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수영과 함석헌(2): 함석헌의 씨알 사상과 김수영의 민중론 = Kim Su-Young and Ham Seok-heon(2): Ham Seok-heon’s Idea of Ssial and Kim Su-young’s People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093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Kim Suyoung’s people theory according to its relevance to Ham Seok-heon’s idea of Ssial. The idea of Ham Seok-heon provided the main reference point for poet Kim Su-...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Kim Suyoung’s people theory according to its relevance to Ham Seok-heon’s idea of Ssial. The idea of Ham Seok-heon provided the main reference point for poet Kim Su-young to make an ideological change before and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Ham Seok-heon tried to emphasize the independent capacity and potential growth possibility of each individual by placing the people in the Ssial as the source of life. His idea of Ssial was an attempt to present the people of the time as the true subject of revolution based on the properties of life itself, such as autonomy and expandability. Kim Su-young also discovered the self as a subject that could substantially change the current reality, and witnessed that contemporary people are being reborn as subjects who move history in the midst of hardship. In their writings, the people is represented in the form of grass that demonstrates the intrinsic activity of life. As such, their people theory has a special status in the discourse field of Korean in the 1960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인, "혁명과 반동, 그리고 김수영-4·19혁명과 김수영의 정치의식-" 한국학연구소 (19) : 213-232, 2008

      2 김소남, "해방 이후 함석헌의 생명사상 - 장일순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25) : 9-31, 2017

      3 이상록, "함석헌의 민중 인식과 민주주의론" 한국사학회 (97) : 147-190, 2010

      4 고병철, "함석헌의 민족 주체(씨알) 개념과 종교적 기획, 1960‒1970년대의 민족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7 (37): 347-374, 2014

      5 함석헌, "할 말이 있다" (44) : 1957

      6 정진아, "한국현대사 1" 푸른역사 2018

      7 블레즈 파스칼(B. Pascal), "팡세" 민음사 2021

      8 앙리 베르그송(H. Bergson), "창조적 진화" 아카넷 2016

      9 함석헌, "죽을 때까지 이 걸음으로―1959년 3·1절에 부치는 글" (69) : 1959

      10 함석헌, "저항의 철학" (166) : 1967

      1 김명인, "혁명과 반동, 그리고 김수영-4·19혁명과 김수영의 정치의식-" 한국학연구소 (19) : 213-232, 2008

      2 김소남, "해방 이후 함석헌의 생명사상 - 장일순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25) : 9-31, 2017

      3 이상록, "함석헌의 민중 인식과 민주주의론" 한국사학회 (97) : 147-190, 2010

      4 고병철, "함석헌의 민족 주체(씨알) 개념과 종교적 기획, 1960‒1970년대의 민족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7 (37): 347-374, 2014

      5 함석헌, "할 말이 있다" (44) : 1957

      6 정진아, "한국현대사 1" 푸른역사 2018

      7 블레즈 파스칼(B. Pascal), "팡세" 민음사 2021

      8 앙리 베르그송(H. Bergson), "창조적 진화" 아카넷 2016

      9 함석헌, "죽을 때까지 이 걸음으로―1959년 3·1절에 부치는 글" (69) : 1959

      10 함석헌, "저항의 철학" (166) : 1967

      11 이경수, "임화와 김수영 시에 나타난 ‘거리’와 ‘방’의 공간 표상" 민족어문학회 (85) : 57-104, 2019

      12 함석헌, "이단자가 되기까지" (72) : 1959

      13 함석헌, "윤형중신부에게는 할 말이 없다" (47) : 1957

      14 함석헌, "우리 역사와 민족의 생활신념" (159) : 1966

      15 함석헌, "씨알의 설움" (77) : 1959

      16 강수택, "씨알과 연대―함석헌의 연대 사상" 새물결 2019

      17 "쌀 달라는 난민호소 2일에도 계속(대구)"

      18 황교익, "수다쟁이 미식가를 위한 한국음식 안내서" 시공사 2020

      19 함석헌,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6·25싸움이 주는 역사적 교훈" (61) : 1958

      20 함석헌, "생각하는 갈대" (100) : 1961

      21 함석헌, "새 나라를 어떻게 세울까?―새 나라 꿈틀거림(상)" (93) : 1961

      22 김명인, "살아 있는 김수영" 창작과비평사 2005

      23 주영중, "미디어를 통해 본 김수영의 시세계 - 대중매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43) : 7-43, 2012

      24 함석헌, "뜻으로 본 한국의 오늘" (171) : 1967

      25 김건우, "대한민국의 설계자" 느티나무책방 2017

      26 "난민들이 시위『 쌀』 달라고(대구)"

      27 김춘식, "김수영의 초기 시―설움의 자의식과 자유의 동경" 새미 (5) : 1998

      28 여태천, "김수영의 시와 근대 극복의 한 방식 - ‘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35) : 285-315, 2012

      29 강웅식, "김수영의 시「풀」에 나타난 상징적 의미와 그 초월성" 민족문화연구원 (40) : 239-264, 2004

      30 황동규, "김수영의 문학" 민음사 1983

      31 최호영, "김수영과 함석헌(1) - 함석헌의 생명 사상과 김수영의 혁명론" 한국문학연구학회 (75) : 361-404, 2021

      32 김유중, "김수영과 하이데거" 민음사 2007

      33 김상환, "김수영과 『논어』" 북코리아 2018

      34 이영준, "김수영 전집 2" 민음사 2018

      35 이영준, "김수영 전집 1" 민음사 2018

      36 박지영,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연'과 '몸'에 관한 사유" 민족문학사연구소 20 : 271-299, 2002

      37 김승희, "김수영 다시 읽기" 프레스21 2000

      38 함석헌, "국민감정과 혁명완수" (90) : 1961

      39 우찬제, "4·19와 모더니티" 문학과지성사 2010

      40 권보드래, "1960년대를 묻다―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천년의상상 2012

      41 황병주, "1960년대 비판적 지식인 사회의 민중인식"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1) : 110-147, 2009

      42 윤상현, "1950년대 후반~1960년대 초 함석헌의 주체 형성 담론의 변화 - 민중·민족·국민 담론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12) : 363-404,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rans-Humanities ->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Ewha Institute for Humanities: EIH -> Ewha Institute for the Humanities: EIH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