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01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성종 태실의 초장지와 이장지를 풍수지리적으로 상호 비교하여 그 특징을 규명하는데 있다. 장태풍속은 인간생명에 대한 외경과 존중심을 나타내는 고유문화의 하나라...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성종 태실의 초장지와 이장지를 풍수지리적으로 상호 비교하여 그 특징을 규명하는데 있다. 장태풍속은 인간생명에 대한 외경과 존중심을 나타내는 고유문화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장태의 의미는 풍수적 명당에 태를 안치함으로써 동기감응에 의한 왕실의 번성, 무병장수, 무탈한 성장 등을 기원하는 것이었다. 풍수지리 이론에서 음택 풍수는 조상의 체백을 길지에 매장하여 땅의 생기를 받고 이것이 후손과의 감응을 통한 발복이라는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태봉풍수는 당사자의 태가 명당 길지의 생기에 접하여 감응하므로서 본인이 발복한다는 양택풍수의 발복 메커니즘과 유사하다.
      기본적으로 장태는 풍수에 근거하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주로 고미술사학, 역사학, 민속학적 측면에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풍수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 왕실의 태봉 중 이장경력이 있는 성종 태실의 초장지와 이장지를 풍수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 성종 태봉은 초ㆍ이장지 모두 지기가 강하게 응축되어 있는 돌혈(突穴)명당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장풍국의 산곡돌혈에서 득수국의 평지돌혈로 이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장지인 산곡돌혈은 장풍국으로서 사신사 등의 국세를, 이장지인 평지돌혈은 득수국으로서 수세를 더욱 중요시하여 ‘산곡에서는 장풍, 평야에서는 득수가 중요’하다는 풍수고전 이론이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선국왕의 초ㆍ이장지 태봉에 대한 최초의 연구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으나 지역적 한계점과 초ㆍ이장지만을 가지고 풍수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논리적 비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조선왕의 태봉을 모두 조사하여 풍수적 판단과 적용된 풍수이론을 규명하는 연구가 향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d on Taebong(胎峰: mountaintop where placenta is buried) of Sungjong(成宗), the 9th King of Joseon(朝鮮), performs comparative analysis on feng-shui geographical position of initial and moved Taebong and purpose of it is to ...

      This research, focused on Taebong(胎峰: mountaintop where placenta is buried) of Sungjong(成宗), the 9th King of Joseon(朝鮮), performs comparative analysis on feng-shui geographical position of initial and moved Taebong and purpose of it is to retain appropriate feng-shui implication. Reason for selecting Taebong of Sungjong as the research subject is because Taebong holds record of being moved and thus is appropriate for stating the feng-shui difference.
      The custom of burying placenta(胎) is a living ritual expressing respect upon human life and it can be seen as an exclusive culture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burying placenta is to wish for abundance and development of descendants, and influence of feng-shui geographics was considerably great.
      Feng-shui theory is a mechanism which works in process of allowing descendants to encounter good fortune by burying their ancestors in a good land. Accordingly, to bury placenta underground is an attempt of receiving a good fortune by forming harmony with the energy of land. In Korea, research on Taebong has been progressed mainly in the fields of art history, historical studies, and folklore. However, feng-shui research, one of the most important backgrounds, is insufficient as of today.
      As a result of research, initial Taebong of Sungjong and Taebong of Sungjong moved afterwards share a commonness that the energy of land is strongly gathered at Dol Hole(突穴: shape of risen hole). However, It has been indirectly analyzed that the initial Taebong is located at a mountain whereas the moved Taebong is located at a primary pla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ashinsa(四神砂: shape of hole surrounded by four mountains) was considered important for Taebong located at a mountain and the flow of water was considered important for Taebong located at a flatla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조선왕실의 안태 제도와 태봉의 입지 선정 조건
      • Ⅲ. 성종 초장지 태봉의 풍수지리적 입지 분석
      • Ⅳ. 성종 이장지 태봉의 풍수지리적 입지 분석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조선왕실의 안태 제도와 태봉의 입지 선정 조건
      • Ⅲ. 성종 초장지 태봉의 풍수지리적 입지 분석
      • Ⅳ. 성종 이장지 태봉의 풍수지리적 입지 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