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후반 러시아는 자본주의 체제로 전환되면서 사회 경제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러시아는 민주화와 개방화의 물결로 인하여 서구의 자본주의 소비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13499
2017
Korean
소츠 아트 ; 소츠 아트 패션 ; 러시아 예술 ; 러시아 패션 ; 러시아 팝 아트 ; Sots art ; Sots art fashion ; Russian art ; Russian fashion ; Russian pop art
KCI등재
학술저널
55-66(1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후반 러시아는 자본주의 체제로 전환되면서 사회 경제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러시아는 민주화와 개방화의 물결로 인하여 서구의 자본주의 소비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20세기 후반 러시아는 자본주의 체제로 전환되면서 사회 경제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러시아는 민주화와 개방화의 물결로 인하여 서구의 자본주의 소비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 러시아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도 확대되고 있다. 러시아 예술은 러시아 아방가르드와 사회주의 리얼리즘 미술 이후 1970년대 미국 대중문화로 인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러시아의 팝 아트인 소츠 아트가 태동했다. 소츠 아트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비현실적인 부분을 예술적으로 승화하여 과거 소비에트 시대의 불합리한 현실과 어두운 이면을 유희적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러시아의 현대미술 중 러시아비공식 예술의 대표인 소츠 아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사회적인 변화 속에서 현실에 대응하여 다양한 특성으로 표현된 러시아 대중예술의 면모를 밝히고 이를 패션디자인에 적용하여 창의적인 작품으로 제작하는데있다. 소츠 아트의 특성을 모티프로 하여 작품으로 제작함으로써 2017년 러시아 혁명 100주년을 맞이하여러시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발전 가능성이 무한한 포스트소비에트 연구의 새로운 틀을 마련하는데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러시아 예술사조와 소츠 아트에 관련된 국내와 국외 문헌, 선행연구 논문 자료, 회화 작품, 패션 잡지, 인터넷 자료 등을 참고로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패션디자인 분석을위하여 해외 컬렉션에서 발표된 패션 디자이너들의 작품, 패션 브랜드의 작품, 여러 작가들의 작품 등을 활용하였고 특성분석과 사례분석에서 나타난 특성을 바탕으로 소츠 아트를 모티프로 응용한 패션디자인 작품을제작하였다. 소츠 아트의 특성 분석을 통해 20세기 후반 미국의 대중문화가 러시아에서 대중문화화 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21세기 러시아에서 패션에 나타나는 대중문화를 예측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ate 20th century, Russia achieved much socioeconomical development as converting into the capitalist system. In Russian art, Sots art, a Russian pop art, was born, along with the social changes caused by the influence of American pop culture i...
In the late 20th century, Russia achieved much socioeconomical development as converting into the capitalist system. In Russian art, Sots art, a Russian pop art, was born, along with the social changes caused by the influence of American pop culture in 1970s after avant-garde and socialist realism. Sots art expressed playfully the covered reality and dark side in the past Soviet-era, by artistically sublimating the unrealistic aspects of socialist re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revealing the aspect of the popular arts expressed with the various attributes in response to the reality in the social chang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ots art, the representative Russian informal art of Russian contemporary arts, and producing this into the creative work by applying it to the fashion desig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in widening the width of understanding on Russia by attaining the 100th anniversary of Russian revolution in 2017, and in preparing the new framework of infinite post Soviet research. As for the method of this study, the analysis and study were carried out by referring to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preceding thesis materials, fashion magazines, art paintings, internet materials, videos, etc., related to the Russian art trend and Sots art. The fashion designers’ works published in the overseas collections, the works proposed by companies, artists’ works, etc.were utilized for the fashion design analysis, and fashion design work were made by applying Sots art based on the attributes emerged i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and case analysi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영, "해빙기 이후 소비에트 우상해체와 러시아 유대인 미술" 한국노어노문학회 26 (26): 197-222, 2014
2 정주은, "추상표현주의 회화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Franz Kline의 회화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5 (15): 1-15, 2015
3 Groys, B, "아방가르드와 현대성 [Avant-garde and modernity]" Munyei 1995
4 Wollen, P., "순수주의의 종언 [Raiding the icebox: Reflections on twentieth-century culture]" Visual and Language 1998
5 Kwon, J. I.,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신화해체: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 대하여 [Dismantlingmyths on socialist realism: About postmodern art inRussia]" 6 (6): 491-513, 1999
6 Yu, J. S., "러시아(소비에트)미술의 변천 [Transition of Russian(Soviet) art]" 3 : 133-134, 1992
7 서아란, "러시아 현대 미술과 소츠 아트(Sots Art) : 코마르&멜라미드(Komar&Melamid)의 '스탈린주의' 신화의 해체"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8 정주은, "러시아 대중문화와 패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6 (16): 141-158, 2016
9 "Vladimir Yankilevsky"
10 "Soviet Nonconformist Art"
1 이규영, "해빙기 이후 소비에트 우상해체와 러시아 유대인 미술" 한국노어노문학회 26 (26): 197-222, 2014
2 정주은, "추상표현주의 회화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Franz Kline의 회화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5 (15): 1-15, 2015
3 Groys, B, "아방가르드와 현대성 [Avant-garde and modernity]" Munyei 1995
4 Wollen, P., "순수주의의 종언 [Raiding the icebox: Reflections on twentieth-century culture]" Visual and Language 1998
5 Kwon, J. I.,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신화해체: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 대하여 [Dismantlingmyths on socialist realism: About postmodern art inRussia]" 6 (6): 491-513, 1999
6 Yu, J. S., "러시아(소비에트)미술의 변천 [Transition of Russian(Soviet) art]" 3 : 133-134, 1992
7 서아란, "러시아 현대 미술과 소츠 아트(Sots Art) : 코마르&멜라미드(Komar&Melamid)의 '스탈린주의' 신화의 해체"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8 정주은, "러시아 대중문화와 패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6 (16): 141-158, 2016
9 "Vladimir Yankilevsky"
10 "Soviet Nonconformist Art"
11 Yeo, M. J., "Sots Art: 1972년부터 오늘까지러시아의 정치미술 [Sots Art: From 1972 until today,Russian political art]"
12 Wilkes, R., "Saatchi exhibition finds the common ground between East and West via Pop Art..."
13 Jewish Museum, "Russian Jewish artists in a century of change 1890-1990" Prestel 1995
14 ALEXANDER KOSOLAPOV, "Malevich Sold"
15 "Erik Bulatov"
16 "Erik Bulatov"
17 Grisha Bruskin, "Alefbet|Fondazione Querini Stampalia"
18 "ALEXANDER KOSOLAPOV"
현대 패션디자인에 활용된 한글의 조형성 및 내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09-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Fashion Design | ![]() |
2016-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16-09-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09-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8-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07-04-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학회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1-1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1 | 1.41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8 | 1.41 | 1.549 | 0.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