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스트코로나시대의 교육동향과 블렌디드러닝 모델연구 -초등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ducational Trends and Blended Learning Models in the Post Corona era -Focusing on Elementary Desig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582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Corona 19, starting with online school, non-face-to-face education is becoming a daily routine, and the educational paradigm such as learning, guidance, and evaluation is changing accordingly. This study stands at a turning point in education, un...

      With Corona 19, starting with online school, non-face-to-face education is becoming a daily routine, and the educational paradigm such as learning, guidance, and evaluation is changing accordingly. This study stands at a turning point in education, understands the current trends i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hrough current status surveys, derives research results based on expert thesis and exhibitions, discovers the demand for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in elementary education, and provides online offline. We present the direction of hybrid education (blended learning).
      In particular, the scope is focused on the design area of ​​the art subject that requires the elimination of the educational gap, which is exposed to elementary education in which the learning process and content in an unfamiliar educational field, such as online classes, an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re exposed as sensitive reactions. 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enable immersion and cooperation in self-directed learning in a problem-solving learning-oriented program that checks the blended learning model based on the design process. It proposes a positive model of education left by Corona 19, such as mixing online and offline, mixing the past and present, and mixing classroom and information, and seeks ways to implement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개학을 시작으로 비대면 교육이 일상화되고, 이에 따른 학습, 지도, 평가 등의 교육패러다임이 새롭게 변화되었다. 이 연구는 교육의 전환점에 서서 현황조사를 통해 ...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개학을 시작으로 비대면 교육이 일상화되고, 이에 따른 학습, 지도, 평가 등의 교육패러다임이 새롭게 변화되었다. 이 연구는 교육의 전환점에 서서 현황조사를 통해 현재 교육체제의 동향을 이해하고, 초등교육의 콘텐츠와 교육방법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혼합형 교육(블렌디드 러닝)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교육부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통계 연구센터등 공공기관의 분석 및 결과의 도출, 시기별 변화를 제시한 그래프나 발표 자료, 각종기사들을 차용하여 연구하였다. 전체적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알아보고 교육대책과 함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전문가의 논문과 논평을 기반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비대면 환경에서의 미술과 디자인교육의 교육프로그램과 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자기주도성학습과 창의적사고, 다양한 표현, 융합, 확장, 연결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특히 온라인수업이라는 낯선 교육현장에서의 학습과정과 내용, 물리적 환경요인이 민감한 반응으로 드러나는 초등교육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육공백해소가 요구되는 미술교과의 디자인 영역으로 범위를 집중시켰다. 또 초등교육의 디자인프로세스에 준한 블렌디드러닝 모델을 재구성하였고 문제해결학습 중심의 프로그램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에 몰입과 협력체제가 가능하도록 고안하였다. 지식정보사회의 비대면, 온라인, 원격이라는 단어로 대신하는 현 교육의 특성과 장단점을 조사하고, 교육자, 학습자의 관계형성과 기존의 교육의 본질에 접근하여 초등디자인교육의 새로운 교육모델을 제안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혼합, 과거와 현재의 혼합, 교실과 정보의 혼합 등 다각적 혼합교육인 ‘블렌디드 러닝’이 그 예로서, 코로나19가 남긴 교육의 긍정적 모델을 제시하고 실행방안을 모색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교육청‘지금서울교육, "코로나19로 인한 초등 교육 현장의 변화"

      2 오재호,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경기연구원 (421) : 1-25, 2020

      3 "코로나-19 감염병 대응 2020학년도 초·중·고·특수학교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

      4 김선영, "초등학교 디자인 학습환경 개선을 위한 어포던스 디자인 개념과 융합형 디자인 교육 프로세스"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1 : 93-103, 2015

      5 "초등교육과 장학자료" 서울특별시 교육청 2020

      6 권은숙, "초·중등 디자인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디자인을 기초로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0 : 87-96, 2019

      7 "초·중·고 원격학습 현황 1차조사 보고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8 권혜숙, "차세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초등학교 디자인교육 방향 - 한국과 일본의 디자인 조형 활동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7) : 299-308, 2010

      9 "비대면시대의 원격수업방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10 백정열, "동향보고서(IITP)" 정보통신기획평가원 14-28, 2018

      1 서울교육청‘지금서울교육, "코로나19로 인한 초등 교육 현장의 변화"

      2 오재호,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경기연구원 (421) : 1-25, 2020

      3 "코로나-19 감염병 대응 2020학년도 초·중·고·특수학교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

      4 김선영, "초등학교 디자인 학습환경 개선을 위한 어포던스 디자인 개념과 융합형 디자인 교육 프로세스"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1 : 93-103, 2015

      5 "초등교육과 장학자료" 서울특별시 교육청 2020

      6 권은숙, "초·중등 디자인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디자인을 기초로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0 : 87-96, 2019

      7 "초·중·고 원격학습 현황 1차조사 보고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8 권혜숙, "차세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초등학교 디자인교육 방향 - 한국과 일본의 디자인 조형 활동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7) : 299-308, 2010

      9 "비대면시대의 원격수업방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10 백정열, "동향보고서(IITP)" 정보통신기획평가원 14-28, 2018

      11 "OECD PISA 2018을 통해 본 한국의 교육정보화 수준과 시사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12 고은영, "CPS 기반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4 (14): 109-118, 2016

      13 "COVID-19에 따른 초· 중등학교 원격교육 경험 및 인식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14 "COVID-19 대응 온라인 개학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원격 수업 실태 및 개선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32 0.5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