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서양 윤리패러다임의 충돌과 융합 - 한국 근현대 100년, 그리고 미래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한반도에서는 근대의 여명기 서양 사상과의 교류가 일기 시작하면서 동서양 윤리관의 충돌과 융합 과정이 있어왔다. 그러나 그간 한국의 지적 풍토는 동서양 윤리패러다임의 충돌과 융합...

      1. 한반도에서는 근대의 여명기 서양 사상과의 교류가 일기 시작하면서 동서양 윤리관의 충돌과 융합 과정이 있어왔다. 그러나 그간 한국의 지적 풍토는 동서양 윤리패러다임의 충돌과 융합 과정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검토하는 연구 과정이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이 같은 지적 풍토를 개선하고, 21세기 한국인을 위한 ‘윤리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절박한 심정으로 동서양철학전공 연구자가 합심하여 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2. 이 연구는 총 2년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1차년도의 연구 과제는 봉건사회 해체기부터 1987년 민주화 체제 형성기까지 동서양 사상 교류 과정에서 태동했던 근현대 주요 사회․정치사상 안에 배어 있는 전통 윤리사상 요소와 서양 윤리이론 요소가 서로 만나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미친 공과를 철학적 방법으로 평가하는 것이었다. 그 과정에서 우리 연구진은 전통 윤리사상이 가지는 현재적 의미, 전통 윤리사상과 서양 윤리이론이 각기 수행했던 역할(촉매, 왜곡, 배제, 종속, 지배), 그리고 양자간의 관계(충돌, 갈등, 절충, 변용, 상호변용, 융합) 등을 분석하고 종합하며 평가하였다. 2차년도의 연구 과제는 1987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새롭게 등장한 시대과제들을 중심으로 동서양 윤리패러다임의 역할, 관계, 과제 해결의 공과 등을 검토하였다. 2차년도의 연구 목표는 ‘새로운 윤리패러다임을 모색하는 다양한 철학적 입장들’을 검토하고 ‘1차년도의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동서양 윤리패러다임의 융합을 위한 자주적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하였으며, 또 자주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한국인의 미래를 밝혀줄 가치평가의 ! 기준이자 행위의 방향성을 알리는 ‘사회․역사․문화적 존재론’으로서의 ‘새로운 윤리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 2년간에 걸친 연구 성과는 조만간 총 27개의 소논문으로 집대성될 것이며 단행본으로도 출판되어 일반인에게 한국 근현대의 동서양 윤리사상의 교류 과정과 한국인의 삶의 체험을 조명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다.

      4. 우리가 작성한 논문들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

      1. 동서양 문명의 만남을 바라보는 관점들(서유석)
      2. 봉건적 세계상의 해체와 근대적 합리성(김동기/홍영두)
      3. 근대 계몽기의 윤리관과 전통 지식인(양일모/홍영두)
      4. 아나키즘의 윤리관과 전통 윤리관의 만남 및 변용 한국 근대의 경험을 중심으로(김갑수)
      5. 일제하 마르크스주의 역사철학자의 동서양 사상 인식과 도덕․윤리 담론 - 신남철을 중심으로(홍영두)
      6. 근대적 개인의 탄생: 일제하 소설들에서의 주체(양일모/이정우)
      7. 한국 민족주의의 두 얼굴(이정우)
      8. 유교 윤리의 근대적 변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김원열/문성원)
      9. 동서양 윤리론의 기저 비교와 융합가능성 모색(김주일/이현구)
      10. 한국 근현대에서 서양윤리사상과 실학의 만남(권인호)
      11. 한국 근현대 사상사에서 동서양 덕 개념의 만남과 비틀림(정준영/김덕균)
      12. 민주주의 담론과 이데올로기로서의 도덕교육, 그리고 한국의 근대성- 해방 직후부터 4.19의거까지(홍영두)
      13. 1980년대 마르크스주의와 윤리(문성원/홍영두)
      14. 한중일 3국에서 서양 윤리관 수용 태도와 근대성(감갑수/김동기/홍영두)

      2차년도

      1. 공동선 추구와 차이 인정의 문화․윤리 정치 - 신자유주의적 세계시장화와 문화정체성 위기를 중심으로 (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In Korean peninsula at the dawn of modernity, there began interchange of cultures between Korea and Occidental nations. And in this course there were crashes and fusions of those two traditions. But there has been yet no systematic investigation ab...

      1. In Korean peninsula at the dawn of modernity, there began interchange of cultures between Korea and Occidental nations. And in this course there were crashes and fusions of those two traditions. But there has been yet no systematic investigation about this course of collisions and fusions between two ethical paradigms.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has been no such investigation. We tried to correct this intellectual atmosphere, and make a collective study about the ethical paradigm for 21 century Koreans.

      2. This study was accomplished during last two years. The subject of first year is to measure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thoughts which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fusion of West and East by philosophical method. This study treats the era from the dawn of modernity to the year 1987, the era of the democratic movement. In the process, we analysed and synthesized and estimated the traditional ethics, its comtemporary meaning, and the role of Western and Eastern ethics, their exclusive role(catalysis, distortion, exclusion, domination, dependence), and correlative role(crash, struggle, compromise, modification, fusion). The subject of the second year is to examine the role, relation, solution of problems of the Western and Eastern ethical paradigms since the year 1987, in concentrating the new problem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positions" which try to make a new ethical paradigm, and to establish "the independent method for the fusion of Eastern and Western ethical paradigms", and, on the base of our dependent methodology, to give a new ethical paradigm as a "social-historical-cultural ontology" which direct the direction of act and criterion of estimation for future Koreans.

      3. Our product will be collected to 27 papers, and published to a book. We hope that our study could give a new ethical paradigm for the future Koreans, who want to have a harmonious perspective on ethical problem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