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 =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 Coping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3087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을 구체적으로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유아교육교...

      이 연구는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을 구체적으로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유아교육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은 소망적 사고 추구, 정서 완화적 추구,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완화적 대처 순으로 나타났다. 1)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에서 연령변인은 어린이집교사는 40대에서 정서 완화적 대처, 유치원 교사는 20대에서 문제 중심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종교변인은 종교가 없는 교사 모두에게 문제 중심적 대처, 종교가 있는 어린이집 교사는 소망적 사고 추구, 유치원 교사는 사회적 지지 추구와 소망적 사고 추구가 높게 나타났다. 경력변인에 있어서, 10년 이상 어린이집교사는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유치원 교사는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특수교육관련 연수경험에서는 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육교사 모두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2) 유아배경 및 교육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에서, 발달지체 중도인 영유아에게 어린이집교사는 사회적 지지 추구, 유치원교사는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발달지체를 가진 영유아수 3명 이상의 통합학급 교사에게서 정서 완화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학급 유형에서는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어린이집 교사에게 소망적사고 추구, 유치원 교사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기관유형에서는 어린이집 일반 학급교사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가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에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유아교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적 향상위한 포괄적인 정보가 될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crete investigation into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crete investigation into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pe with the job stress with high skill, which appeared as wishful thinking, emotional relievable seeking, problem-centered coping strategy, and emotional relievable coping strategy. The teachers of the day care center in their 40's highly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while those in their 20's of the kindergarten cope with the job stress problem-centered. Teachers with no religion handle their job stress with problem-centered strategies, while those with religion in day care centers pursue wishful thinking, and in kindergarten,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and wishful thinking strategy.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within 10 year above experiences seek social support highly, while kindergarten teachers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which also show high to all those who practiced special educational program. According to the variable study of the child's background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highly seek social support, while the kindergarten teachers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Teachers with more than 3 disabled children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in both of the day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day care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take wishful thinking strategies, while the kindergarten teachers seek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The variables by the types of educational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coping strategies in emotional relieving among the teachers in regular classes. The study can provide foundational resources to problem-solving concerning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and the more future research with various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accordingly is to be required for more informational and specific knowledge in the fie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주환, "특수학교 초․중등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그 대처 방안"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조민주,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과 소진 요인특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2004

      3 문신자,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비교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1994

      4 강학구,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 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징과 요인간의 관계성 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5 강희경, "특수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이병각, "통합학급 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2

      7 강성철,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오숙희,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분석 연구"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조수경, "정신지체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10 임지향, "정신지체아 부모가 지각한 가족 기능과 일상 스트레스 대처방식" 대구대학교 일반대대학원 2000

      1 변주환, "특수학교 초․중등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그 대처 방안"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조민주,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과 소진 요인특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2004

      3 문신자,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비교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1994

      4 강학구,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 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징과 요인간의 관계성 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5 강희경, "특수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이병각, "통합학급 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2

      7 강성철,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오숙희,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분석 연구"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조수경, "정신지체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10 임지향, "정신지체아 부모가 지각한 가족 기능과 일상 스트레스 대처방식" 대구대학교 일반대대학원 2000

      11 김기옥, "장애영역별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2 최옥련,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3 김신혜,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4 김동춘, "유치원 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261-280, 2005

      15 박형숙, "유아특수교육 관련기관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 스트레스"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6 정봉화, "유아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7 도명애, "유아교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18 보건복지가족부, "아이사랑플랜(2009-2012)" 보건복지가족부 2009

      19 서문희, "보육시설 종사자 직무 및 근무 환경 실태 분석" 여성가족부 2006

      20 정민정,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8 (18): 65-74, 2009

      21 이무영,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77-294, 2008

      22 구은미, "보육교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 16 (16): 33-45, 2007

      23 고미란,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4 김혜정, "경기․강원 지역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5 Lapierre, L. M, "Work-supportive family, family-supportive supervision, use of organizational benefits, and problem-focused coping: Implic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and comply well-being" 11 (11): 169-181, 2006

      26 Selye,H, "The stress of life" Pleuunm Press 35-39, 1976

      27 Lazarus,R.S, "The stress and coping paradigm, in Models for clinical psychology" Spectrum Publications 1981

      28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Guilford 1984

      29 Yang, X,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occupational stress among teachers" 123 (123): 750-755, 2009

      30 Pratt.J, "Perceived stress among teachers: the effects of age and background of children taught" 30 : 3-14, 1978

      31 Frey, D, "Methods school and administrators can use to help teachers manage stress" 67 : 73-77, 1984

      32 Beehr, T. A, "Human stress and cognition in organizations: An integrated perspective" John Wiley & Son 169-173, 1998

      33 Faber,B.A, "Crisis in education stress and burnout in the American teacher" Jossey-Bass 1991

      34 Moos, R. H, "Coping, stress & social resource among adult with unipolar depression" 46 (46): 1984

      35 Parkes,K.S, "Coping in stressful episodes: The role of individual differences, environmental factors,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51 : 1277-1292, 1986

      36 Lazarus, R. S, "Coping and Adaptation, in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Guilford 282-325,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