, The Great East Asian War and the Birth of the Korean N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의 비평논문" 한국사학사학회 (35) : 233-262, 2017

      9 계승범, "임진왜란 초기 倡義 명분과 조선왕조의 正體性" 인문과학연구소 (47) : 165-192, 2016

      10 남호현, "이시항의 삶을 통해 본 서북지역 엘리트의 ‘미시사적’ 이해" 한국역사연구회 (105) : 353-378, 2017

      1 기시모토 미오, "현재를 보는 역사, 조선과 명청" 너머북스 2014

      2 구범진,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민음사 [서울] 2012

      3 김유진, "죽음의 미화, 숭고의 미학 - 김응하 서사를 중심으로" 국문학회 (25) : 75-116, 2012

      4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5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일지사 1998

      6 지두환, "조선 병자호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한국학연구소 34 : 795-819, 2010

      7 민장원, "정조의 ‘충신’ 현창사업과 이순신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 조선시대사학회 (89) : 145-186, 2019

      8 주채영, "임진전쟁과 한국 민족담론의 출현 - JaHyun K. Haboush, 2016, The Great East Asian War and the Birth of the Korean N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의 비평논문" 한국사학사학회 (35) : 233-262, 2017

      9 계승범, "임진왜란 초기 倡義 명분과 조선왕조의 正體性" 인문과학연구소 (47) : 165-192, 2016

      10 남호현, "이시항의 삶을 통해 본 서북지역 엘리트의 ‘미시사적’ 이해" 한국역사연구회 (105) : 353-378, 2017

      11 계승범, "역사소설로 본 조선후기 ‘역사 만들기’의 일면" 한국사학사학회 (38) : 315-339, 2018

      12 이덕일, "내촌(耐村) 강홍립(姜弘立)의 신원과 복권" 열상고전연구회 (68) : 123-153, 2019

      13 이송희, "김응하 충렬록(忠烈錄) 판본 변개 과정과 그 의미" 유학연구소 46 : 129-159, 2019

      14 강창규, "金應瑞를 기억하는 방식과 그 문학적 형상화" 40 : 2012

      15 유미나, "深河戰鬪의 名將 金應河와 "忠烈錄" 판화" 인문학연구소 12 (12): 97-147, 2011

      16 이승수, "深河 戰役과 金將軍傳" 한국문학연구소 11 (11): 23-53, 2003

      17 朴 珠, "朝鮮時代의 旌表政策" 一潮閣 1997

      18 최혜미, "忠烈錄 소재 「贈遼東伯詔」의 위작 여부에 대한 일고찰" 우리한문학회 40 (40): 37-65, 2019

      19 박현규, "姜弘立조선군의 深河전투 참여" 68 : 2019

      20 稻葉岩吉, "光海君時代の滿鮮關係" 大阪屋號書店 1933

      21 이송희, "『金將軍遺事』연구 - 김응하 『충렬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열상고전연구회 (68) : 13-39, 2019

      22 임유경, "「金景瑞傳」연구 -문제적 인물의 영웅화 과정-" 동방한문학회 (45) : 265-290, 2010

      23 Lynn Struve, "Time, Temporality, and Imperial Transit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5

      24 JaHyun k. Haboush, "The Great East Asian War and the Birth of the Korean N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25 Diana Lary, "The Chinese State at the Borders"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07

      26 JaHyun K. Haboush, "Culture and the State in Late Chosŏn korea"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999

      27 임유경, "<김장군유사>와 <김응서실기>의 서술방식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18) : 143-164,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역사와 현실 -> 역사와 현실
      외국어명 : 미등록 -> YŎKSA WA HYŎNSIL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2 1.68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