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육사생도들의 신체적 역량 강화 방안 연구 = Study on a plan for enhancing cadet's physical competence in Korea Military Acade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3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a plan for enhancing physical competence in Korea Military Academy(KMA) cadets, analyzing competence and character for army leader,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physical program of several military academy. The pr...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a plan for enhancing physical competence in Korea Military Academy(KMA) cadets, analyzing competence and character for army leader,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physical program of several military academy.
      The program of enhancing physical competence in KMA should be comprised of five complementary components including instructional coursework, physical fitness testing, competitive sport activity, summer and winter physical program specialized in military academy, and consistent evaluation.
      The instructional coursework should be accomplished through participation in physical and combatives classes, and a variety of sports classes like as present physical education. The physical fitness testing should be comprised of two complementary components, including physical fitness test related to health and combat fitness test related to military performance. Physical fitness testing is in force already, but combat fitness test have to be developed and officialized. Competitive sports program supports the army values, and provides opportunities that are difficult to replicate in the conventional classroom, in other extracurricular activities, or in military field training, and seeks to develop warrior athletes of character and build teams of significance. Accordingly, Competitive sports activity should be designated for these goals, and be an integral part of the KMA curriculum. Every cadet should participate in athletics in a category of competition consistent with one’s ability and interest. Also, physical competence program should include an intense and progressive summer and winter physical program designed to prepare cadets for the physical demands of cadet/military service life and the combat environment, this program should provide repeated opportunities to apply principles learned during the academic year’s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tegrate military and physical training. Cadets should be evaluated based on their achievement of announced course objectives, and be evaluated in each component, which is reported in th form of a physical performance score such as term, cumulative, and ye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육사는 육군이 요구하는 군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생도교육의 지향점을 ‘주도적 조직문제 해결형 리더’에 두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5대 학습중점과 4대 내적 태도를 체계화...

      현재 육사는 육군이 요구하는 군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생도교육의 지향점을 ‘주도적 조직문제 해결형 리더’에 두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5대 학습중점과 4대 내적 태도를 체계화한 육사 정예장교양성 아키텍처라는 종합적인 청사진을 구축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군 리더의 역량과 품성은 체육교육의 궁극적인 교육목표와 매우 유사하다. 이런 측면에서 육군사관학교의 정예장교양성 아키텍처는 미래 육군의 리더가 될 사관생도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품성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렸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그러나 체육교육이 다양한 신체적 활동을 통하여 교육의 목적을 달성한다는 점에서 지식을 전달하는 일반학 교과들에 비해 인성교육을 함양하는 것이 보다 수월하고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역량적인 측면은 강조되나 품성적인 측면의 인식이 부족하다. 또한, 리더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품성이 어떠한 방법으로 실현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행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정예장교를 양성하는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의 신체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관학교 특성에 맞는 체육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체육교육을 통한 신체적 역량은 운동과학지식을 바탕으로 한 개인 및 부대원의 체력증진 및 관리, 개인생존 및 방호, 운동기능 및 지도, 그리고 평생 운동생활 습관화 등 신체적 능력과 신체활동을 통해 계발될 수 있는 육체적・정신적 용기, 도덕성・윤리의식, 팀워크, 공정한 플레이에 대한 존중 등 정예장교에게 요구되는 품성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특수목적 대학의 특성에 맞게 정규체육교과, 체력검정, 경쟁 스포츠 활동, 사관학교 특성화 프로그램이 통합적으로 운영되고 모든 활동이 평가되어야 한다.
      정규체육교육은 현재 육사 체육교과에서 시행되고 있는 체력, 격투, 스포츠 과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신체적 역량을 일관성 있게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수업모형개발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개발하고 육사 체육교육의 잦은 변경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 요구된다. 체력평가는 현재 시행중인 5개 종목을 연 4회 측정하는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육사 특성에 부합하는 전투임무와 관련된 전투체력평가시스템을 추가하여 공식적인 체력평가로 제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쟁 스포츠 활동은 현재 실시되지 않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경쟁 스포츠 활동이 편안한 교실, 과외활동, 군사훈련에서 묘사하기 어려운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육군의 가치와 군인복무규율 강령을 구현할 수 있는 현실적인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그 의미와 목적에 부합하도록 경쟁을 할 수 있는 단체종목 중 야성 기질 함양과 육사의 가용한 체육시설을 고려하여 정하데 모든 생도들이 의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하다. 일반학기 이외에 실시하는 육사 특성화 체육프로그램은 없다. 육사 특성화 체육프로그램은 일반학기에 배운 지식과 기술을 하기군사훈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여름 체육프로그램과 일반학기간 신체적 역량이 저조한 생도와 모든 요건을 충족한 생도들의 자기계발을 위한 교정 및 자기계발 체육프로그램을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도들이 하는 모든 활동은 평가되어져야 한다. 졸업성적의 15% 차지할 신체적 역량 비중을 유지하면서 앞에서 언급한 전투체력테니...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옥선, "현대 스포츠교육학의 이해" 레인보우북스 339-358, 2009

      2 김무영, "한국 스포츠교육모형의 연구 동향: 성과와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21-39, 2010

      3 이경선, "평생체육의 디딤돌로서의 스포츠교육모형의 역할 : 대학교양체육수업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 (20): 89-113, 2013

      4 Michael Metzler, "체육수업모형" 대한미디어 2012

      5 육군본부, "전투형 집단체력단련(교육참고 0-1-1)" 국군인쇄창 2014

      6 김대진, "인성교육을 위한 체육교육의 역할"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1-16, 2012

      7 최의창, "인문적 체육교육" 무지개사 2006

      8 최영윤, "육사정예장교 양성 아키텍처 개념서" 육군사관학교 2013

      9 김상우, "육군사관학교 체육프로그램 현황분석 및 발전방향 탐색" 서울대학교 2011

      10 진재열, "육군 리더십 센터의 비전과 교육체계" (122) : 125-140, 2006

      1 이옥선, "현대 스포츠교육학의 이해" 레인보우북스 339-358, 2009

      2 김무영, "한국 스포츠교육모형의 연구 동향: 성과와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21-39, 2010

      3 이경선, "평생체육의 디딤돌로서의 스포츠교육모형의 역할 : 대학교양체육수업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 (20): 89-113, 2013

      4 Michael Metzler, "체육수업모형" 대한미디어 2012

      5 육군본부, "전투형 집단체력단련(교육참고 0-1-1)" 국군인쇄창 2014

      6 김대진, "인성교육을 위한 체육교육의 역할"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1-16, 2012

      7 최의창, "인문적 체육교육" 무지개사 2006

      8 최영윤, "육사정예장교 양성 아키텍처 개념서" 육군사관학교 2013

      9 김상우, "육군사관학교 체육프로그램 현황분석 및 발전방향 탐색" 서울대학교 2011

      10 진재열, "육군 리더십 센터의 비전과 교육체계" (122) : 125-140, 2006

      11 육군본부, "위국헌신의 길(교육참고 9-7-19)" 국군인쇄창 2004

      12 육군본부, "위국헌신의 길" 육군본부 2004

      13 김재우, "신체적 역량강화를 위한 체육교육체계 개선 연구"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3

      14 박정준, "스포츠는 인성을 길러줄 수 있는가? : 스포츠 인성교육의 이론적, 경험적 근거와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173-202, 2011

      15 박미혜, "사관학교 체육프로그램 국제비교연구" 서울대학교 2009

      16 육군사관학교 60년사 편찬위원회,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50년사(1946-1996)" 육군사관학교 1996

      17 육군본부, "군 리더십(야전교범 지-0)" 국군인쇄창 2011

      18 김재우, "군 관련 신체 수행력과 체력요인 간의 관련성 분석 : 육군 공통임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0

      19 국방부, "국방부 훈령 제1661호 부대관리훈령"

      20 "United States Naval Academy Online Viewbook" United States Naval Academy

      21 "United States Air Force Curriculum Handbook" United States Air Force Academy

      22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U. S. Army Physical Fitness Training Handbook(TC 3-22. 20) : The official U. S. Army Physical Readiness Training Manual" Books Express 2010

      23 "TRADOC Revises Army Physical Fitness Test"

      24 Arnold P., "Sport, moral development, and the role of the teacher :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moral education" 53 (53): 135-150, 2001

      25 Lavay BW, "Positive behavior management in physical activity settings" Human Kinetics 2006

      26 "Physical Program WHITE BOOK AY 13-14" 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27 National Association for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Moving into the future: National standards for physical education" Mosby 1995

      28 "Common Military Training" The Australian Defence Force Academy

      29 United State Military Academy, "Building Capacity To Lead : The WEST POINT system for leader development" USMA 2010

      30 Laker A., "Beyond the boundaries of physical education" 2000

      31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Army Leadership: Competent, Confident, and Agile(FM 6-22)"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2006

      32 교육과학기술부, "2011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11)" 교육과학기술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3 0.27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