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승희가 격동의 시기를 겪으며 전 세계를 무대로 자기예술을 구축해 나가는 동안 표현된 동양무용 을 중심으로 동양사상의 형성 배경과 영향을 심층적으로분석하고자 한다.이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승희가 격동의 시기를 겪으며 전 세계를 무대로 자기예술을 구축해 나가는 동안 표현된 동양무용 을 중심으로 동양사상의 형성 배경과 영향을 심층적으로분석하고자 한다.이를...
본 연구는 최승희가 격동의 시기를 겪으며 전 세계를 무대로 자기예술을 구축해 나가는 동안 표현된 동양무용 을 중심으로 동양사상의 형성 배경과 영향을 심층적으로분석하고자 한다.이를 통해 예술가의 사상이 작품으 로 어떻게 승화되었는지 살펴볼것이다.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최승희 글,최승희 좌담,최 승희평전,최승희 저서,세계 공연작품 및 평 등이 기본 자료로 활용되었다. 최승희의 사상은 ‘조선의 것’에서 출발하여 동양사상을 아우르고 그것을 통해 동양무용의 총체를 획득한다.최 승희의 동양무용 발전 단계는 민족무용 각성기,동양무용자각기,동방무용예술 정립의 시기를 거친다.이것은 민족전통무용과 서구의 무용을새롭게 접목하여 한국적인 것과 동양적인 춤의 균형을 찾아낸 각성기,서구에 대한 대항의식으로 동양무용을 창출하여 동양무용예술을 세계에 알린 동양무용 자각기,중국문화와 예술을 섭 렵하고 동남아 무용까지 아우르면서 동방무용을 집대성한 정립기로설명할 수 있다.그 과정에서 서구무용의 극복과 동양적 가치를 넘어선 민족 무용의세계화를 추구 완성해 나간다.따라서 최승희 예술세계의 의미는 민 족무용의 부흥 발전을 넘어서고 동양사상을 토대로 하여 서양무용과 조화를 이루는 동양무용의 정립에있다. 이것은 야나기무네요시의 “조선적인 것”에서 동양적인 가치에 관한 사상이 최승희의 동양무용으로 표현되고 집약되었다.대표 작품으로 「보살도」,「추심」,「옥적의곡」,「즉흥무」,「무혼」,「명비곡」,「장한가」,「신전의 춤」,「칠석 의 밤」등이 있다.또한 최승희의 동양무용으로 무용시 , 무용 조곡 , 무용극 대본집 , 조선 민족 무용기본 이 그 의 사상이 집약된 책이다.최승희는 자신의 춤의 예술적 가치를 개인을 초월한 민족적 차원에서 표현하였다.또 한 예술가로서 자신의 표현적 기회와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점에서 독보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가의 사상이 작품으로 어떻게 승화되는지를 살핌으로써,이를 통해 무용예술 이론 및 무 용창작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making an in-depth analysis the formation background & influence of Oriental thought with focus on the Oriental dance expressed by Choi, Seung-hee while she constructed her art around the globe in the midst of the period of tu...
This study is aimed at making an in-depth analysis the formation background & influence of Oriental thought with focus on the Oriental dance expressed by Choi, Seung-hee while she constructed her art around the globe in the midst of the period of turbulence. Through this, this study is going to look into how an artist’s thought was sublimated in works. This study conducted this research with focus on literature review, and used Choi, Seung-hee’s writings, Choi, Seung-hee’s talks, Choi, Seung-hee’s critical biography, Choi, Seung-hee’s books, and Choi, Seung-hee’s performance works & review, etc. as the basic data. Choi, Seung-hee’s thought embraced Oriental thought by starting from ’Things Korean’, and acquired the whole of Oriental dance. Choi, Seung-hee’s developmental stages of Oriental dance went through the national dance awakening period, Oriental dance self-awareness period, and Eastern art of dance establishment period. It can be explained in detail as the awakening period when Choi, Seung-hee found out the balance between things Korean and Oriental dance by integrating the nation’s traditional dance with the Western dance, the Oriental dance self-consciousness period, during which Choi, Seung-hee made the Oriental art of dance known to the world by creating the Oriental dance based on counter-consciousness against the West, and the establishment period for integrating the Oriental dance while Choi, Seung-hee ranged over Chinese cultures and art and embraced even the Southeast Asian dance. In the process, Choi, Seung-hee pursued and gradually completed the conquest of the Western dance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national dance beyond Oriental value.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Choi-Seung-hee Art World lies in the establishment of Oriental dance which achieves harmony with the Western dance on the basis of Oriental thought beyond the level of revival & development of national da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dance, the thought on Oriental value from Yanagi Muneyoshi’s things Korean is expressed and integrated by Choi, Seung-hee’s Oriental dance. Choi, Seung-hee’s representative works include 「Bosaldo」(Bodhisattva’s Path), 「Chushim」(Late Autumn), 「Okjeokuigok」(Music of Jade Pipe), 「Jeukeungmu」(Impromptu Dance_, 「Muhon」( Dance Soul), 「Myeongbigok」, 「Changhen ge」, 「Dance of Temple」, and 「Night of July 7th」, etc. In addition, Muyongsi (Dance Poetry), Dance Suite, Dance Drama Script Collection, and Basics of Joseon people’s Dance, which are integrated by Choi, Seoung-hee’s Oriental Dance, are the books integrating her thought. Choi, Seung-hee expressed the artistic value of her own dance at a transpersonal national level. In addition, Choi, Seung-hee is unrivaled in that she made full use of her expressional opportunity and carried out her social responsibility as an artist. Accordingly, this observed how an artist’s thought is sublimated in works , through which this study hopes this research data could contribute the development of dance art theory and dance creation work.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옥, "해외공연이 최승희의 예술세계에 미친 영향" 무용역사기록학회 20 (20): 107-133, 2010
2 정병호, "춤추는 최승희,세계를 휘어잡은 조선 여자" 뿌리깊은 나무 1995
3 유미희, "최승희의 민족무용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 (6) : 2004
4 이주미, "최승희의 ‘조선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 한민족문화학회 (23) : 335-359, 2007
5 이영란, "최승희 무용의 사상적 근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애순, "최승희 무용예술연구" 국학자료원 2002
7 이영란, "최승희 무용예술사상" 민속원 2014
8 이인범, "조선 예술과 야나기 무네요시" 시공사 1999
9 최승희, "오직여러분의 성원을 바랄뿐입니다-조선을 떠나면서" 조선일보출판사 2 (2): 1937
10 강이향, "생명에춤 사랑에춤" 지양사 9-, 1989
1 최성옥, "해외공연이 최승희의 예술세계에 미친 영향" 무용역사기록학회 20 (20): 107-133, 2010
2 정병호, "춤추는 최승희,세계를 휘어잡은 조선 여자" 뿌리깊은 나무 1995
3 유미희, "최승희의 민족무용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 (6) : 2004
4 이주미, "최승희의 ‘조선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 한민족문화학회 (23) : 335-359, 2007
5 이영란, "최승희 무용의 사상적 근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애순, "최승희 무용예술연구" 국학자료원 2002
7 이영란, "최승희 무용예술사상" 민속원 2014
8 이인범, "조선 예술과 야나기 무네요시" 시공사 1999
9 최승희, "오직여러분의 성원을 바랄뿐입니다-조선을 떠나면서" 조선일보출판사 2 (2): 1937
10 강이향, "생명에춤 사랑에춤" 지양사 9-, 1989
11 이진아, "문화번역으로서의 민족무용: 최승희의 경우" 한국사회사학회 (95) : 157-200, 2012
12 Martha Graham, "무용가 최승희평"
13 최승희, "무사히 돌아왔습니다" 13 (13): 1941
14 김수중, "동양 철학은 물질문명의 대안인가" 웅진출판사 1998
15 고바야시 나오야, "東洋の舞踊芸術を確立した舞踊家崔承喜の功績 −近代創作舞踊における東洋的手法の原点−" 우리춤연구소 6 (6): 191-245, 2010
16 Judy Van Zial, "Questions of Influence" 탄생 90년 최승희 국제 무용축제 운영위원회 2002
17 M. Lloyd, "Danceofthe Far East"
18 유미희, "20세기 마지막 페미니스트 최승희" 민속원 2006
예비 초등 교사의 무용 수업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교양 댄스스포츠 참가자의 재미 요인과 몰입 경험이 대학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우리춤연구 -> 우리춤과 과학기술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6-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양우리춤연구소 -> 우리춤연구소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HanYang Univ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 | 0.5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