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忠淸道 公州牧의 有力 姓氏와 향촌 지배세력의 추이 - 『鄕案』,『居接名錄』의 분석을 중심으로 = The Trends of the Influential Surnames and Ruling Forces of Rural Villages in Gongju-mok, Chungcheong-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Family register』 and 『Geojeob-myeonglo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29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6세기 이래 在地士族의 향촌 지배의 주요한 수단이었던 鄕案은 18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그 성격이 변질되거나 더 이상 작성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원인은 지역적인 차이가 있...

      16세기 이래 在地士族의 향촌 지배의 주요한 수단이었던 鄕案은 18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그 성격이 변질되거나 더 이상 작성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원인은 지역적인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향촌사회에 새롭게 성장한 新鄕과 기존의 지배세력인 舊鄕의 대립으로 인해 야기된 것이었다. 이에 따라 19세기 이후에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향안이 작성되지 않았던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는 士族支配體制가 종식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런데 忠淸道 公州牧에서는 19세기 후반까지 향안이 여전히 改修되고 있어 주목된다. 공주목의 주도적인 재지사족의 명단이었던 公州 鄕案은 17세기 전반~19세기 후반까지 약 30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통해 향안을 중심으로 하는 재지사족의 지배 네트워크가 외형상으로는 19세기 후반까지 여전히 유지되었을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居接名錄』의 기록을 보면 더욱 확연해진다.
      『거접명록』은 19세기 중반 공주목에서 결성된 學契의 명단이다. 여기에 기재된 인물들은 17세기 이후 향안을 주도했던 유력 성씨들이었다. 『거접명록』에는 향안에서 찾아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성씨가 기재되어 신흥세력이 성장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하지만 여전히 향안을 주도했던 성씨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곧바로 공주목의 향안 질서가 공고하게 유지되었다고 확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공주목이 다른 지역에 비해 외형적으로는 비교적 늦게까지 향안을 중심으로 한 재지사족들의 연대가 유지되고 있었을 가능성은 유추할 수 있다. 또한 향촌 질서를 주도했던 유력 성씨가 그 세력을 어느 정도 유지했을 가능성 역시 짐작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ruling forces of rural villages in Gongju-mok, Chungcheong-do in terms of influential surname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tial surnames described in the family register a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ruling forces of rural villages in Gongju-mok, Chungcheong-do in terms of influential surname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tial surnames described in the family register and “Geojeob-myeonglog” of Gongju.
      The family register was no longer created in most regions in Korea around the mid-18th century, while the family register in Gongju continued to be created until the late 19th century. This suggests that the ruling network of the clans of aristocracy and gentility based on the family register still remained formally.
      The figures in the “Geojeob-myeonglog,” which is the list of learning association formed in Gongju-mok in the mid-19th century, had the surnames of influential families who led the family register since the 17th century. The “Geojeob-myeonglog” had the list of new surnames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family register, indicating the growth of new emerging forces. However, the surnames who led the family register still occupied the majority. These facts suggest that the rule by the clans of aristocracy and gentility based on the family register was maintained to some extent in Gongju-mo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地理志에 기재된 公州牧의 주요 姓氏
      • Ⅲ. 鄕案에 入錄된 公州牧의 有力 姓氏
      • Ⅳ. 19세기『居接名錄』을 통해본 有力 姓氏의 변화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地理志에 기재된 公州牧의 주요 姓氏
      • Ⅲ. 鄕案에 入錄된 公州牧의 有力 姓氏
      • Ⅳ. 19세기『居接名錄』을 통해본 有力 姓氏의 변화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樹健,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2 김현영, "조선후기 남원의 사회구조-사족지배구조의 변화와 그 성격-" 2 : 1989

      3 金仁杰, "조선후기 鄕村社會 변동에 관한 연구 : 18, 19세기 「鄕權」담당층의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4 김경란, "조선후기 土姓의 변화와 존립형태 - 慶尙道 丹城縣을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57) : 383-413, 2010

      5 김현영, "조선시기사회사연구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6 李樹健, "韓國中世社會史硏究" 一潮閣 1984

      7 金龍德, "鄕規硏究" 54 : 1986

      8 "朝鮮社會史資料 2 (公州) 上·下" 국사편찬위원회 1991

      9 "朝鮮社會史資料 2 (公州) 上·下" 국사편찬위원회 1991

      10 鄭震英, "朝鮮前期 安東府 在地士族의 鄕村支配" 27 : 1985

      1 李樹健,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2 김현영, "조선후기 남원의 사회구조-사족지배구조의 변화와 그 성격-" 2 : 1989

      3 金仁杰, "조선후기 鄕村社會 변동에 관한 연구 : 18, 19세기 「鄕權」담당층의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4 김경란, "조선후기 土姓의 변화와 존립형태 - 慶尙道 丹城縣을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57) : 383-413, 2010

      5 김현영, "조선시기사회사연구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6 李樹健, "韓國中世社會史硏究" 一潮閣 1984

      7 金龍德, "鄕規硏究" 54 : 1986

      8 "朝鮮社會史資料 2 (公州) 上·下" 국사편찬위원회 1991

      9 "朝鮮社會史資料 2 (公州) 上·下" 국사편찬위원회 1991

      10 鄭震英, "朝鮮前期 安東府 在地士族의 鄕村支配" 27 : 1985

      11 善生永助, "朝鮮の聚落 後篇" 조선총독부 1933

      12 李樹健, "九谷黃種東敎授停年紀念史學論叢" 1994

      13 박범, "19세기말 ~ 20세기초 공주향교의 재정 운영과 성격" 호서사학회 (88) : 79-118, 2018

      14 이정우, "19~20세기 초 공주지방 유림의 동향과 향촌활동의 성격변화-서원·향교의 운영과 고문서류의 작성을 중심으로-" 11·12합 :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
      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호서사학
      외국어명 : HO-SUH SAHAK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6 0.95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