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환경전문기업 구성원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 매개효과 중심으로- =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perception on turnover intention of members of environment-specialized compan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3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환경전문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업 구성원들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전문자격증, 지식, 업무수행능...

      본 연구는 환경전문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업 구성원들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전문자격증, 지식, 업무수행능력 등을 조직에 제공하고, 기업으로부터 부여받는 적절한 보상의 관계를 유지한다. 이러한 관계에서 기업으로부터 받는 보상 결정 과정에서 개인의 능력을 고려한 처우와 절차에 대하여 공정하고 투명하다고 지각하면 만족 수준은 높아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들의 조직공정성 지각에 의한 직무만족 수준에 따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들이 상·하 관계 및 동료 상호 간의 신뢰 수준이 높고, 조직에 기여한 만큼의 보상, 분배기준과 절차가 공정하다고 지각할 때 직무만족은 상승하며,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에 기여한 성과를 고려한 보상기준과 절차를 무시하고, 연공서열 또는 일률적으로 지급하는 방식에 대하여 신뢰하지 못할 때,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구성원 자신이 조직에 투입한 노력과 기여 정도에 비례하여 받는 보상이 적절한지, 분배절차가 공정하다고 인지하는지, 구성원 간 조직으로부터 받는 대우에 대하여 상호관계의 질이 공정하다고 느끼는지를 지각할 때, 직무만족에 상승작용을 일으켜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보상 분배가 이루어진다고 구성원들이 지각할 때,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우수한 인적자원을 유지 시킴으로써 기업가치 창출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오흥철 ; 정수용, "카지노직원(딜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9 (19): 255-274, 2007

      2 조은정 ; 이혜경, "청년층의 직업가치 요인과 직장만족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11 (11): 143-165, 2021

      3 조승행, "조직공정성이 리조트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36 (36): 83-96, 2022

      4 염영희, "조직공정성과 감정성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6 (16): 276-285, 2010

      5 김선희, "재가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의식 매개효과 검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569-576, 2019

      6 김원상 ; 김정민 ; 이상호, "임금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LMX 및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34 (34): 503-525, 2021

      7 이수아 ; 강순희, "일과 생활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00-611, 2018

      8 한우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의 탐색 :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7 (7): 1-20, 2014

      9 이종찬, "상호작용공정성과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42) : 317-334, 2006

      10 전수진, "비서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서학회 24 (24): 75-97, 2015

      1 오흥철 ; 정수용, "카지노직원(딜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9 (19): 255-274, 2007

      2 조은정 ; 이혜경, "청년층의 직업가치 요인과 직장만족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11 (11): 143-165, 2021

      3 조승행, "조직공정성이 리조트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36 (36): 83-96, 2022

      4 염영희, "조직공정성과 감정성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6 (16): 276-285, 2010

      5 김선희, "재가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의식 매개효과 검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569-576, 2019

      6 김원상 ; 김정민 ; 이상호, "임금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LMX 및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34 (34): 503-525, 2021

      7 이수아 ; 강순희, "일과 생활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00-611, 2018

      8 한우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의 탐색 :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7 (7): 1-20, 2014

      9 이종찬, "상호작용공정성과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42) : 317-334, 2006

      10 전수진, "비서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서학회 24 (24): 75-97, 2015

      11 왕아정, "분배공정성과 이직의도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공정성의 역할 연구" 30 (30): 1-19, 2017

      12 김희철 ; 김두경 ; 강영순, "분배 및 절차공정성의 차별적 효과와 상호작용공정성의 조절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29 (29): 71-97, 2005

      13 정효수, "보상특성 및 직무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3 : 1-22, 2010

      14 옥장흠,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75-200, 2009

      15 민경호 ; 조국행, "공정성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79-100, 2002

      16 김홍백 ; 심창섭 ; 김상태, "골프장 캐디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직무이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7 (47): 93-103, 2008

      17 이경민, "“불확실한 미래 보상보다 현재가 중요” MZ세대는 투명한 소통을 원한다"

      18 Chiu, C. M., "Understanding customers’loyalty intentions towards online shopping : an integr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fairness theory" 28 (28): 347-360, 2009

      19 Lind. E. A., "The social psychology of procedural justice" Plenum 1988

      20 Leventhal, G. S., "Social Exchange: Advances in Theory &Research" Plenum Press 1980

      21 Homans, G. C.,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Harcourt, Brace, & World 9-, 1961

      22 Greenberg, J.,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nior, 12" JAI Press 11-157, 1990

      23 Bies, R. J., "Research in Negotiations in Organizations" JAI Press 1986

      24 Thibaut, J., "Procedural Justice: A Psychological Analysi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75

      25 Colquitt, J. A., "On the dimensionality of organizational justice : A construct validation of a measure" 86 : 386-400, 2001

      26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 2002

      27 최장호, "MZ세대의 공정성, 기업 연공서열과 상충을 일으킨다"

      28 Locke E, A., "Handbook of Organization Psychology Chaicago" Rand McNally 1976

      29 Folger R.,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on reactionsto pay raise decisions" 32 : 115-130, 1989

      30 Adams, J. 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 Academic 267-299, 1965

      31 Al-Zu’bi, H. A.,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5 (5): 102-109,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