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예산현 국사당보 설화의 전승과 역사적 사실 = Transmission of Yesanhyun Guksadangbo Sulhwa and historical fact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298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8세기부터 20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충남 예산 지역에 전해진 국사당보 설화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역사성을 재구성하는 데 있다. 국사당보는 이앙법의 확...

      본 연구의 목적은 18세기부터 20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충남 예산 지역에 전해진 국사당보 설화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역사성을 재구성하는 데 있다. 국사당보는 이앙법의 확산에 따른 수리체계의 변화에 따라 건립된 수많은 향촌 사회에 존재한 洑 중 하나였다. 그러나 국사당보가 예산 지역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작지 않았다. 국사당보를 통해 농사 혜택을 받은 예산 지역민이 매우 많았기 때문이다.
      국사당보 설화의 역사적 사실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국왕 정조의 판단이 매우 중요했다는 점, 고종대 어사 홍철주가 이를 재확인해준 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고스란히 설화의 내용에 반영되었다. 일제시대 이후가 되면 수리조합 설립 추진이 국사당보에서도 논의되었다. 그러나 국사당보에는 끝내 수리조합이 설립되지 못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조선 후기식 수리 체계로도 농사를 짓는 데 전혀 불편함이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의 예당저수지는 일제 말기부터 총독부가 강제로 수리조합 설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였다. 1960년대 예당저수지가 완공되면서 국사당보는 더 이상 기능을 상실하고 예산 지역민들의 설화에만 남게 되었다. 그러므로 국사당보 설화는 해당 주민들이 지닌 국사당보에 대한 과거 인식이 그대로 남아 있는 역사의 투영인 셈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istory of Guksadangbo Sulhwa is with district history of Yesan-gun, Chungnam. In Guksadangbo Sulhwa, constructional subject of bo is set as power of Gwangsan Kim, but Ersa showed that Guksadangbo was Minbo(民洑) managed jointly by district peop...

      The history of Guksadangbo Sulhwa is with district history of Yesan-gun, Chungnam. In Guksadangbo Sulhwa, constructional subject of bo is set as power of Gwangsan Kim, but Ersa showed that Guksadangbo was Minbo(民洑) managed jointly by district people well, not for only one power. People’s wish was transmitted by Sulhwa. Transmission of Sulhwa was continued like that because Guksadangbo was continued as Yedang reservoir in modern society. As jeonsa of Yedang reservoir, Guksadangbo Sulhwa took a big position in Yesan history. It’s remained through Sulhwa.
      Because of Guksadangbo Sulhwa,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how Guksadangbo was displayed in modern times historically. Guksadangbo was managed in earnest in about King Yeongjo and arranged systematically in King Jeongjo. Therefore, periodical setting of Sulhwa is the times of King Jeongjo. It was reconfirmed again through Hong Chul Ju, royal inspector of King Gojong. However, through the colonial era, there was a long movement of surijohap in Guksadangbo. Supporters of Surijohap intended to make more incomes and objectors didn’t be hinderd for their farming in existing way. Unlike other surijohap, sticking to the method of the late Joseon Dynasty, means there was no problem to perform agricultural activities without reservoir for Mongni people of Guksadangbo.
      But, in the 1940s, there was a bad year in colonial farm village and foods are insufficient in war, so establishment of surijohap was forcibly promoted. Separate reservoir was established in Muhancheon and Mongni was expanded to Dangjin-gun beyond Yesan-gun. In the end, surijohap could not be established and we were relieved, but in the district society, reservoirs were continuously established and soon, surijohap was organized. Therefore, Yedang reservoir was generated. While the reservoir was established and land improvement project was proceeded, Guksadangbo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disappeared completely. Memories of Guksadangbo are remained as sulhwa and transmitted in Yesan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국사당보 설화의 내용 분석
      • Ⅲ. 국사당보의 축조와 운영 방식의 변화
      • Ⅳ. 수리조합 전환 시도와 예당저수지 건설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국사당보 설화의 내용 분석
      • Ⅲ. 국사당보의 축조와 운영 방식의 변화
      • Ⅳ. 수리조합 전환 시도와 예당저수지 건설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서읍지"

      2 정승진, "한말 일제초 전통 堤堰契의 근대적 水利組合으로의 전환: 萬頃江 하류 沃溝西部水利組合의 사례분석" 전북사학회 (34) : 105-144, 2009

      3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 지식산업사 1986

      4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역사자료 구축연구" 2013

      5 "하천부지점용의건"

      6 "충청도읍지"

      7 "충청남도읍지"

      8 김용섭, "조선후기농업사연구" 일조각 1971

      9 최원규, "조선후기 수리기구와 경영문제" 39 : 1992

      10 권선정, "조선후기 대전 지역 제언의 입지적 특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 (24): 72-94, 2012

      1 "호서읍지"

      2 정승진, "한말 일제초 전통 堤堰契의 근대적 水利組合으로의 전환: 萬頃江 하류 沃溝西部水利組合의 사례분석" 전북사학회 (34) : 105-144, 2009

      3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 지식산업사 1986

      4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역사자료 구축연구" 2013

      5 "하천부지점용의건"

      6 "충청도읍지"

      7 "충청남도읍지"

      8 김용섭, "조선후기농업사연구" 일조각 1971

      9 최원규, "조선후기 수리기구와 경영문제" 39 : 1992

      10 권선정, "조선후기 대전 지역 제언의 입지적 특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 (24): 72-94, 2012

      11 염정섭, "조선후기 간척과 수리" 민속원 2010

      12 "조선중앙일보"

      13 최홍규, "정조대 대화성 농업진흥정책과 농업생산력 발전-특히 수리정책과 농업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89 : 2000

      14 권선정, "전통도시 읍치(邑治)를 통해 본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 충남 예산군을 사례로 -" 기전문화연구소 38 (38): 41-66, 2017

      15 이광린, "이조수리사연구" 한국연구원 1961

      16 "읍대평은보전후결안성책"

      17 "오산문첩"

      18 예산향교, "예산향교지" 예산향교 1995

      19 예산문화원, "예산의 설화" 예산문화원 1999

      20 예산군청, "예산군지"

      21 예산군청, "예산군지" 예산군청 1987

      22 "예당지구답사서송부의건"

      23 정승진, "실패한 식민지 ‘개발’ 프로젝트 : 益山 黃登堤의 廢堤化 사례" 고려사학회 (59) : 352-384, 2015

      24 "시대일보"

      25 "승정원일기"

      26 "송사유고"

      27 임재해, "설화의 사료적 성격과 새 역사학으로서 설화연구" 12 : 2001

      28 "매일신보"

      29 "만기요람"

      30 "동아일보"

      31 권선정, "근대이행기 수리시설의 입지 복원을 통해 본 大田의 공간 변화- 19세기 후반~20세기 초 ‘洑’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5 (25): 79-98, 2013

      32 권선정, "근대이행기 수리시설의 변동에 대한 연구 - 충남 지역의 ‘제언’과 ‘보’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9 (29): 1-24, 2017

      33 이선희, "국역 각사등록 39" 2014

      34 "광산김씨양간공파보"

      35 이해준, "공주 홍길동 관련 전승자료의 성격과 의미" 역사문화학회 21 (21): 131-160, 2018

      36 "경향신문"

      37 일본 농상무성 농무국, "『한국토지농산조사보고』 Ⅳ-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1905

      38 정치영, "『여지도서』를 이용한 조선후기 제언의 지역적 특성 연구" 대한지리학회 43 (43): 620-637, 2008

      39 정수환, "『朝鮮地誌資料』에 나타난 경기도 수리시설의 현황과 특징 -洑와 堤堰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실학회 39 : 135-175, 2009

      40 "1977년 항공사진(예산)"

      41 "1967년 지형도(예산)"

      42 "1966년 항공사진(예산)"

      43 "1963년 지형도(예산)"

      44 "1956년 지형도(예산)"

      45 정승진, "1922년 중앙수리조합(中央水利組合)의 설립과 철원(鐵原) 지역사회의 변동" 수선사학회 (67) : 257-293, 2019

      46 "1914년 지적원도"

      47 염정섭, "18세기 말 華城府 수리시설 축조와 屯田 경영" 한국농업사학회 9 (9): 55-96, 2010

      48 "1897년 지방지도(당진현)"

      49 "1872년 지방지도(용안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
      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호서사학
      외국어명 : HO-SUH SAHAK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6 0.95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