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용공연기획의 사례 연구 : 정동극장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6408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무역학과 , 2000. 2

      • 발행연도

        2000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76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정재만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based on a case study of successful performance planning by Jungdong Theater for the purpose of studying professional performance planning, which is presently lacking in the field of danc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oncept of fundamental performance planning, examining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planning related with dance theater, and investigated performance plans which led to success for Jungdong Theater.
      First, it was concluded that the fixed conception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rt was improved by Jungdung Theaters efforts to upgrade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of performance stages. Second, it was found that unique and various program development through customer-oriented marketing was to play a large role in securing an audience and making dance of widespread interest. Third, advantages for improving awareness of dance and expanding a long-term audience through targeted advertising planning (unlike traditional marketing strategies which limit their marketing efforts to select customers) has been successful at Jungdung Theater and has resulted in the greater audience appreciation and higher performance standards. Fourth, Jungdong Theater must consider implementing more professional planning in light of the leadership-centered management which currently exists in the dance industry. Furthermore, the audiences viewpoint in terms of performance art planning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chance
      s for success will be higher when these plans are constituted in a concrete and systematic way.
      Accordingly, like other fields of art, popular and higher levels of work must be developed in the dance industry which lacks performance art planning.
      번역하기

      This study was based on a case study of successful performance planning by Jungdong Theater for the purpose of studying professional performance planning, which is presently lacking in the field of danc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oncept of fu...

      This study was based on a case study of successful performance planning by Jungdong Theater for the purpose of studying professional performance planning, which is presently lacking in the field of danc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oncept of fundamental performance planning, examining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planning related with dance theater, and investigated performance plans which led to success for Jungdong Theater.
      First, it was concluded that the fixed conception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rt was improved by Jungdung Theaters efforts to upgrade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of performance stages. Second, it was found that unique and various program development through customer-oriented marketing was to play a large role in securing an audience and making dance of widespread interest. Third, advantages for improving awareness of dance and expanding a long-term audience through targeted advertising planning (unlike traditional marketing strategies which limit their marketing efforts to select customers) has been successful at Jungdung Theater and has resulted in the greater audience appreciation and higher performance standards. Fourth, Jungdong Theater must consider implementing more professional planning in light of the leadership-centered management which currently exists in the dance industry. Furthermore, the audiences viewpoint in terms of performance art planning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chance
      s for success will be higher when these plans are constituted in a concrete and systematic way.
      Accordingly, like other fields of art, popular and higher levels of work must be developed in the dance industry which lacks performance art plan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문적인 공연기획이 미흡한 무용계 현실을 직시하여 그 기획의 중요성을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공연기획의 성공을 본 정동극장을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시작되었다.기본적인 공연기획의 개념에 관한 고찰과 무용과 접목된 공연기획의 영향력에 대하여 살펴보고 정동극장이 성공적일 수 있었던 몇 가지 기획들을 연구해 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관객들의 편리성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연장 내의 시설적 변화가 가지고 온 정동극장을 통하여 공연예술계의 고정적 개념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고객지향마케팅을 통한 이색적인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관객확보와 무용의 대중화에 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보다 수준 높은 공연을 감상하기 위한 관객에게 맞는 구체적인 홍보전략이 성공을 거두었다는 점에서, 특정고객에게 한정된 무용계에 체계적인 홍보가 정립되면 대중의 무용인식도 향상과 장기고객 확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잇점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넷째, 정동극장의 리더중심 극장운영철학을 통하여 무용계는 보다 전문적인 기획력을 확보해야 될 필요성을 깨닫게 해 주었다.
      결국 공연예술기획이란 관객의 입장에 서서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기획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일 구성이 있을 때 성공의 가능성이 커진다는 사실도 유도할 수 있었다. 따라서, 타 예술에 비해 공연예술기획이 부족한 무용계에 전문적인 공연기획이 정립되어 보다 대중적이고 수준 높은 작품을 선보여 거듭 발전할 수 있는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전문적인 공연기획이 미흡한 무용계 현실을 직시하여 그 기획의 중요성을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공연기획의 성공을 본 정동극장을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시작되었다.기본적인 공...

      전문적인 공연기획이 미흡한 무용계 현실을 직시하여 그 기획의 중요성을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공연기획의 성공을 본 정동극장을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시작되었다.기본적인 공연기획의 개념에 관한 고찰과 무용과 접목된 공연기획의 영향력에 대하여 살펴보고 정동극장이 성공적일 수 있었던 몇 가지 기획들을 연구해 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관객들의 편리성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연장 내의 시설적 변화가 가지고 온 정동극장을 통하여 공연예술계의 고정적 개념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고객지향마케팅을 통한 이색적인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관객확보와 무용의 대중화에 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보다 수준 높은 공연을 감상하기 위한 관객에게 맞는 구체적인 홍보전략이 성공을 거두었다는 점에서, 특정고객에게 한정된 무용계에 체계적인 홍보가 정립되면 대중의 무용인식도 향상과 장기고객 확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잇점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넷째, 정동극장의 리더중심 극장운영철학을 통하여 무용계는 보다 전문적인 기획력을 확보해야 될 필요성을 깨닫게 해 주었다.
      결국 공연예술기획이란 관객의 입장에 서서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기획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일 구성이 있을 때 성공의 가능성이 커진다는 사실도 유도할 수 있었다. 따라서, 타 예술에 비해 공연예술기획이 부족한 무용계에 전문적인 공연기획이 정립되어 보다 대중적이고 수준 높은 작품을 선보여 거듭 발전할 수 있는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