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개정 전, 후에 나타난 듣기 기술 비교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0891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2011.08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420.7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n) analysis of listening skill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 형태사항

        iv, 8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으로 '수능 유형 1, 2회' 수록
        참고문헌 수록
        각주 수록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 과정은 학습자의 교육의 질을 관리하기위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교육 계획안으로 교육 목표, 교육 내용, 방법, 평가 및 운영 방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교육과학기술부는 교...

      교육 과정은 학습자의 교육의 질을 관리하기위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교육 계획안으로 교육 목표, 교육 내용, 방법, 평가 및 운영 방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교육과학기술부는 교과서 검증 절차를 마련하여 각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교육 목표가 각 교과서에 반영되도록 하고 있다.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공통영어 교과서 역시 교육부의 검인증을 거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매체를 영어 학습에 활용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는 고등학교 영어교육에 있어서 교과서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빈번한 교육과정의 개정은 입시의 변화를 초래하고 곧 전면전인 영어 교과서의 개편으로 이어지게 된다. 2002학년도부터 고등학교에 적용되어온 제7차 교육과정은 교육현장에서 매우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후 고등학교에 적용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21세기의 지식,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국제 공용어인 영어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관심과 흥미를 유지시키며,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어 왔다. 무엇보다도 외국어과 교육과정 해설서에 따르면 ‘학생들이 현대 일상 영어를 이해하고 이를 사용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름으로써 국제 사회와 외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 문화를 발전시켜 국력신장에 기여 할 수 있는 언어적 바탕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둔다.’고 명시하고 있다 (교육부, 2001).
      이는 제6차 교육 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습득을 강조 하고 있는 것이다. 허나 이러한 의사소통능력의 습득에 핵심적인 요소는 말을 하기 이전에 상대방의 말을 듣고 그 의도와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듣기 능력이 선행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앞선 1960~1970년대에도 외국어 학습에서 듣기 기능을 강조한 청각 구두 교수법(Audio Lingual Method)이 유행하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많은 학자들의 연구가 있어 왔는데, Lundsteen (1971)은 언어의 다른 영역에 비해 듣기 영역의 기능이 다른 영역으로 전이력이 가장 우수하다고 했으며, Asher(1969)는 실험을 통해서 듣기 이해가 말하기보다 먼저 숙달될 경우 언어 학습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마찬가지로 Gary&Gary(1981) 역시 듣기 우선 학습법의 장점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많은 학자들의 주장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듣기 능력의 습득은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듣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대학 수학 능력시험에서도 듣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4년의 16%에서 현재 50문항 중 듣기가 17문항으로 전체의 33%를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2010년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2011년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는 2014학년도부터는 듣기의 비중을 25문항으로 확대 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효과적인 듣기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교과서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실제로도 많은 선행 연구가 있어왔다. 효과적 듣기 습득을 위해 Richards & Rogers(1986)는 과업중심의 교제를 제시하였는데, 이후 교육과정에서 과업중심으로 교재를 제작하도록 명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실제로 현재 고등학교 1학년 공통영어의 교과서 듣기 부분 역시 과업 중심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듣기의 과업분석에 초점을 두었으며, 교육과정과 연계를 한 연구들 역시 6차, 7차 교육 과정과 관련된 것이었고, 아직까지 제7차 개정교육과정에 맞추어 개정된 교과서의 듣기와 수능 외국어 영역 듣기와의 연관 관계를 연구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7차 교육과정과 이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듣기 이해기능 목표를 비교해보고, 이를 적절히 습득하기 위해서 개정 교과서들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구성되어있는가를 개정이전의 교과서와 비교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 수능 외국어 영역의 5개년 듣기 평가 유형을 비교 분석을 한 후,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공통영어 교과서가 이를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듣기 과업이 목표로 한 세부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목 차 >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
      • < 목 차 >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
      • 1.2. 연구의 목적과 의의 ........................................................................ 3
      • 1.3. 연구의 제한점 ................................................................................. 5
      • 2. 이론적 배경
      • 2.1. 듣기의 중요성과 특성 ..................................................................... 6
      • 2.1.1. 듣기의 중요성 ......................................................................... 5
      • 2.1.2. 듣기의 특성 ............................................................................. 7
      • 2.2. 듣기 이해과정 ................................................................................. 9
      • 2.2.1. 상향식 과정(Bottom-Up Processing) ................................... 9
      • 2.2.2. 하향식 과정(Top-Down Processing) ....................................10
      • 2.2.3. 상호작용식 과정(Interactive Processing)...............................11
      • 2.2.4. 정보 처리 모형(Information-Processing Model).................. 12
      • 2.3. 듣기 세부기술 ............................................................................... 14
      • 2.3.1. Peterson의 분류 ....................................................................14
      • 2.3.2. White의 분류 .........................................................................17
      • 2.3.3. Richards의 분류 ....................................................................18
      • 2.3.4. Brown 의 분류 ......................................................................20
      •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3.1. 연구 문제 .......................................................................................21
      • 3.1.1. 제7차 영어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 ........................21
      • 3.1.2. 수능 외국어 영역의 듣기 평가 목표 ........................................24
      • 3.1.3. 개정 전 후 교과서 비교분석 ....................................................28
      • 3.2. 연구 대상 .......................................................................................30
      • 3.3. 연구 도구 .......................................................................................33
      • 3.4. 연구의 절차 및 자료 분석 ..............................................................40
      • 4. 연구 결과 및 논의
      • 4.1. 제7차 교육 과정 듣기 이해기능 목표와의 일치여부 ......................41
      • 4.2. 교과서 듣기과정별 분포 .................................................................42
      • 4.2.1 개정 전 교과서간 상향식, 하향식, 상호 작용식 분포 .............42
      • 4.2.2 개정 후 교과서간 상향식, 하향식, 상호 작용식 분포 .............48
      • 4.2.3 개정 전 후 교과서간 상향식, 하향식, 상호 작용식 분포 비교.54
      • 4.3. 수능 외국어 영역 시험의 듣기 과정별 분포 ..................................57
      • 4.3.1 수능 외국어영역시험의 듣기 과정별 분포 ..............................57
      • 4.4. 개정 전, 후 교과서를 사용한 수업진행결과.....................................60
      • 4.4.1 A 집단의 수능외국어 영역시험의 듣기 결과............................60
      • 4.4.2 B 집단의 수능외국어 영역시험의 듣기 결과 ..........................62
      • 5. 결론 및 제언
      • 5.1. 결론 및 제언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