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증 악성 담도 협착에서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사용하여 성공한 담도 배액술: 3예 보고 = Three Cases of Biliary Drainage in High Grade Malignant Biliary Stricture Using Soehendra Stent Retriev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47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lignant biliary or pancreatic duct stricture is dilatated using dilatating catheter or balloon catheter but a high grade stricture is difficult to dilate by general dilatating methods. Using Soehendra stent retriever is an effective method for excha...

      Malignant biliary or pancreatic duct stricture is dilatated using dilatating catheter or balloon catheter but a high grade stricture is difficult to dilate by general dilatating methods. Using Soehendra stent retriever is an effective method for exchanging an impacted stent. Recently, high grade malignant biliary strictures have been dilatated by Soehendra stent retriever. We report 3 cases of successful biliary drainage in high grade malignant biliary strictures using 7 Fr Soehendra stent retriever.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2;24:62-65)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담도계의 악성 질환이 있을 때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배액술 등의 비수술적 담관 배액술을 시행한다. 이 때 협착 부위의 확장은 일반적으로 확장용 카테터나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여 확장한...

      담도계의 악성 질환이 있을 때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배액술 등의 비수술적 담관 배액술을 시행한다. 이 때 협착 부위의 확장은 일반적으로 확장용 카테터나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여 확장한다. 그러나 중증의 협착은 일반적인 확장 방법으로는 쉽게 확장되지 않는다.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는 담도 내에 파묻힌 배액관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기구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중증의 악성 담도 협착의 확장에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사용하고 있다. 저자 등은 중증의 악성 담도 협착의 환자에서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사용하여 배액술을 성공시킨 3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