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성과자와 잡크래프팅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Performer and Job Craf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4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내 저성과자의 인적자원 관리 방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군 내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 일-가정 촉진 및 잡 크래프탕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성과인식과 잡 크...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내 저성과자의 인적자원 관리 방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군 내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 일-가정 촉진 및 잡 크래프탕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성과인식과 잡 크래프팅 간에 일-가정촉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해군 중령의 진급 경과자인 132부의 설문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 및 절차는 SPSS 19.0과 AMOS 22.0을 사용하였고, 인구통계분석,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모형인 성과인식, 일-가정 촉진 및 잡 크래프팅 간의 구조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둘째,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은 잡 크래프팅에 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세째, 진급경과자의 성과인식과 잡 크래프팅 간에 일-가정 촉진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 연구의 연구모형은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 일-가정 촉진 및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설명하는데 적합하도록 설정되었다. 둘째, 진급경과자의 성과인식이 잡 크래프팅에 정(+)적인 영향을 끼침으로 해군 부대에서는 잡 크래프팅에 성과인식이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성과인식이 보다 향상 될 수 있도록 본인의 성과인식 향상, 동료 및 상사가 진급 경과자가 성과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급 경과자의 일-가정 촉진이 잡 크래프팅에 정(+)적인 영향을 끼침으로 일-가정 촉진 요인에 보다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이 잡 크래프팅간에 일-가정 촉진이 조절함이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작용변수는 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과인식과 일-가정 촉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부(-)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요인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연구의 제언으로 첫째, 진급 경과자의 대상을 확대하는 것이다. 계급 간 또는 다른 부대나 군 및 기관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급 경과자의 일-가정 촉진에 영향을 주는 환경변수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성과인식과 일-가정 촉진의 상호작용이 부(-)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또한 왜 상호작용이 부(-)로 나타나는지 더 확인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work-family promotion, and job craftsmanship of low-performing individuals in the Navy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the effect of w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work-family promotion, and job craftsmanship of low-performing individuals in the Navy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the effect of work-family promotion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and job crafting. The study used part 132 of the questionnaire, which was promoted to lieutenant colonel. The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used SPSS 19.0 and AMOS 22.0, followed by demographic analysis, feasibility an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study found, first, that there i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models performance recognition, work-family promotion, and job crafting, second, performance recognition of promotion transients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crafting, and thirdly, work-promotion control between promotion recognition and job craft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s well established to describe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work-family promotion and job satisfaction of promotional transients. Second, because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s by promotion officers has a positive impact on job crafting, naval units need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wareness and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ir colleagues and bosses can increase performance awareness. Third,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work-family promotion factors as the work-family promotion of the promotion transi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job crafting. Fourth, the performance recognition of the promotion progressor was controlled by the work-family promotion between job crafting. However, interaction variables have been shown to be negatively regulated.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factors that prevent negative effects in the interaction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and work-family promotion. At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the first is to expand the scope of successful promotions. It needs to be applied between classes or to other units, military and institu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the work-family promotion of promotion transients, third, ensure that performance recognition and work-family promotion interactions do not have negative effects, and why interactions appear nega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신석, "호텔직원의 선행주도성이 잡 크래프팅(Job Crafting)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내 5성급 호텔직원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42 (42): 147-172, 2018

      2 이현응,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611-623, 2017

      3 김창호, "진실리더십이 부하의 장인적 직무수행(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4 백수진, "직무재창조(Job crafting)행동, 직무열의, 변화 지향 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2016

      5 전지영, "조직지원인식이 업무성과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촉진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 31 (31): 1973-1990, 2018

      6 김미현, "조직내 저성과자 관리에 관한 실증연구: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1 (11): 55-77, 2012

      7 이성화, "조직구성원에게 인식된 조직의 미덕이 직무성과와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한경영정보학회 35 (35): 81-108, 2016

      8 옥지호, "조직 내 저성과자 관리제도의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몰입형 인사관리전략과 노조조직률을 중심으로" 경영경제연구소 40 (40): 79-102, 2018

      9 강혜선, "잡 크래프팅과 성과 간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 : 일에 대한 심리적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20): 1-26, 2017

      10 이승미, "자녀양육기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상호작용 유형과 유형별 특성" 한국생활과학회 22 (22): 575-592, 2013

      1 채신석, "호텔직원의 선행주도성이 잡 크래프팅(Job Crafting)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내 5성급 호텔직원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42 (42): 147-172, 2018

      2 이현응,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611-623, 2017

      3 김창호, "진실리더십이 부하의 장인적 직무수행(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4 백수진, "직무재창조(Job crafting)행동, 직무열의, 변화 지향 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2016

      5 전지영, "조직지원인식이 업무성과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촉진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 31 (31): 1973-1990, 2018

      6 김미현, "조직내 저성과자 관리에 관한 실증연구: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1 (11): 55-77, 2012

      7 이성화, "조직구성원에게 인식된 조직의 미덕이 직무성과와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한경영정보학회 35 (35): 81-108, 2016

      8 옥지호, "조직 내 저성과자 관리제도의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몰입형 인사관리전략과 노조조직률을 중심으로" 경영경제연구소 40 (40): 79-102, 2018

      9 강혜선, "잡 크래프팅과 성과 간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 : 일에 대한 심리적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20): 1-26, 2017

      10 이승미, "자녀양육기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상호작용 유형과 유형별 특성" 한국생활과학회 22 (22): 575-592, 2013

      11 김성용, "자기주도 직무설계(job crafting) 행위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영남대학교 2017

      12 최서현, "일-가정 촉진과 지각된 팀성과 간의 관계: 웰니스 분위기의 조절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79-86, 2013

      13 정세희,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29-236, 2013

      14 장재호, "여행사 종사원의 잡 크래프팅이 조직 유효성, 조직성과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관광전문 대학원 2019

      15 임명기, "신입사원의 소명의식 변화가 잡 크래프팅과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잠재 성장모델링을 이용한 종단연구" 연세대학교 2016

      16 김옥선, "병원조직 근로자들의 일-가정 상호작용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0

      17 김창호, "리더의 진실성이 부하의 장인적 직무수행(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6 (36): 131-162, 2012

      18 김현동, "기혼여성직장인의 가치관에 따른 직장과 가정의 긍정적 전이과정 탐색"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1 (81): 33-67, 2011

      19 김준기,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0 (50): 251-280, 2012

      20 김현옥, "기혼 간호사의 일-가정 균형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감정고갈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15

      21 신수미, "기업체 저성과 관리자의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발을 위한 형성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17

      22 김윤권, "공직경쟁력 강화를 위한 저성과 관리 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0

      23 박시진, "공무원저성과자가 조직구성원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의 결정요인" 2017 (2017): 2017

      24 전대성, "공무원들이 인식하는 조직 내 저성과자의 비율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4 (24): 177-197, 2015

      25 황정윤, "공공부문 저성과자에 관한 경험적 연구: 저성과자 발생의 원인과 영향 그리고 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3 (13): 113-138, 2014

      26 장윤옥, "가족 및 직업관련 변수가 유자녀 취업주부의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30 (30): 75-88, 2012

      27 Kulik, C. T., "Work design as an approach to personenvironment fit" 31 : 278-296, 1987

      28 Poelmans, S., "Work and Family, An International Research Perspectiv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46, 2005

      29 Leana, C., "Work Process and Quality of Ca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Role of Job Crcfting" 52 (52): 1169-1192, 2009

      30 Greenhaus, J. H,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31 (31): 72-921, 2006

      31 Berg, J. M., "What is Job Crafting and Why Does It Matter?"

      32 Bakker, A. B,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State of the art" 22 : 309-328, 2007

      33 Grzywacz, J. G, "The impact of job characteristics on work-to-family facilitation, testing a theory and distinguishing a construct" 10 (10): 97-109, 2005

      34 Kim, J. H, "The impact of genderrole attitudes on marriage life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among women of doubleincome households : With a focus on the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work-family enhancement" 14 (14): 109-126, 2010

      35 Slemp, G. R., "The Job Crafting Questionnaire: A new scale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engage in job crafting" 3 (3): 2013

      36 Greenhaus, J. H,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Famliy Roles" 10 (10): 76-88, 1985

      37 Zhang, F., "Reorienting job crafting research : A hierarchical structure of job crafting concepts and integrative review" 40 (40): 126-146, 2019

      38 Grzywacz, J. G, "Reconceptualizing the work-family interface, An eclolgical perspective on the correl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5 (5): 111-126, 2000

      39 Xanthopoulou, D.,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job resources, personal resources, and work engagement" 74 (74): 235-244, 2009

      40 Berg, J. M.,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challenges in job crafting at different ranks: When proactivity requires adaptivity" 31 (31): 158-186, 2010

      41 Shaw J. D., "Pay system characteristics and quit patterns of good, average, and poor performers" 60 : 903-928, 2007

      42 Kirchmeyer, C., "Non work participation and work attitudes : A test of scarcity vs. expansion models of personal resources" 45 (45): 775-795, 1992

      43 Carlson, D. S., "Measuring the positive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ac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family enrichment scale" 68 (68): 131-141, 2006

      44 Tims, M, "Job crafting: Towards a new model of individual job redesign" 36 (36): 1-9, 2010

      45 Rastogi, M., "Job crafting and work-family enrichment: the role of positive intrinsic work engagement" 2018

      46 Ghitulescu, B., "Job crafting and social embeddedness at work" University of Pittsburgh 2006

      47 Borman, W. C.,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Personality and the prediction of job performance: More than the big five" 17 (17): 267-269, 2004

      48 Arrinuddin, M,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Hospitality Indust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9 Lee, J. K, "Generational differencesin work and family interface among marriedwomen" 20 : 33-69, 2003

      50 Grzywacz, J. G, "Family, work, work-family spillover, and problem drinking during midlife" 62 (62): 336-348, 2000

      51 Kampkotter, P., "Evidence-based HRM a Global Forum for Empirical Scholarship"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August 2016

      52 Shaw, J. D., "Employee-organization exchange relationships, HRM practices, and quit rates of good and poor performers" 52 (52): 1016-1033, 2009

      53 Tims, 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crafting scale" 80 : 173-186, 2012

      54 Frone, M. R., "Developing and Teeing and Integrative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50 (50): 145-167, 1997

      55 Wrzesniewski, A., "Crafting a Job :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26 (26): 179-201, 2001

      56 Wayne, J. H., "Considering the role of personality in work-family experience, Relationships of the Big five to work family conflict-and facilitation" 64 (64): 108-130, 2004

      57 Lepine, J. A., "A meta-analytic test of the challenge stressor-hindrance stressor framework : An explanation for inconsistent relationships among stressors and performance" 48 (48): 764-775, 2005

      58 McNall, L. A.,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family enrichment" 25 (25): 381-39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2.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7 2.17 3.20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