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chool Art Therapy on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rt Self-Ex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19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rt therapy on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especially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art self-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4th grade children of two-classes were selected as a participant group in Seoul. With the consent of the principal,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30 participants of one clas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EG) and 30 participants of the other clas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CG). Excluding the data of participants dropout, 42 data were obtained. 20 data of EG and 22 data of CG were examined for the final analysis.
      EG children were provided with the weekly class of art therapy (eight sessions over a two-month period; one session per 40 min.) instead of regular art-class. CG children were not provided with any art therapeutic activities. Both group were evaluated with the scales of emotional expressivity and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DAPR(Draw A Person in the Rain) assessment.
      In order to present the changes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the paired samples t-test was conducted. Also, ASEA(Art Self-Expression Ability) assessment was measured in EG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the art works. ASEA was conducted by selecting works of the 1st and 8th session of school art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EG’s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C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Second,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E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tress coping strategies, whereas no significant or meaningful changes in the CG.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G and CG in the scores of ‘stress’ and ‘coping capacity’ in DAPR assessment. In other words, C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DAPR before/after.
      Fourth, this study indicated EG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SEA, comparing 1st with 8th drawings after school art therapy ses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art therapy in school gives children a positive and meaningful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rt self-exp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at the school art therapy as a psychological servic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vides a supportive program, which is to prevent and reduce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rt therapy on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especially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art self-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4th grade children of two-cl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rt therapy on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especially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art self-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4th grade children of two-classes were selected as a participant group in Seoul. With the consent of the principal,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30 participants of one clas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EG) and 30 participants of the other clas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CG). Excluding the data of participants dropout, 42 data were obtained. 20 data of EG and 22 data of CG were examined for the final analysis.
      EG children were provided with the weekly class of art therapy (eight sessions over a two-month period; one session per 40 min.) instead of regular art-class. CG children were not provided with any art therapeutic activities. Both group were evaluated with the scales of emotional expressivity and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DAPR(Draw A Person in the Rain) assessment.
      In order to present the changes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the paired samples t-test was conducted. Also, ASEA(Art Self-Expression Ability) assessment was measured in EG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the art works. ASEA was conducted by selecting works of the 1st and 8th session of school art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EG’s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C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Second,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E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tress coping strategies, whereas no significant or meaningful changes in the CG.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G and CG in the scores of ‘stress’ and ‘coping capacity’ in DAPR assessment. In other words, C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DAPR before/after.
      Fourth, this study indicated EG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SEA, comparing 1st with 8th drawings after school art therapy ses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art therapy in school gives children a positive and meaningful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rt self-exp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at the school art therapy as a psychological servic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vides a supportive program, which is to prevent and reduce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서울시 N구의 위치한 사립 초등학교에서 4학년 학급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하였다. 교장, 담임교사와 논의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2개의 학급이 선정되었고, 실험집단 1개의 학급에는 2017년 9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 주 1회 4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미술교과 수업시간에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 1개의 학급에는 동일한 기간 동안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사전·사후 자기보고식 설문지인 정서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 투사적 그림검사로써 빗속사람그림(DAPR)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 학급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의 하위요인인 주제표현, 색채, 형태, 화면의 구성, 창의성 영역의 점수가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의 빗속사람그림 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점수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자원 점수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실험집단의 미술자기표현과 빗속사람그림(DAPR)검사에도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정서 및 행동장애를 지닌 아동이 아닌 일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학교미술치료가 학교 체계에서 겪는 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에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서울시 N구의 위치한 사립 초등학교에...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서울시 N구의 위치한 사립 초등학교에서 4학년 학급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하였다. 교장, 담임교사와 논의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2개의 학급이 선정되었고, 실험집단 1개의 학급에는 2017년 9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 주 1회 4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미술교과 수업시간에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 1개의 학급에는 동일한 기간 동안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사전·사후 자기보고식 설문지인 정서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 투사적 그림검사로써 빗속사람그림(DAPR)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 학급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의 하위요인인 주제표현, 색채, 형태, 화면의 구성, 창의성 영역의 점수가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의 빗속사람그림 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점수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자원 점수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실험집단의 미술자기표현과 빗속사람그림(DAPR)검사에도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정서 및 행동장애를 지닌 아동이 아닌 일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학교미술치료가 학교 체계에서 겪는 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에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학교미술치료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학교미술치료 5
      • 1) 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의 개념 5
      • 2) 학교미술치료의 개념 7
      • 3) 학교미술치료 선행연구 9
      • 2. 정서표현 10
      • 1) 정서와 정서표현의 개념 10
      • 2) 아동의 정서표현 12
      • 3) 아동의 정서표현과 미술치료 13
      • 3. 스트레스 대처행동 14
      • 1)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개념 14
      • 2)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16
      • 3)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19
      • 4. 미술자기표현 20
      • 1) 자기표현의 개념 20
      • 2) 미술자기표현의 개념 21
      • 3) 아동의 미술자기표현 22
      • 5. 빗속사람그림(DAPR)검사 23
      • 1) 투사적 그림검사 23
      • 2) 빗속사람그림(DAPR)검사와 선행연구 25
      • Ⅲ. 연구 방법 26
      • 1. 연구 대상 26
      • 2. 연구 절차 28
      • 3. 측정 도구 28
      • 1) 정서표현 척도 28
      • 2)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29
      • 3)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 30
      • 4) 빗속사람그림(DAPR)검사 31
      • 4. 학교미술치료 회기 32
      • 1) 회기목표 및 진행과정 32
      • 2) 회기별 구성내용 34
      • Ⅳ. 연구 결과 40
      • 1. 집단간 사전 동질성 검사결과 40
      • 2. 정서표현의 사전-사후 변화 40
      • 3. 스트레스 대처행동 사전-사후 변화 41
      • 4.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 사전-사후 변화 42
      • 5. 빗속사람그림(DAPR)검사 사전-사후 변화 44
      • Ⅴ. 논의 45
      • 1. 결론 및 논의 45
      • 2.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제언 58
      • 참고 문헌 60
      • 부록 73
      • 1. 수업 참여 동의서 73
      • 2. 인적사항 질문지 74
      • 3. 정서표현성 질문지 75
      • 4. 스트레스 대처 질문지 77
      • 5.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 79
      • 6. 빗속사람그림(DAPR)검사 채점기준 80
      • 7. 빗속사람그림(DAPR)검사 질문지 83
      • 8. 회기별 피드백 질문지 84
      • 9. 회기별 미술 작품 87
      • ABSTRACT 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