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코백의 친환경성에 대한 소비자 의식 연구 - 20대 여성 캔버스 에코백 사용자에 대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135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친환경, 실용성의 이유로 인기 패션아이템인 캔버스 에코백에 대해 소비자들이 인지하고 있는친환경성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에코백에 관심이 제일 많은 연령대인 20대 여성에대한 질적 연구를 하여 10명의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원료 생산부터 사용 후 폐기 과정까지의 이론 연구를 기초로 수행한 인터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코백의 친환경적인 요소에 대해서 수동적인 입장을취한다. 천으로 만들었거나 에코백이라 불리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둘째, 친환경에 대한 지식과 에코백을 연관 짓지 않고 있다. 유기농 제품을 주로 인체와 직접적 연관이 있는 식품과 연관시켜 생각하며, 그 외의 환경 피해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셋째, 에코백에대한 사용 이유로 편리함, 실용성을 들어 친환경과 연관을 짓지 않고 있다. 넷째, 에코백 사은품의 활용도가적다.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자원 활용도를 떨어뜨린다. 다섯째, 사용주기 연장을 위한적극적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상용의 경우 세탁 보다는 저렴한 가격으로 재구매를 택하기도한다.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한 결과, 에코백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에코백에 대해 친환경적의식을 크게 결부시키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정성적 연구는 에코백 연구에 친환경을 전제로 한 기존연구와는 다른 시각을 제시해 양적 연구를 통해 알 수 없었던 에코백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알 수 있어, 친환경 연구에 대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재고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의유효성을 위한 후속 정량적 연구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하여 20대 에코백 사용자에 대한 친환경과 연관된 마케팅 전략, 소비자 교육 방향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친환경, 실용성의 이유로 인기 패션아이템인 캔버스 에코백에 대해 소비자들이 인지하고 있는친환경성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에코백에 관심이 제일 많은 ...

      본 연구는 친환경, 실용성의 이유로 인기 패션아이템인 캔버스 에코백에 대해 소비자들이 인지하고 있는친환경성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에코백에 관심이 제일 많은 연령대인 20대 여성에대한 질적 연구를 하여 10명의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원료 생산부터 사용 후 폐기 과정까지의 이론 연구를 기초로 수행한 인터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코백의 친환경적인 요소에 대해서 수동적인 입장을취한다. 천으로 만들었거나 에코백이라 불리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둘째, 친환경에 대한 지식과 에코백을 연관 짓지 않고 있다. 유기농 제품을 주로 인체와 직접적 연관이 있는 식품과 연관시켜 생각하며, 그 외의 환경 피해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셋째, 에코백에대한 사용 이유로 편리함, 실용성을 들어 친환경과 연관을 짓지 않고 있다. 넷째, 에코백 사은품의 활용도가적다.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자원 활용도를 떨어뜨린다. 다섯째, 사용주기 연장을 위한적극적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상용의 경우 세탁 보다는 저렴한 가격으로 재구매를 택하기도한다.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한 결과, 에코백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에코백에 대해 친환경적의식을 크게 결부시키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정성적 연구는 에코백 연구에 친환경을 전제로 한 기존연구와는 다른 시각을 제시해 양적 연구를 통해 알 수 없었던 에코백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알 수 있어, 친환경 연구에 대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재고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의유효성을 위한 후속 정량적 연구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하여 20대 에코백 사용자에 대한 친환경과 연관된 마케팅 전략, 소비자 교육 방향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canvas eco-bags, which are popular because they are eco-friendly and practical. In-depth interviews with ten women were conducted. The women selected were all in their twenties because this age band seems to be the most interested in eco-bags. Based on background research about sustainable fashion from production to end of life, this study has produced some interesting results. Firstly, they were largely unaware of the implications of eco-friendliness, believing eco-bags to be eco-friendly because they are made of fabric. Secondly, they had some knowledge about sustainability, although they did not connect this with eco-bags. They would normally relate organic products with organic food, which has direct connections with the body. However, they did not apply this eco-thinking to the environment. Thirdly, interviewees connected not with sustainability but with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as reasons for using eco-bags. Fourthly, the usage of eco-bag freebies was very low. They would normally store them at home instead of using them, leading to low availability of resources. Lastly, they were not active as to extending the bags’ use period. They would rather purchase new eco-bags instead of washing the old ones, because of their low price. In conclusion, although young eco-bag users use eco-bags frequently, they do not relate eco-friendly awareness and behavior to eco-bags. This qualitative research could give an opportunity of learning the consumer consciousness, which is hard to know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Also, this can be worked as a guideline for follow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it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marketing strategies and customer education for young eco-bags users.
      번역하기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canvas eco-bags, which are popular because they are eco-friendly and practical. In-depth interviews with ten women were conducted. The women selected were all in their twenties because this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canvas eco-bags, which are popular because they are eco-friendly and practical. In-depth interviews with ten women were conducted. The women selected were all in their twenties because this age band seems to be the most interested in eco-bags. Based on background research about sustainable fashion from production to end of life, this study has produced some interesting results. Firstly, they were largely unaware of the implications of eco-friendliness, believing eco-bags to be eco-friendly because they are made of fabric. Secondly, they had some knowledge about sustainability, although they did not connect this with eco-bags. They would normally relate organic products with organic food, which has direct connections with the body. However, they did not apply this eco-thinking to the environment. Thirdly, interviewees connected not with sustainability but with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as reasons for using eco-bags. Fourthly, the usage of eco-bag freebies was very low. They would normally store them at home instead of using them, leading to low availability of resources. Lastly, they were not active as to extending the bags’ use period. They would rather purchase new eco-bags instead of washing the old ones, because of their low price. In conclusion, although young eco-bag users use eco-bags frequently, they do not relate eco-friendly awareness and behavior to eco-bags. This qualitative research could give an opportunity of learning the consumer consciousness, which is hard to know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Also, this can be worked as a guideline for follow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it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marketing strategies and customer education for young eco-bags us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친환경성
      • 2. 에코백의 친환경성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친환경성
      • 2. 에코백의 친환경성
      • 3. 에코백의 친환경적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소비자 의식
      • Ⅲ. 연구방법
      • 1. 질적 연구 방법
      • 2. 연구 설계
      •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Ⅳ. 20대 여성의 캔버스 에코백에 대한 친환경적 소비자 의식
      • 1. 에코백의 인식
      • 2. 에코백의 친환경 인식
      • 3. 에코백의 환경영향력
      • 4. 에코백 구매 고려 사항
      • 5. 에코백 사용의 실용성
      • 6. 에코백 착용에 대한 인식
      • 7. 에코백 사은품의 비환경성
      • 8. 에코백의 세탁과 관리
      • Ⅴ. 요약 및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준영, "평창 동계올림픽 홍보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 집-업 셔츠 와 에코백 디자인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8) : 441-454, 2015

      2 조남혜, "패션제품 구매 후 경험하는 ‘후회' 감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2 (12): 1-19, 2012

      3 장남경, "친환경패션에 대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과 태도: 질적 방법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8 (8): 31-47, 2008

      4 김별, "친환경디자인을 위한 여성용 패션가방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25-34, 2012

      5 송시은, "청소년의 소비자의식과 합리적 소비행동"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김경희, "지속가능 패션에 대한 국내 소비자 의식 조사 연구" 한복문화학회 17 (17): 93-107, 2014

      7 김현주, "지속가능 패션 디자인의 사례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5 (15): 53-68, 2015

      8 변지나, "에코백을 통한 에코 디자인 지도 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9 권정숙, "에코백에 표현된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6 (6): 196-203, 2012

      10 NAVER DataLab, "에코백"

      1 김준영, "평창 동계올림픽 홍보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 집-업 셔츠 와 에코백 디자인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8) : 441-454, 2015

      2 조남혜, "패션제품 구매 후 경험하는 ‘후회' 감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2 (12): 1-19, 2012

      3 장남경, "친환경패션에 대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과 태도: 질적 방법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8 (8): 31-47, 2008

      4 김별, "친환경디자인을 위한 여성용 패션가방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25-34, 2012

      5 송시은, "청소년의 소비자의식과 합리적 소비행동"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김경희, "지속가능 패션에 대한 국내 소비자 의식 조사 연구" 한복문화학회 17 (17): 93-107, 2014

      7 김현주, "지속가능 패션 디자인의 사례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5 (15): 53-68, 2015

      8 변지나, "에코백을 통한 에코 디자인 지도 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9 권정숙, "에코백에 표현된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6 (6): 196-203, 2012

      10 NAVER DataLab, "에코백"

      11 김해룡, "소비자 가치와 친환경프로모션 효과:에코백 프로모션을 중심으로"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7 (17): 191-209, 2015

      12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녹색소비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13 김미현, "거북선 패턴을 적용한 패션 문화 상품에 관한 연구 - 에코백을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61-71, 2013

      14 Park, H. R., "‘진짜 에코백’ 업사이클링열풍 뒤에는.."

      15 Maeng, S. H., "‘에코백’아, 에코는 어디 갔니?"

      16 천경희, "‘소비와 윤리’ 교과목 수강 대학생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과 실천행동의 변화" 한국생활과학회 21 (21): 505-526, 2012

      17 "WHAT YOU SHOULD KNOW ABOUT ORGANIC COTTON"

      18 Thompson, M., "Theory of sample surveys" Chapman & Hall/CRC 1997

      19 Fottrell, Q., "The truth about reusable shopping bags"

      20 British Fashion Council, "The Sustainable Thread of a Product Lifecycle" British Fashion Council

      21 Denzin, N. K.,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2005

      22 Spradley, J., "The Ethnographic Interview" Waveland Pr Inc 2016

      23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2007

      24 Lee, D. I.,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onsumers toward eco-bag"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25 Sweeny, G, "It's the Second Dirtiest Thing in the WorldAnd You're Wearing It"

      26 "ABOUT FUTURE FASHION"

      27 Yoo, K. A.,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8

      28 김혜은,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Sustainable Fashion through Esthetica at London Fashion Week" 한국의류산업학회 17 (17): 168-177, 2015

      29 Cho, J. H., "5000만의 글쓰기" Deulnyeok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9-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7-04-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학회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1 1.41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41 1.549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