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는 서유구(1764~1845)가 40여 년에 걸쳐 저술한 백과사전적 성격의 유서(類書)이다. 여기에는 사대부가 향촌에서 살 때 필요한 지식들을 망라하여 의식주 생활 전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72242
2017
Korean
음청류 ; 임원경제지 ; 정조지 ; 전통음료 ; 전통차 ; Umcheongryu ; Imwonkyengjeji ; Jeongjoji ; traditional beverage ; traditional tea
학술저널
99-109(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는 서유구(1764~1845)가 40여 년에 걸쳐 저술한 백과사전적 성격의 유서(類書)이다. 여기에는 사대부가 향촌에서 살 때 필요한 지식들을 망라하여 의식주 생활 전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는 서유구(1764~1845)가 40여 년에 걸쳐 저술한 백과사전적 성격의 유서(類書)이다. 여기에는 사대부가 향촌에서 살 때 필요한 지식들을 망라하여 의식주 생활 전반과 문화생활 및 건강관리법 등이 16개의 분야로 나누어져 있다. 그 중 제 8지 「정조지(鼎俎志)」는 음식에 대한 내용으로 여기에서 ‘차(茶)’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필사본으로 전해지고 있는 『임원경제지』의 사본(寫本)은 크게 5종류이다. 그런데 백과사전 성격의 유서류는 기존의 지식들을 정리하고 편집하는 과정에서, 또 필사를 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원문 확정을 위해 저본(底本)이나 선본(善本)을 선정하여 이를 수정하여 교감본(校勘本)을 만드는 정본화(定本化)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은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규장각본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정조지」의 “음청지류(飮淸之類)” 가운데 ‘차(茶)’ 항목을 다른 필사본들을 참고하여 교감하여 해석하였다. ‘총론’에서 찻잎이 아닌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탕(湯)이나 장(漿) 등에 ‘차’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지만, 정작 16종 20가지 음료 가운데 찻잎이나 찻가루를 직접 사용한 음료는 9가지에 불과했다. 또 ‘누영춘’을 제외한 19가지 음료에 모두 차라는 명칭을 사용했는데 이것을 보면 조선시대에도 찻잎의 사용유무와 관계없이 많은 음료들에 차라는 명칭을 붙였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wonkyengjeji is an encyclopedic book written by Seo, YooGu (1764~1845) for over forty years. It covers sixteen aspects of knowledge, such as food, shelter, costume, cultural life and healthcare, about the gentry’s lifestyle in rural areas. Among t...
Imwonkyengjeji is an encyclopedic book written by Seo, YooGu (1764~1845) for over forty years. It covers sixteen aspects of knowledge, such as food, shelter, costume, cultural life and healthcare, about the gentry’s lifestyle in rural areas. Among them, Volume 8 of Jeongjoji is the chapter about food and it mentions ‘tea’. There are five major kinds of copies reported as manuscripts of Imwonkyengjeji. The documents of the encyclopedia, however, are inevitably erroneous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editing and transcription. Therefore, restoring manuscripts to the original text necessitates selecting a manuscript considered as a draft that involves the basics of the original text, or a well preserved script, and modifying it. In this study, as ‘Gyujanggak-Bon’ is the most well-known and widely spread book, it is considered as the basic draft of the original script. Other manuscripts are cross-referenced with the manuscript of King Jeongjo in pursuance of better interpreting Umcheongryu in Jeongjoji, while narrowing the discrepancies among different manuscripts. General essays on tea and sixteen different kinds of tea are examined first in the study.
17세기 초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동북아시아지역 차(茶) 무역에 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