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용문사 계곡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 및 22년간(1988~2010년) 변화 분석 =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for Twenty-two Years (1988~2010) in Yongmun-sa (Temple) Valley, Yangpyeong-gu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8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management of Pinus densiflora forest and to predict ecological succession tendency by analyzing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structure for twenty two years in Yongmun-sa (Temple) Valley, Yangpyeong-gu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ctual vegetation, Pinus densiflora community accounted for 51.3% of the total vegetation in the area. Nineteen plo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ommunity types. The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 (H') showed from 0.5110 to 1.3101. There were distributed Pinus densiflora in age from 48 to 89, Quercus serrata in age from 31 to 63, Carpinus laxiflora in age from 26 to 61.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hange for twenty-two years,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maintained or decreased and competitive species (Quercus serrata, Carpinus laxiflora, Carpinus cordata) were increased. The ecological succession tendency was predicted Pinus densiflora community develop into Quercus serrata, lastly into Carpinus laxiflora and Carpinus cordata.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management of Pinus densiflora forest and to predict ecological succession tendency by analyzing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structure for twenty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management of Pinus densiflora forest and to predict ecological succession tendency by analyzing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structure for twenty two years in Yongmun-sa (Temple) Valley, Yangpyeong-gu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ctual vegetation, Pinus densiflora community accounted for 51.3% of the total vegetation in the area. Nineteen plo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ommunity types. The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 (H') showed from 0.5110 to 1.3101. There were distributed Pinus densiflora in age from 48 to 89, Quercus serrata in age from 31 to 63, Carpinus laxiflora in age from 26 to 61.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hange for twenty-two years,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maintained or decreased and competitive species (Quercus serrata, Carpinus laxiflora, Carpinus cordata) were increased. The ecological succession tendency was predicted Pinus densiflora community develop into Quercus serrata, lastly into Carpinus laxiflora and Carpinus cor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용문사 계곡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군집구조를 규명하고 22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천이경향 예측과 효율적인 소나무림의 보전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분석결과 능선과 사면에 소나무군락(51.3%)이 넓게 분포하였고, 계곡부에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15.5%), 졸참나무군락(7.1%), 용문사 동측 사면에 졸참나무-소나무군락(7.2%)이 분포하였다. 19개 조사구(단위면적: 400㎡)를 설정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와 당단풍나무가 우점하는 소나무-졸참나무군집(Ⅰ), 아교목층에서 서어나무와 까치박달이 우점하는 소나무군집(Ⅱ),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와 서어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소나무-졸참나무군집(Ⅲ), 아교목층에서 서어나무와 당단풍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소나무군집(Ⅳ)의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H')는 0.5110~1.3101, 소나무 수령 48~89년생, 졸참나무 31~63년생, 서어나무 26~61년생이었다. 22년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는 세력 유지 또는 약화되었고, 경쟁관계에 있는 졸참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의 세력이 증가하였다. 용문사 계곡 소나무림의 천이 경향은 소나무림→졸참나무→까치박달, 서어나무로 예측되었으며, 지속적인 소나무림 유지관리를 통한 소나무 보존이 필요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용문사 계곡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군집구조를 규명하고 22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천이경향 예측과 효율적인 소나무림의 보전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본 연구는 용문사 계곡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군집구조를 규명하고 22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천이경향 예측과 효율적인 소나무림의 보전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분석결과 능선과 사면에 소나무군락(51.3%)이 넓게 분포하였고, 계곡부에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15.5%), 졸참나무군락(7.1%), 용문사 동측 사면에 졸참나무-소나무군락(7.2%)이 분포하였다. 19개 조사구(단위면적: 400㎡)를 설정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와 당단풍나무가 우점하는 소나무-졸참나무군집(Ⅰ), 아교목층에서 서어나무와 까치박달이 우점하는 소나무군집(Ⅱ),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와 서어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소나무-졸참나무군집(Ⅲ), 아교목층에서 서어나무와 당단풍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소나무군집(Ⅳ)의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H')는 0.5110~1.3101, 소나무 수령 48~89년생, 졸참나무 31~63년생, 서어나무 26~61년생이었다. 22년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는 세력 유지 또는 약화되었고, 경쟁관계에 있는 졸참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의 세력이 증가하였다. 용문사 계곡 소나무림의 천이 경향은 소나무림→졸참나무→까치박달, 서어나무로 예측되었으며, 지속적인 소나무림 유지관리를 통한 소나무 보존이 필요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재,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구 소나무림 식생천이와 식생관리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208-219, 2009

      2 이경재, "서울시 남산소나무림 생태적 특성 및 15년간(1990~2004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312-326, 2005

      3 이경재, "가야산국립공원 홍류동 계곡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및 15년간(1989년~2004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20 (20): 188-199, 2006

      4 Jo, J. C.,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8 (8): 121-134, 1995

      5 Lee, K. J., "The Development of Green Restoration Technic in Urban and Industrial Complex Area"

      6 Hill, M. O.,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

      7 Lee, K. J.,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1) -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 4 (4): 23-32, 1990

      8 Monk, C. D.,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50 (50): 468-470, 1969

      9 Kim, Z. S., "Reconsideration Based on Allozyme Data - Pinus densiflora for. erecta - Can It Be Treated Genetically as a Distinct Group?" 82 (82): 166-175, 1993

      10 Lee, W.T., "Plant Sociological Studies o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Korea" 12 (12): 257-284, 1989

      1 이경재,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구 소나무림 식생천이와 식생관리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208-219, 2009

      2 이경재, "서울시 남산소나무림 생태적 특성 및 15년간(1990~2004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312-326, 2005

      3 이경재, "가야산국립공원 홍류동 계곡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및 15년간(1989년~2004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20 (20): 188-199, 2006

      4 Jo, J. C.,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8 (8): 121-134, 1995

      5 Lee, K. J., "The Development of Green Restoration Technic in Urban and Industrial Complex Area"

      6 Hill, M. O.,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

      7 Lee, K. J.,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1) -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 4 (4): 23-32, 1990

      8 Monk, C. D.,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50 (50): 468-470, 1969

      9 Kim, Z. S., "Reconsideration Based on Allozyme Data - Pinus densiflora for. erecta - Can It Be Treated Genetically as a Distinct Group?" 82 (82): 166-175, 1993

      10 Lee, W.T., "Plant Sociological Studies o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Korea" 12 (12): 257-284, 1989

      11 Yim, K. B., "Phytosociological Chang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duced by Insect Damage in Kyonggi-do Area" 50 (50): 56-71, 1980

      12 Pielou, E. C.,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385-, 1975

      13 Lee, H. G., "Management Planning and Change in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Namhan Mountain Fortress" University of Seoul, 2012

      14 Lee, C. B.,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990-, 1980

      15 Rhyu, T.C., "Growth Decline of Pitch Pine Caused by Soil Acidific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17 (17): 287-297, 1994

      16 Park, I. H.,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1 : 1-24, 1987

      17 Brower, J.E.,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 1997

      18 Kim, K. H., "Distribution of Cs-137 and K-40 in Korean Soils" 28 (28): 33-40, 1995

      19 Lee, K. J.,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Mt. Yongmun by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33 (33): 173-182, 1990

      20 Ahn, I. S.,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Based on the Ecotyp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University of Seoul 2012

      21 Curtis, J.T.,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 32 : 476-496, 1951

      22 Song, H. K., "An Analysis of the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in Major Hardwood Communities by TWINSPAN and CANOCO" 18 (18): 99-108, 1995

      23 Kim, K. S., "A Study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Resource Plants on Mountain Yong Moon in Yang-Pyo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