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사소통행위 이론에 기반한 민주시민역량 개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624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민주시민역량 개념을 학생들의 사회참여 활동과 관련지어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성과들이 민주시민역량 개념을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관점에서 제시한 것과 달리, 이 논문은...

      이 논문은 민주시민역량 개념을 학생들의 사회참여 활동과 관련지어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성과들이 민주시민역량 개념을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관점에서 제시한 것과 달리, 이 논문은 사회참여에 초점을 맞추어 이론적 차원에서 제시한다. 이론적 작업을 위해 하버마스가 의사소통행위론에서 의사소통의 타당성 요건으로 제시한 진실성, 진리성, 정당성, 이해가능성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민주시민교육의 목표로 의사소통행위 역량의 함양을 제시하고, 하위 핵심역량으로 자아성찰역량, 정보활용역량, 가치판단역량, 상호작용역량을 제시하였다. 위의 핵심역량들을 활용하여 선행 연구들이 제안한 다양한 역량 개념들을 재구성함으로써, 구체적인 상황에 필요한 다양한 역량들을 4개의 역량 개념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접근이 현실 교육에서 무리 없이 적용될 수 있음을 최근의 토론수업 사례를 제시하여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esent democratic citizens’ competence to be nurtured throug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focusing on student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Unlike the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esent democratic citizens’ competence to be nurtured throug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focusing on student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Unlike the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presented from a comprehensive and general perspective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competence, this paper features the competence to influence soc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on a theoretical level. For the theoretical work, the truthfulness, truth, rightness, and understandability presented by the Habermas as the feasibility requirements for communication in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were used as starting points. The communicative action competence was presented as a meta compete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concepts of competence in response to the validity claims of the Harbermas presented four key sub-competence: self-reflection, information use, value-judgment, and interaction. Using four core competencies, the various competency concepts proposed by the preceding studies were compared and explained in practice. And I showed a recent discussion class that my views can be applied without undue force in real-life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II. 사회참여와 토론수업
      • III. 하버마스와 의사소통행위역량
      • IV. 민주시민역량 개념의 재구성
      • 요약
      • Ⅰ. 서론
      • II. 사회참여와 토론수업
      • III. 하버마스와 의사소통행위역량
      • IV. 민주시민역량 개념의 재구성
      • I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종열, "협동학습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203-228, 2011

      2 한춘희, "핵심역량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23-144, 2009

      3 DeSeCo.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핵심역량 정의 및 선정 프로젝트(DeSeCo Project) 요약" OECD 2008

      4 이광우, "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5 김태영,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 이론을 활용한 ‘담론장’ 토론 수업모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9

      6 Reese-Schäfer, Walter, "하버마스—철학과 사회이론" 거름 1998

      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고시 제2015-74호 『별책1』"

      8 이창호, "청소년의 정치, 사회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탈물질주의가치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43-164, 2012

      9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및 국제비교 연구ⅰ: Iea Iccs 2016 –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10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구성체제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16 (16): 117-144, 2015

      1 유종열, "협동학습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203-228, 2011

      2 한춘희, "핵심역량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23-144, 2009

      3 DeSeCo.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핵심역량 정의 및 선정 프로젝트(DeSeCo Project) 요약" OECD 2008

      4 이광우, "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5 김태영,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 이론을 활용한 ‘담론장’ 토론 수업모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9

      6 Reese-Schäfer, Walter, "하버마스—철학과 사회이론" 거름 1998

      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고시 제2015-74호 『별책1』"

      8 이창호, "청소년의 정치, 사회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탈물질주의가치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43-164, 2012

      9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및 국제비교 연구ⅰ: Iea Iccs 2016 –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10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구성체제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16 (16): 117-144, 2015

      11 김영인, "청소년 시민 역량 개념과 강화 방안탐색" 2 (2): 29-60, 2010

      12 장춘익, "의사소통행위이론." 나남출판 2006

      13 차경수, "유아사회교육의 이해와 실천" 동문사 2008

      14 이승희,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협력적 성찰이 문제해결 수행 및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19 (19): 131-159, 2003

      15 모경환, "온라인 공론장에서의 의제설정을 활용한 사회과 쟁점중심 수업모형 개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25-50, 2009

      16 이태성, "역량 중심 사회과 수업 모형의 설계: ‘4Cs’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수업학회 6 (6): 109-138, 2018

      17 홍영란, "아동·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국제비교 및 지원체계 개발 연구(III) : 교육분야 지원체계 구축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2013

      18 김경은, "사회과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인성교육 수업 자료 개발: 공감적 활동에 기반한 문제해결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87-101, 2012

      19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7』"

      20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제2018-162호)"

      21 이병준, "민주시민교육핵심역량 실천모형 개발 연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8

      22 조찬래, "민주시민교육" 13 (13): 71-92, 2012

      23 이근호,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24 Wineburg, S., "내 손안에 스마트폰이 있는데왜 역사를 배워야 할까" 휴머니스트 2019

      25 이윤복, "교육과정 개발에서 듀이의 경험과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의 상생 가능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19, 2015

      26 옥일남,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 활동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51-90, 2012

      27 장은주, "‘형성적 기획’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기본 방향과 초점" 한국학연구원 (67) : 7-36, 2017

      28 Englund, T., "The linguistic turn within curriculum theory" 19 (19): 193-206, 2011

      29 Hepper, P. P.,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 of person Problem solving inventory" 29 : 66-75, 1982

      30 Davies, W., "The age of post-truth politics" The New York Times

      31 Chaffee, S. H., "Socialization to politics: A reader" Holt, Rinehart & Winston 349-364, 1973

      32 Spivack, G., "Soci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A Cognitive Approach to Solving Real-Life Problems" Jossey-Bass 1974

      33 Habermas, J., "Moral Consciousness and Communicative Action" MIT Press 1990

      34 Habermas, J., "Justification and Application" MIT Press 1993

      35 Habermas, J., "Habermas and Public Sphere" MIT Press 1992

      36 Young, Iris Marion, "Democracy and Difference: Contesting the Boundaries of the Political" NJ:Princeton University Press 120-135, 1996

      37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DeSeCo)"

      38 Fitzpatrick, M. A., "Communication schemata within the family : Multiple perspectives on family interaction" 20 : 275-301, 1994

      39 Dhavan V. Shah,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Foundation for Civic Competence: Processes of Socialization into Citizenship" Informa UK Limited 26 (26): 102-117, 2009

      40 Sanders, L., "Against Deliberation" 25 : 347-376, 1997

      41 한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가정 교과서 활동과제의 민주시민역량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 (30): 79-97,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