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학 : <동동(動動)>의 한 해석 -12월령을 중심으로- = Literature : An Interpretation of Dong Dong(動動) -With a focus on the December s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56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동동>의 12월령에 나오는 젓가락의 의미를 살피고, 뒤에 나오는 “므□□노이다”의미를 기존의 해석과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 노래가 월령체 노래임을 중시하여 <동동>의 시간과 연정(戀情)의 순환적 특징을 통해 이 노래의 성격을 찾아보았다. 한국인은 젓가락을 예로부터 몸의 일부로 여겼고 전통사회에서 젓가락은 풍요의 상징이었다. 중국의 거라오족의 풍습에서 남성이 여성에게 청혼을 할 때 ‘여성의 집에 가서 젓가락을 책상위에 올려 놓는다.’라는 것이 <동동>에서 ‘소반위의 젓가락을 임 앞에 가지런히 놓다’라는 표현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 장면은 화자가 젓가락을 통해 임의 의중을 살피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뒤의 절에 나온 ‘므??노이다’를 지금까지 ‘무옵니다’로 파악한 대부분의 견해보다는 ‘물리치다(退)’로 해석하였다. 이런 표현을 통해 12월의 노래는 화자가 사랑의 징표로 내민 젓가락을 임이 판단하기도 전에 제3자에 의해 거부당한 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판단했다. <동동>에는 정월에서부터 11월까지 화자가 어디에서도 임과 만나서 자신의 뜻을 보여주는 장면이 없다. 그러던 화자가 12월에 마침내 자신의 뜻을 담은 징표의 수단인 젓가락을 임께 올리며 임의 마음을 조심스럽게 묻지만, 임의 뜻을 알기도 전에 제 3자에 의해 젓가락은 치워지게 되었다. 화자는 그동안 품고 있었던 자신의 사랑을 전하며 임의 마음을 얻기 원했지만 결국 원점의 상태로 돌아가고 만 것이다. 화자는 또 다시 임을 향한 새로운 용기가 생기기까지 임을 그리워하고 괴로워하며 고독을 느끼는 것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동동>이 순환하는 월령체 작품임을 감안한다면, 이 노래는 임에 대한 그리움의 무한 반복을 이야기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동동>의 화자는 고려시대 여인의 슬픈 자화상을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동동>의 12월령에 나오는 젓가락의 의미를 살피고, 뒤에 나오는 “므□□노이다”의미를 기존의 해석과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 노래가 월령체 노래임을 중...

      본고는 <동동>의 12월령에 나오는 젓가락의 의미를 살피고, 뒤에 나오는 “므□□노이다”의미를 기존의 해석과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 노래가 월령체 노래임을 중시하여 <동동>의 시간과 연정(戀情)의 순환적 특징을 통해 이 노래의 성격을 찾아보았다. 한국인은 젓가락을 예로부터 몸의 일부로 여겼고 전통사회에서 젓가락은 풍요의 상징이었다. 중국의 거라오족의 풍습에서 남성이 여성에게 청혼을 할 때 ‘여성의 집에 가서 젓가락을 책상위에 올려 놓는다.’라는 것이 <동동>에서 ‘소반위의 젓가락을 임 앞에 가지런히 놓다’라는 표현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 장면은 화자가 젓가락을 통해 임의 의중을 살피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뒤의 절에 나온 ‘므??노이다’를 지금까지 ‘무옵니다’로 파악한 대부분의 견해보다는 ‘물리치다(退)’로 해석하였다. 이런 표현을 통해 12월의 노래는 화자가 사랑의 징표로 내민 젓가락을 임이 판단하기도 전에 제3자에 의해 거부당한 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판단했다. <동동>에는 정월에서부터 11월까지 화자가 어디에서도 임과 만나서 자신의 뜻을 보여주는 장면이 없다. 그러던 화자가 12월에 마침내 자신의 뜻을 담은 징표의 수단인 젓가락을 임께 올리며 임의 마음을 조심스럽게 묻지만, 임의 뜻을 알기도 전에 제 3자에 의해 젓가락은 치워지게 되었다. 화자는 그동안 품고 있었던 자신의 사랑을 전하며 임의 마음을 얻기 원했지만 결국 원점의 상태로 돌아가고 만 것이다. 화자는 또 다시 임을 향한 새로운 용기가 생기기까지 임을 그리워하고 괴로워하며 고독을 느끼는 것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동동>이 순환하는 월령체 작품임을 감안한다면, 이 노래는 임에 대한 그리움의 무한 반복을 이야기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동동>의 화자는 고려시대 여인의 슬픈 자화상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observes the significance of the chopsticks in the December song of Dong Dong,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hrase “meu-leu-sab-no-i-da (므□□노이다)”that comes out in the end with a different approach from previous interpretations. Also, considering that this song is a wollyeong-che-ga. we explored this song`s personality through the cyclic characteristics of Dong Dong`s time and love. Koreans have regarded chopsticks as a part of their body since long ago, and chopsticks were a symbol of wealth in the traditional society. We regarded the Gelao people`s custom, where a man ``goes to a woman`s house and puts chopsticks on the desk`` when he proposes to her, as being relevant to the expression ``put the chopsticks on the dining table nicely in front of my loved one`` in Dong Dong, We view this scene as the narrator trying to figure out the intention of his love using the chopsticks. Also, we interpreted ‘meu-leu-sab-no-i-da’ which appears in a later phrase as ``to repel(退)``, rather than the popular interpretation of ‘bite’. Through such expression, we believe that the December`s song depicts how the chopsticks that the narrator presents as a sign of love is rejected by a third person even before his love makes a decision. From January to November in Dong Dong, there is no scene where the narrator meets his love and reveals his heart. Finally, in December, the narrator presents the chopsticks as a symbol of his heart and cautiously asks the intention of his love, but the chopsticks are removed by a third person before he gets an answer. The narrator wanted to express his love and claim her heart, but eventually returned to the point where he began. Until he brings up a new courage toward his love, he will repeatedly yearn for his love, suffer, and feel solitude. Considering that Dong Dong is a wollyeong-che-ga that circulates, this song can be understood as an infinite repetition of longing for his love. From this perspective, the narrator of Dong Dong displays a sad self-portrait of a woman during the Goryeo dynasty.
      번역하기

      This paper observes the significance of the chopsticks in the December song of Dong Dong,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hrase “meu-leu-sab-no-i-da (므□□노이다)”that comes out in the end with a different approach from previous interpreta...

      This paper observes the significance of the chopsticks in the December song of Dong Dong,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hrase “meu-leu-sab-no-i-da (므□□노이다)”that comes out in the end with a different approach from previous interpretations. Also, considering that this song is a wollyeong-che-ga. we explored this song`s personality through the cyclic characteristics of Dong Dong`s time and love. Koreans have regarded chopsticks as a part of their body since long ago, and chopsticks were a symbol of wealth in the traditional society. We regarded the Gelao people`s custom, where a man ``goes to a woman`s house and puts chopsticks on the desk`` when he proposes to her, as being relevant to the expression ``put the chopsticks on the dining table nicely in front of my loved one`` in Dong Dong, We view this scene as the narrator trying to figure out the intention of his love using the chopsticks. Also, we interpreted ‘meu-leu-sab-no-i-da’ which appears in a later phrase as ``to repel(退)``, rather than the popular interpretation of ‘bite’. Through such expression, we believe that the December`s song depicts how the chopsticks that the narrator presents as a sign of love is rejected by a third person even before his love makes a decision. From January to November in Dong Dong, there is no scene where the narrator meets his love and reveals his heart. Finally, in December, the narrator presents the chopsticks as a symbol of his heart and cautiously asks the intention of his love, but the chopsticks are removed by a third person before he gets an answer. The narrator wanted to express his love and claim her heart, but eventually returned to the point where he began. Until he brings up a new courage toward his love, he will repeatedly yearn for his love, suffer, and feel solitude. Considering that Dong Dong is a wollyeong-che-ga that circulates, this song can be understood as an infinite repetition of longing for his love. From this perspective, the narrator of Dong Dong displays a sad self-portrait of a woman during the Goryeo dynas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林園經濟志"

      2 배만실, "李朝소반의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4 : 224-, 1969

      3 양주동, "麗謠箋註" 乙酉文化社 1954

      4 金完鎭,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출판부 193-, 2000

      5 박노준, "향가여요 종횡론" 보고사 256-, 2014

      6 김열규, "한국인의 에로스" 궁리 224-, 2011

      7 "한국고전종합DB"

      8 최인학, "한ㆍ중ㆍ일 세시풍속의 비교연구를 위한 제언" 비교민속학회 (37) : 27-46, 2008

      9 김경은, "한․중․일 밥상문화" 이가서 2012

      10 周季華, "중․일 젓가락 습속 비교 연구" 국제아세아민속학회 2 : 370-, 1998

      1 "林園經濟志"

      2 배만실, "李朝소반의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4 : 224-, 1969

      3 양주동, "麗謠箋註" 乙酉文化社 1954

      4 金完鎭,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출판부 193-, 2000

      5 박노준, "향가여요 종횡론" 보고사 256-, 2014

      6 김열규, "한국인의 에로스" 궁리 224-, 2011

      7 "한국고전종합DB"

      8 최인학, "한ㆍ중ㆍ일 세시풍속의 비교연구를 위한 제언" 비교민속학회 (37) : 27-46, 2008

      9 김경은, "한․중․일 밥상문화" 이가서 2012

      10 周季華, "중․일 젓가락 습속 비교 연구" 국제아세아민속학회 2 : 370-, 1998

      11 최미정, "죽은 님을 위한 노래 - 동동" 한글학회 2 : 74-, 1988

      12 李圭泰, "재미있는 우리의 음식이야기" 기인원 24-25, 1990

      13 박영하, "우리나라 나무이야기" 아비락 234-, 2004

      14 이옥희, "열두달을 노래한 민요의 연행 맥락과 시간 의식" 한국민요학회 30 : 295-322, 2010

      15 이윤수, "연등축제의 역사와 문화콘텐츠적 특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6 김풍기, "삼라만상을 열치다" 푸르메 227-228, 2006

      17 이승훈, "문학과 시간" 이우출판사 66-, 1983

      18 허남춘, "동동의 송도성과 서정성 연구(2)" 도남학회 15 : 1996

      19 허남춘, "동동의 송도성과 서정성 연구(1)" 도남학회 14 : 1993

      20 박혜숙, "동동의 님에 대한 一考察" 효성여대 국문학과 10 : 1987

      21 이어령, "노래여 천년의 노래여" 문학사상사 350-, 2003

      22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 출판부 1991

      23 임동권,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24 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社 1990

      25 임기중, "고려가요연구" 정음사 1979

      26 金完鎭, "고려가요 해석의 발전을 위하여" 한국시가학회 4 : 125-126, 1998

      27 양희찬, "고려가요 <動動>의 美的 짜임과 性格" 한국시가문화학회 (22) : 159-184, 2008

      28 전규태, "고려가요" 정음사 1966

      29 박병채, "高麗歌謠의 語釋硏究" 이우출판사 115-116, 1980

      30 金完鎭, "高麗歌謠硏究-高麗時代의 가요문학" 새문사 3-5, 1982

      31 서재극, "高麗時代의 言語와 文學" 螢雪出版社 102-, 1975

      32 "高麗史"

      33 趙然淑, "高麗俗謠의 時空意識 硏究"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34 조규익, "頌禱 모티프의 연원과 전개양상" 한국고전문학회 (32) : 35-57, 2007

      35 정의도, "韓國古代靑銅匙箸硏究- 高麗時代 -" 석당학술원 (38) : 61-140, 2007

      36 "樂學軌範"

      37 "宣和奉使高麗圖經"

      38 "大樂後譜"

      39 金學成, "國文學의 探究" 成均館大出版部 35-, 1987

      40 "中宗實錄"

      41 이영태, "『동동』의 송도와 선어" 민족문학사학회 (36) : 8-28, 2008

      42 박재민, "「動動」의 어석과 문학적 향방—12월령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36) : 201-225, 2014

      43 황병익, "<동동> ‘새셔가만?얘라’와 <한림별곡> ‘뎡쇼년(鄭少年)’의 의미 재론"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117-138, 2007

      44 이정선, "<雙花店>의 구조를 통해 본 性的욕망과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71) : 113-141, 2010

      45 황병익, "<動動> 頌禱之詞 盖效仙語의 의미 고찰" 한국고전문학회 (37) : 33-69, 2010

      46 임재욱, "11·12월 노래에 나타난 <動動> 화자의 정서적 변화" 한국고전문학회 (36) : 5-27,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4 1.065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