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거울치료(mirror therapy)가 악력(grip strength)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9년 4월에서 2021년 6월까지 충남에 위치한 H대학 작업치료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50195
2021
Korean
뇌졸중 ; 거울매개치료 ; 악력 ; Stroke ; Mirror therapy ; Grip power
378
학술저널
29-39(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거울치료(mirror therapy)가 악력(grip strength)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9년 4월에서 2021년 6월까지 충남에 위치한 H대학 작업치료학...
목적 :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거울치료(mirror therapy)가 악력(grip strength)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9년 4월에서 2021년 6월까지 충남에 위치한 H대학 작업치료학과 임상실습에 참여한 6개월 이상의 만성 뇌졸중 환자 20명을 10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각각 거울치료와 일반작업치료 훈련 을 10주간 주 1회, 20분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통해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실험 군・ 대조군 간 중재 전·후 변화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COVA를 실시하였고, 실험군・대조군 내에서의 Grip strength test(GST)의 중재 전·후 비교를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군・ 대조군 내에서의 악력을 보기 위한 GST를 실험 전·후에 측정하였다. 군내에서의 전·후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악력 검사는 거울치료군에서 수장 악력과 외측 악력에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으나, 일 반작업치료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3점 악력과 꼬집기 악력에서는 양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가 악력의 향상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 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또 하나의 치료 중재 방법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하며, 임상적인 활용가치를 증명하기 위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 리라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study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grip power of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Participants were 20 chronic stroke patients who were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in H college located in Chung-Nam. Participan...
Objective : The purpose of study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grip power of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Participants were 20 chronic stroke patients who were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in H college located in Chung-Nam.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0 patients each and mirror therapy and blocked mirror therapy training were applied respectively 10 weeks, for 20 minutes a session, 5 session per week.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grip power were examined. ANCOVAs were conducted to examine of the amounts of changes between the groups. Paired t-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grip power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ithin each group.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Only grasp & lateral pinch among grip power resul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tudy group(p<.05). Conclusion : As a result of mirror therapy for stroke patients, results grip power of the study group statistical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We expect mirror therapy to be another possible intervention approach in body function improvement for people with stroke.
목차 (Table of Contents)
장애유형에 따른 직업능력 비교분석 :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중심으로
뇌졸중 환자의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체계적 고찰
자기평가형 생활참여척도를 활용한 대학생의 작업 인식 조사 - 작업 인식과 학업 성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