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에 대한 중국의 지정학적 인식변화와 대북정책 변화 : 중미, 한중 수교시기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9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文从批判地缘政治学的观点主要考察中国对朝鲜的地缘政治认知的变化,以 及中国对朝政策的变化。 关于地缘政治学的现有主要研究认为世界政治结构是以海洋势力和大陆势力之间 的竞争...

      本文从批判地缘政治学的观点主要考察中国对朝鲜的地缘政治认知的变化,以
      及中国对朝政策的变化。
      关于地缘政治学的现有主要研究认为世界政治结构是以海洋势力和大陆势力之间
      的竞争关系所组成,导致国家之间的关系会常常出现“冲突”。特别是像朝鲜半岛,
      大陆势力为了阻止海洋势力的入侵,并且进军海洋,海洋势力为了进军陆地,同时
      防止大陆势力入侵海洋,因此两大势力势必会在朝鲜半岛发生“冲突”,是一个典型
      的“缓冲地带”,甚至认为朝鲜半岛的分裂和战争更像是一场”宿命论”,把这些现象
      变成合理化,理所当然的事情。实际上“冲突”并不是地缘政治学原本的意思,它不
      是‘固有化’现象,它有着‘开放性和变化性’的特点。
      基于这个思路,本文的第三章,第四章陈述了不同时期中国对朝政策的原因以及
      特点。第3张是中美建交时期,分析了中国对朝鲜的地缘政治认知的变化以及对朝政
      策的变化。70年代初期中国受到来自国内外的不同的威胁,陷入了困境,当时的中
      国对北政策有两种特征。首先,对北政策隶属于美国和苏联之间的关系。第二,从国
      家安全角度上,朝鲜地缘政治的“价值”上升了。第4章是中韩建交时期,分析了中国 对朝鲜的地缘政治认知的变化以及对朝政策的变化。与同时受到来自美苏武力威胁
      的70年代不同,80-90年代初期从国家安全优先战略开始转向经济优先战略的中
      国对朝政策有两种特征。首先,战略性认识的变化。第二,韩国的经济因素的相对上
      升和朝鲜的安全因素的相对减弱。
      本文从批判地缘政治学的观点、具体的对比了中美建交时期和中韩建交的时期,
      中国对朝鲜的地缘政治认知的变化以及对朝政策的变化,从而观察了其中隐藏着的
      中国地缘政治的世界观是如何适用于对朝政策的。通过笔者的研究从过去的经验摸
      索当前的中朝关系,其含义得出朝鲜,以及朝鲜半岛并不是自古以来就是‘热门地区’
      或者是对中国非常重要的’缓冲地区‘,当前它只是被各个利益大国‘相中了‘,各个
      大国的利益交织在该地区而已。从国家层面来看,“没有永远的朋友,也没有永远
      的敌人,只有永远的利益”,这是符合世界政治逻辑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critique of geopolitics in the context that mainly examines the changes of China's perception of North Korea's geopolitics and the change of China's policy toward North Korea. Existing research on geopolitics holds that the world's pol...

      This paper is a critique of geopolitics in the context that mainly
      examines the changes of China's perception of North Korea's
      geopolitics and the change of China's policy toward North Korea.
      Existing research on geopolitics holds that the world's political
      structure is based on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itime
      forces and the mainland forces, resulting in frequent "clashes" in the
      relations among nations. Especially like the Korean Peninsula, the
      mainland forces would prevent the maritime forces from invading and
      concurrently invade their sphere of influence. Similarly, the latter will
      protect their own sphere of influence and invade those of the former.
      Therefore, the two major forces are bound to have "conflicts"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a typical "buffer zone" to the extent that
      separatism and war in the Korean Peninsula are more like a "fatalism"
      and that these phenomena are rationalized and taken for granted. In
      fact, "conflict" is not the original meaning of geopolitics. It is not an
      "inherent" phenomenon.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openness and
      changeability."
      Based on this idea, the third chapter and the fourth chapter of this
      article set out the reasons and characteristics of China's policy
      towards North Korea in different periods. Chapter 3 is the period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t analyses
      the changes of China's geopolitical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and
      the changes of its policy towards North Korea. In the early 1970s,
      China suffered from different threats both at home and abroad. At that
      time, China’s policy towards North Korea has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First, the North's policy was subjec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the
      Soviet Union. Second, the "value" of North Korea's geopolitics has
      risen from a national security perspective. Chapter 4 is the period of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analysing the changes of China's geo-political cognition to North Korea
      and changes in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Unlike the 1970s,
      which were simultaneously threatened by the US and Soviet forces,
      China's policy toward the DPRK in the early 1990s shifted from a
      national security priority strategy to an economic priority strategy with
      two characteristics. First, changes in strategic understanding. Second,
      the relative growth of South Korea's economic factors and the relative
      weakening of North Korea's security factors. From a critical viewpoint of geopolitics, this article concretely
      compares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 change of
      Chinese geo-political cognition toward North Korea and the change of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From then on, it examines how
      China's geopolitical world outlook applies to its policy towards North
      Korea. Through the author's research of using history to explore the
      current relat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North Korea and the
      Korean Peninsula were not the most important regions of the world
      since ancient times or "buffer zones" that are very important to China.
      At present, it is simply being "in the middle" of the great powers,
      whose interests are interwoven in the region. At the national level,
      "there is no permanent friend or eternal enemy, only permanent
      interests", which is in line with the political logic of the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북한에 대한 중국의 지정학적 인식변화를 고찰해보고 이에 근거해 중국의 대북정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정학에 관한 기존의 연...

      본 논문은 북한에 대한 중국의 지정학적 인식변화를 고찰해보고 이에 근거해 중국의 대북정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정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국가 간의 관계를 '충돌'로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세계정치구조는 해양세력과 대륙세력 간 경쟁이라는 것에 동의하고 있었다. 특히 한반도는 대륙세력이 해양세력의 진입을 막고 해양으로 나가기 위한, 해양세력은 육지로 진입할 수 있고 대륙세력의 해양진출을 막을 수 있는 '완충'지대이기 때문에 한반도에서의 분단과 전쟁은 당위론적 '숙명론'처럼 당연한 것으로 합리화시키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충돌'은 지정학의 본연의 뜻이 아닐뿐더러 지정학은 '고착화'된 현상이 아니라 개방성과 변화성을 가지고 있음을 비판지정학의 시각에서 북·중 관계를 검토하였다.
      본 논문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3,4장에서는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제3장은 중·미수교시기 북한에 대한 중국의 지정학적 인식과 대북정책을 연구하였다. 데탕트시기 대내외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중국의 대북정책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대북정책은 미국과 소련과의 관계에 종속되어 있었다. 둘째, 국가안보의 차원에서 북한의 지정학적 '가치'가 상승되었다. 제4장은 한·중수교시기 북한에 대한 중국의 지정학적 인식과 대북정책을 연구하였다. 데탕트시기와 달리 국가안보가 우선에서 경제우선주의로 전략적 중심을 바꾸게 된 중국의 대북정책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전략적 인식의 변화이다. 둘째, 한국의 경제요인의 상대적 상승과 북한의 안보요인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본 논문은 비판지정학을 통해 중·미수교시기와 한·중수교시기 북한에 대한 중국의 지정학적 인식변화와 대북정책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그 속에 숨어있는 중국의 지정학적 세계관이 대북정책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는 북·중 관계를 과거의 경험에서 그 함의를 도출해내여 현재의 북·중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뜻 깊은 연구가 되리라 생각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