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로버트 험프리, "현대소설과 의식의 흐름" 형설출판사 1984
2 최시한,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3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누리미디어 2004
4 구수경, "한국소설과 시점" 아세아문화사 1996
5 이상, "이상문학전집 2" 문학사상사 2002
6 한용환, "소설학 사전" 문예출판사 1999
7 S 리먼 캐넌, "소설의 현대시학" 예림기획 1999
8 나병철,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8
9 F.K.STANZEL, "소설의 이론" 탑출판사 1990
10 선주원, "소설교육의 원리와 방법" 새미 33-34, 2003
1 로버트 험프리, "현대소설과 의식의 흐름" 형설출판사 1984
2 최시한,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3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누리미디어 2004
4 구수경, "한국소설과 시점" 아세아문화사 1996
5 이상, "이상문학전집 2" 문학사상사 2002
6 한용환, "소설학 사전" 문예출판사 1999
7 S 리먼 캐넌, "소설의 현대시학" 예림기획 1999
8 나병철,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8
9 F.K.STANZEL, "소설의 이론" 탑출판사 1990
10 선주원, "소설교육의 원리와 방법" 새미 33-34, 2003
11 김동환, "소설교육에서의 ‘시점’ 개념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30) : 393-421, 2009
12 최시한, "소설, 어떻게 읽을 것인가" 문학과지성사 2010
13 G.Genette,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14 구인환, "문학교육론" 삼지원 2007
15 O'Neil, P., "담화의 연구" 예림기획 2004
16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국어" 대한교과서 268-269, 2001
17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1998
18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국어" 대한교과서 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