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통 배냇저고리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가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 of Traditional Baenaet Jeogo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25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birthrate has rapidly fallen, increasingly high expectations have been placed on thosechildren who are born and they are the focus of great attention. As a result, the level of emotionassociated with goods for infants and children has been cont...

      As the birthrate has rapidly fallen, increasingly high expectations have been placed on thosechildren who are born and they are the focus of great attention. As a result, the level of emotionassociated with goods for infants and children has been continuously rising. Baenaet jeogori ismeaningful because people get to wear it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fe, so a study on thetraditional Baenaet jeogori was conducted to prepare basic data for suggesting its design inorder to satisfy such expectations. For this, efforts were made to study the cultural backgroundof traditional society and clothes for newly born babies and to select 20 pieces of Baenaetjeogori remains and analyze their formative attributes.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Baenaetjeogori was very different in shape than that for adults. In detail, traditional Baenaet jeogori hadbreast ties but no collar due to the body structure of babies and functional necessity and for theconvenience of users. Some had skeins of thread for breast ties signifying the hope for thehealth and longevity of babies. There also were some with poor needlework and hem treatmentor with the seam allowance shown externally. In addition, observations were made about the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Baenaet jeogori which appeared following the customs or tastesof different regions and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aesthetic values werediscovered from the observed Baenaet jeogori. The beauty of functions was revealed as practicalshapes chosen for new-born babies and it played a prominent role. The beauty of bixieappeared informative efforts to conceal babies from evil spirits. The beauty of personalitycombined with the virtue of moderation was revealed from plain and simple shapes and colors.
      The beauty of nature was manifested through using unprocessed natural colors and materia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and ideas to conceive designs of themodern Baenaet jeogori through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 아이에 집중되는 기대와 관심은 더욱 높아져 유·아동제품에 요구되는 감성의 수준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배냇저고리는 일생에서 최...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 아이에 집중되는 기대와 관심은 더욱 높아져 유·아동제품에 요구되는 감성의 수준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배냇저고리는 일생에서 최초로 접하게 되는 의미 있는 옷으로, 그 기대에 부응하는 디자인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전통 배냇저고리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사회의 문화적 배경과 신생아의상에 대해 고찰하고, 배냇저고리 유물 20점을 선별하여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통 배냇저고리는 성인 저고리와는 다른 독특한 비율의 조형이며, 세부적으로는 아기들의 신체구조와 기능상의 필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깃을 없애거나 긴 고름을 다는 등의 특징이 있었다. 아기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며 실타래를 고름으로 단 것도 있으며, 바느질과 가장자리 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시접을 겉으로 나오게 한 것도 있었다. 그 밖에 각각의 배냇저고리에서 지역의 풍습이나 취향에 따라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징을 관찰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관찰한 배냇저고리의 조형적 특성으로부터 기능미, 벽사의 미, 인격미, 자연미를 유추할 수 있었다. 전통 배냇저고리의 기능미는 갓 태어난 아기를 위해 선택된 실용적 조형이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면서 발현되었고, 벽사의 미는 악령으로부터 아기를 은폐하기 위한 조형적노력에서 나타났으며, 검소하고 소박한 형태와 색상에서는 중용의 덕을 겸비한 인격미가, 가공하지 않은 색과소재의 사용으로 자연미가 발현되었다. 이상과 같이 전통 배냇저고리의 조형적 특성과 그 미적가치를 규명함으로써 특별한 의미와 기대를 담고 있는 배냇저고리의 디자인 구상을 위한 기초자료와 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본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형, "한국전통産育의례 속의 생명중시의식 고찰" 동아시아고대학회 (33) : 437-462, 2014

      2 석주선기념 민속박물관, "한국전통 어린이복식"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0

      3 서봉하, "한국에서 白衣好尙 현상이 고착된 배경에 관한 논의 - 劉昌宣의 白衣考를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64 (64): 152-163, 2014

      4 조효순,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일지사 1998

      5 문화제관리국, "한국민속 종합보고서, 제24책(산속편)" 1993

      6 고복남, "한국 전통 복식사 연구" 일조각 1986

      7 최래옥, "한국 민간 속신어 사전" 집운당 1995

      8 추은희, "출생 의례복식에 관한 연구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9 강종원, "출산 후 '산걷이' 의례 물품의 의미와 기능 : 안동시 추목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2014

      10 최남선, "조선상식(朝鮮常識) 풍속편"

      1 이화형, "한국전통産育의례 속의 생명중시의식 고찰" 동아시아고대학회 (33) : 437-462, 2014

      2 석주선기념 민속박물관, "한국전통 어린이복식"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0

      3 서봉하, "한국에서 白衣好尙 현상이 고착된 배경에 관한 논의 - 劉昌宣의 白衣考를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64 (64): 152-163, 2014

      4 조효순,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일지사 1998

      5 문화제관리국, "한국민속 종합보고서, 제24책(산속편)" 1993

      6 고복남, "한국 전통 복식사 연구" 일조각 1986

      7 최래옥, "한국 민간 속신어 사전" 집운당 1995

      8 추은희, "출생 의례복식에 관한 연구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9 강종원, "출산 후 '산걷이' 의례 물품의 의미와 기능 : 안동시 추목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2014

      10 최남선, "조선상식(朝鮮常識) 풍속편"

      11 금기숙, "조선복식미술" 열화당 1994

      12 신상천, "조선 왕세자 교육과 유대인 교육을 통한 영재 교육 시사점"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3 고부자, "제주도민의 초생아복과 그에 나타난 의식" 21 : 1988

      14 하상효, "전통 어린이 복식에 관한 연구 : 조선 후기의 복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5 정연학, "일생의례와 물질문화-출생의례와 혼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7) : 67-102, 2011

      16 고부자, "우리나라 乳兒儀禮와 服飾의 民俗 硏究" 비교민속학회 (34) : 243-272, 2007

      17 일연,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3

      18 고부자, "민족조사에 나타난 초생아 옷의 사상 및 상징" 3 : 2009

      19 김대훈, "동학(東學)에 함유(含有)된 고유사상의 탐구" 경상대학교 2010

      20 대전 시립박물관, "대전 안정나씨 묘 출토복식 특별전 도록"

      21 석주선기념 민속박물관, "남아미라 및 출토유물 연구논총"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2

      22 신명호, "근세 한·일 궁중의 육아문화(育兒文化) 비교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47-165, 2009

      23 김정아, "개항기 이후 한국 아동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4 김용숙, "朝鮮朝 宮中風俗 硏究" 일지사 1987

      25 안세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전통육아의 의미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6 "https://www.naver.com/"

      27 "https://www.google.co.kr/"

      28 "https://terms.naver.com/"

      29 "http://www.fnnews.com/bigissue"

      30 "http://waks.aks.ac.kr/"

      31 "http://folkency.nfm.go.kr/kr/main"

      32 Jon Carter Covell, "Korea's Culture Roots" Moth House Publication 1982

      33 주영하, "(조선왕실의) 출산문화" 이회문화사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