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존의 실버세대와 다른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을 지닌 65세75세를뉴실버세대라고 정의하고뉴실버세대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건강관리, 재테크, 여가활동 및 사회/봉사활동,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13500
2017
Korean
뉴실버세대 ; 라이프스타일 ; 여가활동 ; 의복스타일 ; 성공적 노화 ; new silver generation ; lifestyles ; leisure activity ; fashion style ; successful aging
KCI등재
학술저널
67-81(1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의 실버세대와 다른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을 지닌 65세75세를뉴실버세대라고 정의하고뉴실버세대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건강관리, 재테크, 여가활동 및 사회/봉사활동, ...
본 연구는 기존의 실버세대와 다른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을 지닌 65세75세를뉴실버세대라고 정의하고뉴실버세대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건강관리, 재테크, 여가활동 및 사회/봉사활동, 의복스타일 및 외모관리 차원에서 실증적 고찰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하였고 뉴실버세대 이전과의 라이프스타일 및 의복스타일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뉴실버세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및 의복스타일에 대한 기초연구를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산층 이상의 경제력이 있는 뉴실버세대 여성으로 문화소비를 하고 백화점에서 의복쇼핑을 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면접 대상자들은 연령과 거주 지역, 쇼핑장소를 기준으로목적표집과 스노우볼 모집법을 병행하여 모집하였고 서울, 경기, 대구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6575세여성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뉴실버세대 여성들은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고 있었으며, 아직 경제활동을하고 있거나 재테크를 통해 노후 준비를 마친 상태이며, 경제적으로 자립심이 높은 상태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여가활동으로 문화소비의 수준이 높았다. 뉴실버세대 이전과 비교하여 라이프스타일 측면에서는 더욱 여가지향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신체적 노화는 모두 인지하지만 심리적인 노화는 전혀 경험하지않았거나 소수는 우울감 또는 편안함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복스타일은 유행은 고려하지 않되 단정하고 기본에 벗어나지 않으며 편안한 의복스타일을 추구하고 평상시와 여가활동 시 의복을 장소에 맞춰 다르게 착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뉴실버세대 이전과의 의복스타일의 변화는 체형이 변하지 않는 한, 대부분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제 나이보다 인지적으로 본인을 더 젊게 생각하고 있어 이와 같은 연소화 현상으로인하여 뉴실버세대 이전과 동일한 스타일을 추구하고 젊음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로 비추어졌다. 뉴실버세대 여성들이 실제 인지하는 연령이 515세가량낮게 지각하고 있으므로 국내 의류산업에서는 50대를 타겟으로 한 의복스타일과의 경계가 나타나지 않게 스타일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fine a term new silver generation who are aged between 65-75 with different values and lifestyles. Lifestyles of new silver generation women were examined in terms of health care, investment technique, leisure activity and social...
This study aimed to define a term new silver generation who are aged between 65-75 with different values and lifestyles. Lifestyles of new silver generation women were examined in terms of health care, investment technique, leisure activity and social service activity, as well as fashion styles and appearance management. This study also analyzes changes of lifestyles and fashion styles of pre-new silver generation and aims to provide a basic research on lifestyles and fashion styles of new silver generation women. For this study, 9 new silver generation women were recruited who were middle class and above and doing cultural consumption and clothing shopping in department stores. They were recruited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snowball sampling method by age, residential district, and shopping a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new silver generation women had a healthy life habit and carried out economic activity or later life preparation was done through investments therefore they had high economical sense of independence. Also, they worked on various types of leisure activity thus culturally advanced. Secondly, compared to pre-new silver generation, their lifestyle was turned to more leisure orientated. New silver generation women were aware of physical aging but not psychological aging, a few of them had experienced melancholy or comfort but majority had never experienced. Thirdly, in case of fashion styles, new silver generation women pursued neat, basic and comfortable fashion styles without considerations of trends and they wore differently for ordinary and leisure activities depends on places. Changes of fashion styles were nonexistent compared to pre-new silver generation in so far as their figures were not changed and they cognized themselves younger than actual age therefore the down-aging phenomenon reflected desires of maintaining youth and the same fashion styles as pre-new silver gener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윤지, "한국의 미래 의생활 트렌드 예측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7 (17): 155-168, 2017
2 강유진, "한국여성노인의 생애경험과 노년기 적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 김은하, "중년 이후 여성의 노화에 대한 불안감" 한국간호교육학회 13 (13): 192-202, 2007
4 김유덕, "중·노년층 여성의 의복추구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 28 (28): 746-757, 2004
5 황순신, "실버세대의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실버소비시장의 질적 변화 연구"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6 장안화, "실버세대 여성의 의복 디자인 선호도 -60대 이상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8 (8): 496-504, 2006
7 Murata, H., "시니어비즈니스: 미국과 일본의 선진국형실버산업에서 배우는10가지 성공전략 [(The)Business ofaging: 10 successful strategies for a diverse market]" Nexusbook 2005
8 안미선, "시니어 모델 교육 프로그램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참여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 신체만족도, 신체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패션연출 자신감의 특성비교"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8 (18): 66-79, 2014
9 Kwon, R., "서울시, 2026년 ‘초고령 사회’...노인 인구 20% 넘어 [Seoul, ‘superaged society’ by2026...population of old people more than 20%]"
10 최나홍, "서울시 거주 성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건강신념 수준과 건강행동 실천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683-696, 2011
1 배윤지, "한국의 미래 의생활 트렌드 예측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7 (17): 155-168, 2017
2 강유진, "한국여성노인의 생애경험과 노년기 적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 김은하, "중년 이후 여성의 노화에 대한 불안감" 한국간호교육학회 13 (13): 192-202, 2007
4 김유덕, "중·노년층 여성의 의복추구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 28 (28): 746-757, 2004
5 황순신, "실버세대의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실버소비시장의 질적 변화 연구"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6 장안화, "실버세대 여성의 의복 디자인 선호도 -60대 이상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8 (8): 496-504, 2006
7 Murata, H., "시니어비즈니스: 미국과 일본의 선진국형실버산업에서 배우는10가지 성공전략 [(The)Business ofaging: 10 successful strategies for a diverse market]" Nexusbook 2005
8 안미선, "시니어 모델 교육 프로그램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참여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 신체만족도, 신체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패션연출 자신감의 특성비교"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8 (18): 66-79, 2014
9 Kwon, R., "서울시, 2026년 ‘초고령 사회’...노인 인구 20% 넘어 [Seoul, ‘superaged society’ by2026...population of old people more than 20%]"
10 최나홍, "서울시 거주 성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건강신념 수준과 건강행동 실천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683-696, 2011
11 Chaney, D., "라이프스타일 [Lifestyles]" Ilsinsa 2004
12 Webley, P., "라이프 심리학 [The economic psychology of everyday life]" Dasan books 2009
13 Kyobosaengmyung, "대한민국시니어리포트 [Korea senior report]" Seniors partners 2011
14 김차현, "뉴실버 여성을 위한 의복추구이미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329-341, 2012
15 김정실, "뉴실버 여성소비자의 지각연령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쇼핑성향 연구 (제2보)" 한국의류학회 32 (32): 1726-1738, 2008
16 변미연, "뉴실버 세대 패션 브랜드에 관한 연구 -내셔널 브랜드 「쉐르치」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226-236, 2011
17 김미영, "뉴시니어 소비자의 주관적 연령에 따른 패션정보원활용 및 패션점포선택기준"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5 (15): 91-107, 2015
18 임경복, "뉴 실버세대의 자기효능감과 외모관심이 외모관리행동과 의복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6 (16): 163-175, 2014
19 Kwon, J. D., "노인복지론 [Older people welfare]" Hakjisa 2012
20 Gunter, B, "노인 소비자의 이해 [Understanding the older consumer]" Sigmapress 2010
21 Shin, K. H., "고령화시대 삶의 패러다임 [Life paradigm of aging era]" Korea University Press 2012
22 김정실, "고령화 사회의 뉴 실버세대 특성에 따른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8) : 273-288, 2008
23 金珍衡, "大都市 老人의 敎育要求調査 硏究"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3
24 Kim, S. W, "[뉴실버가 뜬다]<上> “난 실버가 아니야” [[Be at an interval of new silver]
25 Yoon, J. W.,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activity and leisur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successful aging. Unpublished masters's thesis, University of Seoul" University of Seoul 2015
26 Kim, H. N., "A study on the middle-aged depressed women’s cognition of life experiences: Focus on the effect of experiences at home during the growing period" Ewha Womans University 2009
27 Seo, S. H, "A study on expanded silver consumers market and marketing strategies of silver industry in Korea" Yeungnam University 2004
현대 패션디자인에 활용된 한글의 조형성 및 내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09-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Fashion Design | ![]() |
2016-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16-09-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09-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8-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07-04-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학회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1-1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1 | 1.41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8 | 1.41 | 1.549 | 0.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