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 말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大田 주둔과 군사령부 이전 계획 = The occupation in Daejeon of Japanese troops stationed in Korea in late Japanese rule and plan to transfer military headquar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29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강점기 대전에는 조선 주둔 일본군 예하의 보병 제80연대 제3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이 부대는 한반도 서남부의 치안유지를 담당하는 상급 부대였으며, 주둔지는 지금의 서대전역 사...

      일제강점기 대전에는 조선 주둔 일본군 예하의 보병 제80연대 제3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이 부대는 한반도 서남부의 치안유지를 담당하는 상급 부대였으며, 주둔지는 지금의 서대전역 사거리 인근이었다.
      애초 한반도 남서지역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던 대전 주둔 일본군은 1938년 중일전쟁 개전 이후 본격적인 침략전쟁에 가담하였다. 특히 진주만 공습 이후 확장된 전선을 방어하기 위해 대전 주둔 부대 역시 남서태평양 일대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전황은 회복되지 않았고 결국 일본은 이른바 본토결전이라는 최후의 전쟁 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본토결전에 따라 한반도는 미군의 공습과 상륙에 대비한 군사 요새화 되어 갔다. 특히 대전 지역에는 조선 주둔군 사령부가 이전하기 위한 대규모 지하시설이 들어섰다. 일제가 조선 주둔군 사령부를 이전하기 위해 구축한 지하시설은 지금의 보문산 공원 일대로 추정된다. 다만 군사령부 대전 이전은 일본의 패망으로 거대한 지하 동굴만 남긴 채 계획 단계에서 중단되었다. 그러나 패전 이후 재조 일본인과 군인들의 귀환을 위해 대전에 위수관구사령부가 설치됨으로써 결국 대전은 조선 주둔 일본군의 중심이 되고 말았다.
      대전은 일제강점기 내내 경성이나 평양, 또는 대구와 함께 식민지 주요 도시 중 하나였고, 군사적으로도 나름의 지정학적 위상을 지니고 있었다. 앞으로 일제강점기 대전 지역의 군사적 위상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ird battalion of the 80th infantry division under the Japanese troops stationed in Korea were deployed in Daejeo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troops was the top level one in charge of security maintenance in south western area of Korean P...

      The third battalion of the 80th infantry division under the Japanese troops stationed in Korea were deployed in Daejeo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troops was the top level one in charge of security maintenance in south we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and the occupation was near intersection of current West Daejeon Station.

      The Japanese troops stationed in Daejeon in charge of original security maintenance in South western area participated in aggressive war in earnest after the Sino-Japanese War began in 1938. In particular in order to defend the front line extended after Pearl Harbour, the troops moved around Southwest Pacific. But the progress of battle war situation was not restored and eventually Japan established the plan of last war, so-called final in the mainland.

      The Korean Peninsula became a military encampment to prepare for air raid and landing of US army according to final in the mainland. In particular, large scale basement facility set in to transfer the military headquarters stationed in Korea. The basement facilities established for Japan to transfer the military facilities stationed in Korea was estimated across currently Bomunsan Park. But the transfer of military headquarters to Daejeon was halted in the plan stage with large subterranean cave left because of the defeat of Japanese imperialism. However, as Uisugwangu military headquarters in Daejeon was installed to help Japanese in Korea and soldiers, at last Daejeon became the center of Japanese troops stationed in Korea.

      Daejeon was one of major cities in the colony along with Kyeongsung, Pyeongyang or Daegu throughout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geopolitical status in terms of military. In future the research on military status in Daejeo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needs to be continu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일본군의 大田 배치 과정과 주둔 시설
      • Ⅲ. 大田 주둔 부대의 군사 활동과 조선 주둔군 사령부의 이전 계획
      • Ⅳ. 패전 전후 大田 내 군사령부 구축 시도와 그 의미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일본군의 大田 배치 과정과 주둔 시설
      • Ⅲ. 大田 주둔 부대의 군사 활동과 조선 주둔군 사령부의 이전 계획
      • Ⅳ. 패전 전후 大田 내 군사령부 구축 시도와 그 의미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陸軍省大日記 乙輯 大正13年, 「兵營設置ニ關スル件」(壹第662號 1915.8.27, 陸軍次官→朝鮮駐箚憲兵隊司令官)"

      2 "陸軍省大日記 乙輯 大正13年, 南鮮地方兵營設置ニ關スル件」(壹第662號 其8 1915.8.26, 韓國駐箚軍參謀長→陸軍次官 大島健一)"

      3 "陸軍一般史料-中央-部隊歷史, 南鮮方面部隊"

      4 山操, "陸海軍將官人事總覽(陸軍編)" 芙蓉書房 1985

      5 조건, "해방 직후 일본군의 한반도 점령 실태와 귀환" 한국학연구소 47 : 331-362, 2017

      6 황선익, "해방 전후 在韓日本人의 敗戰 경험과 한국 인식 - 모리타 요시오(森田芳夫)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4 : 1089-1117, 2010

      7 이완희, "한반도는 일제의 군사요새였다" 나남 2014

      8 문화재청, "태평양전쟁유적 일제조사 종합분석 연구보고서-태평양전쟁시기 구축된 일본군 군사시설-" 2016

      9 "주한미군사 1(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Part 1)" 국사편찬위원회 2014

      10 김상규, "전시체제기(1937∼1945) 조선주둔일본군의 陸軍 兵事部 설치와 역할" 한국근현대사학회 (67) : 417-450, 2013

      1 "陸軍省大日記 乙輯 大正13年, 「兵營設置ニ關スル件」(壹第662號 1915.8.27, 陸軍次官→朝鮮駐箚憲兵隊司令官)"

      2 "陸軍省大日記 乙輯 大正13年, 南鮮地方兵營設置ニ關スル件」(壹第662號 其8 1915.8.26, 韓國駐箚軍參謀長→陸軍次官 大島健一)"

      3 "陸軍一般史料-中央-部隊歷史, 南鮮方面部隊"

      4 山操, "陸海軍將官人事總覽(陸軍編)" 芙蓉書房 1985

      5 조건, "해방 직후 일본군의 한반도 점령 실태와 귀환" 한국학연구소 47 : 331-362, 2017

      6 황선익, "해방 전후 在韓日本人의 敗戰 경험과 한국 인식 - 모리타 요시오(森田芳夫)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4 : 1089-1117, 2010

      7 이완희, "한반도는 일제의 군사요새였다" 나남 2014

      8 문화재청, "태평양전쟁유적 일제조사 종합분석 연구보고서-태평양전쟁시기 구축된 일본군 군사시설-" 2016

      9 "주한미군사 1(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Part 1)" 국사편찬위원회 2014

      10 김상규, "전시체제기(1937∼1945) 조선주둔일본군의 陸軍 兵事部 설치와 역할" 한국근현대사학회 (67) : 417-450, 2013

      11 조건, "전시 총동원체제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조선인 통제와 동원" 동국대학교 2015

      12 신주백, "일제 말기 제주도의 일본군 연구" 보고사 2008

      13 조건, "일제 말기 關東軍의 韓人 동원과 피해 실태" 한일민족문제학회 (29) : 71-106, 2015

      14 조건, "일본지역 지하호에 관한 진상조사-마쓰시로 대본영 지하호를 중심으로-" 2011

      15 서민교, "일본의 한국침략과 주권침탈" 경인문화사 2005

      16 임종국, "일본군의 조선침략사 Ⅰ⋅Ⅱ" 일월서각 1989

      17 이양희, "일본군의 3·1운동 탄압과 조선통치방안―『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65) : 104-136, 2013

      18 徐民敎, "만주사변기 조선주둔 일본군의 역할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2 : 187-224, 2002

      19 대전시립박물관, "근대도시 대전 그 100년의 역사" 84-, 2013

      20 신주백, "군대와 성폭력" 선인 2012

      21 藤原彰, "餓死した英靈たち" 靑木書店 2001

      22 朴廷鎬, "近代日本における治安維持政策と國家防衛政策の挾間-朝鮮軍を中心に-" (14) : 2005

      23 "發來翰綴 昭和20年度, 朝鮮軍官區命令 第3號"

      24 "步兵第80聯隊史:東部ニユギニア戰線"

      25 芳井硏一, "植民地治安維持體制と軍部: 朝鮮軍の場合" 7 : 1976

      26 宮田節子, "未公開資料 朝鮮總督府關係者 錄音記錄 5-朝鮮軍⋅解放前後の 朝鮮" 東洋文化硏究所 (6) : 2004

      27 金正明, "朝鮮駐箚軍歷史" 巖南堂書店 1967

      28 朝鮮軍殘務整理部, "朝鮮軍槪要史" 朝鮮軍槪要史 1952

      29 森田芳夫, "朝鮮終戰の記錄-米ソ兩軍の進駐と日本人の引揚-" 巖南堂書店 1964

      30 朝鮮軍經理部, "朝鮮師團營舍建築史"

      31 朝鮮軍報道部長 長屋尙作, "朝鮮の狀況報告"

      32 大濱徹也, "改訂版 帝國陸海軍事典" 同成社 1995

      33 "忠淸南道發展史" 湖南日報社 1934

      34 대전광역시사편찬위원회, "大田市史資料集Ⅵ 일제강점기편 1" 2011

      35 庵逧由香, "地域のなかの軍隊 7" 吉川弘文館 2015

      36 이민성, "1910년대 중반 조선 주둔 일본군 군영 배치계획과 軍營 유치운동의 양상" 한국근현대사학회 (83) : 139-171, 2017

      37 신주백, "1910년대 일제의 조선통치와 조선 주둔 일본군" 109 :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
      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호서사학
      외국어명 : HO-SUH SAHAK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6 0.95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