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Quantitative performance measurement for construction R&D projects through a multi-attribute performance indice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23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건설R&D과제의 객관적인 평가자료와 지속적인 건설R&D예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성과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R&D사업 성과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존 평가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성과측정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측정결과를 산출하였다.성과측정지료를 활용한 방법은 정량적인 성과측정을 위한 40개의 성과측정지표를 도출하고 성과측정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통한 355건의 건설R&D사업의 성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에 의한 측정결과는 실제 결과를 비교하여 기존 평가방식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를 보완할 수 있다. ANOVA분석은 연구유형에 따라 평가결과를 달리 적용해야 함을 확인하여 기존의 획일적인 성과평가방식이 문제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연구유형에 따른 성과는 연구수행 주체에 따라 그 성과가 발현에 특성이 있음을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효율성분석은 산출물 중심의 평가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과제규모(비용, 참여인원)를 고려한 성과측정 결과이다. 측정대상은 40개 성과측정지표의 성과영역에서 지식축적 분야의 성과측정지표를 이용하여 산출요소로 활용하였다. 측정결과는 건설R&D사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성과발현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성과측정 방법은 건설R&D사업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성과평가를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성과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성과측정결과는 선정평가와 최종평가 등 기존의 평가절차에서 부족하였던 평가위원의 사전검토 단계에서 참고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연구결과는 건설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의사결정자에게 현재 진행 중이거나 종료한 프로젝트에 정량적인 성과결과를 제공하며 추후 추진할 건설프로젝트에는 성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건설R&D과제의 객관적인 평가자료와 지속적인 건설R&D예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성과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R&D사업 성과평가의 중요성을 인식...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건설R&D과제의 객관적인 평가자료와 지속적인 건설R&D예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성과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R&D사업 성과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존 평가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성과측정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측정결과를 산출하였다.성과측정지료를 활용한 방법은 정량적인 성과측정을 위한 40개의 성과측정지표를 도출하고 성과측정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통한 355건의 건설R&D사업의 성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에 의한 측정결과는 실제 결과를 비교하여 기존 평가방식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를 보완할 수 있다. ANOVA분석은 연구유형에 따라 평가결과를 달리 적용해야 함을 확인하여 기존의 획일적인 성과평가방식이 문제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연구유형에 따른 성과는 연구수행 주체에 따라 그 성과가 발현에 특성이 있음을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효율성분석은 산출물 중심의 평가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과제규모(비용, 참여인원)를 고려한 성과측정 결과이다. 측정대상은 40개 성과측정지표의 성과영역에서 지식축적 분야의 성과측정지표를 이용하여 산출요소로 활용하였다. 측정결과는 건설R&D사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성과발현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성과측정 방법은 건설R&D사업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성과평가를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성과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성과측정결과는 선정평가와 최종평가 등 기존의 평가절차에서 부족하였던 평가위원의 사전검토 단계에서 참고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연구결과는 건설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의사결정자에게 현재 진행 중이거나 종료한 프로젝트에 정량적인 성과결과를 제공하며 추후 추진할 건설프로젝트에는 성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obtain objective evaluation data for construction R&D projects that are becoming larger in scale and are acquiring continuous construction R&D budgets, quant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is needed. In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construction R&D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is recognized. A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is present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xisting evaluation methods, and measurement results are derived through actual cases.The method using the performance measurement data derived 40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es for quantitative performance measurements, and developed 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Using the model, we measured the performances of 355 construction R&D projects. The measurement results achieved through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compare actual results and supplement errors that could possibly occur in existing evaluation methods. The ANOVA analysis confirmed that evaluation results must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research types, and verifi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existing uniform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It was also confirmed through correspondence analysis that the results of research types showed different manifesta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 being researched. Efficiency analysis is the result of measuring performance that takes into account project size (cost and participating members) in order to supplement the production-centered evaluation results. From the performances of 40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es,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es of the knowledge accumulation field were selected as elements to be measured. The measurement results presented a standard for performance manifestation in carrying out construction R&D projects.The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objective and r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struction R&D projects, and suggested a guideline for improv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performance measurements can also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at the evaluation committee’s preliminary investigation stage for such activities as selection evaluation and final evaluation that have been insufficiently dealt with in the existing evaluation process.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evaluating the research outcome and impact, which shows true, long-term research performance. Effort also must be under taken to understand how these proposed method-based evaluation results can be connected to the governmental research budgeting process.
      번역하기

      In order to obtain objective evaluation data for construction R&D projects that are becoming larger in scale and are acquiring continuous construction R&D budgets, quant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is needed. In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constru...

      In order to obtain objective evaluation data for construction R&D projects that are becoming larger in scale and are acquiring continuous construction R&D budgets, quant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is needed. In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construction R&D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is recognized. A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is present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xisting evaluation methods, and measurement results are derived through actual cases.The method using the performance measurement data derived 40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es for quantitative performance measurements, and developed 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Using the model, we measured the performances of 355 construction R&D projects. The measurement results achieved through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compare actual results and supplement errors that could possibly occur in existing evaluation methods. The ANOVA analysis confirmed that evaluation results must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research types, and verifi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existing uniform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It was also confirmed through correspondence analysis that the results of research types showed different manifesta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 being researched. Efficiency analysis is the result of measuring performance that takes into account project size (cost and participating members) in order to supplement the production-centered evaluation results. From the performances of 40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es,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es of the knowledge accumulation field were selected as elements to be measured. The measurement results presented a standard for performance manifestation in carrying out construction R&D projects.The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objective and r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struction R&D projects, and suggested a guideline for improv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performance measurements can also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at the evaluation committee’s preliminary investigation stage for such activities as selection evaluation and final evaluation that have been insufficiently dealt with in the existing evaluation process.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evaluating the research outcome and impact, which shows true, long-term research performance. Effort also must be under taken to understand how these proposed method-based evaluation results can be connected to the governmental research budgeting proces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