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pecial Teachers' Work-Life Balance on Happines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795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n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Method: A survey of 213 special teachers was conducted to ask them about their perception of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Results: First,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of special teachers was work-family balance(3.37±.73), work-leisure balance(3.18±.99), work-growth balance(3.12±.94). Second, the level of happiness of special teachers was internal happiness(3.77±.74), external happiness(3.68±.69), self-regulative happiness(3.12±.80). Third, the level of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was positivity(3.65±.62), interpersonal relationship (3.54±.51), self-regulation(3.33±.59). Fourth, the direct effects of the work-life balance on the happiness of special teachers was significant, and that resilience re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in part. Conclusion: Based on findings of the study, the basic data neede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were utilized as basic data, and the implications need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pursuit of happiness in the school field were derived.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n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Method: A survey of 213 special teachers was conducted to ask them about their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n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Method: A survey of 213 special teachers was conducted to ask them about their perception of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Results: First,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of special teachers was work-family balance(3.37±.73), work-leisure balance(3.18±.99), work-growth balance(3.12±.94). Second, the level of happiness of special teachers was internal happiness(3.77±.74), external happiness(3.68±.69), self-regulative happiness(3.12±.80). Third, the level of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was positivity(3.65±.62), interpersonal relationship (3.54±.51), self-regulation(3.33±.59). Fourth, the direct effects of the work-life balance on the happiness of special teachers was significant, and that resilience re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in part. Conclusion: Based on findings of the study, the basic data neede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were utilized as basic data, and the implications need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pursuit of happiness in the school field were deri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관계를 알 아보고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피고자 하였다. 연 구방법: 특수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의 수준은 ‘일-가족 균형’에 대한 인식(3.37±.73)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일-여가(3.18±.99), 일-성장(3.12±.94)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행복감 수준은 ‘내적행복’에 대한 인식((3.77±.74)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 로 ‘외적행복(3.68±.69)’, ‘자기조절행복(3.12±.80)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의 수준 은 영역별로 살펴보면 ‘긍정성’의 수준은 3.65±..62, ‘대인관계능력’의 수준은 3.54±.51, ‘자기조절능 력’의 수준은 3.33±.59 순으로로 나타났다. 넷째,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을 때 특수교 사의 행복감에 대한 일-삶 균형의 직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은 일-삶 균 형과 행복감 사이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 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학교 현장에서 행복을 추구하는 교육적 환경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시사 점을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관계를 알 아보고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피고자 하였다.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관계를 알 아보고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피고자 하였다. 연 구방법: 특수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의 수준은 ‘일-가족 균형’에 대한 인식(3.37±.73)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일-여가(3.18±.99), 일-성장(3.12±.94)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행복감 수준은 ‘내적행복’에 대한 인식((3.77±.74)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 로 ‘외적행복(3.68±.69)’, ‘자기조절행복(3.12±.80)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의 수준 은 영역별로 살펴보면 ‘긍정성’의 수준은 3.65±..62, ‘대인관계능력’의 수준은 3.54±.51, ‘자기조절능 력’의 수준은 3.33±.59 순으로로 나타났다. 넷째,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을 때 특수교 사의 행복감에 대한 일-삶 균형의 직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은 일-삶 균 형과 행복감 사이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 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학교 현장에서 행복을 추구하는 교육적 환경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시사 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진,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27 (27): 27-46, 2018

      2 캐런 레이비치, "회복력의 7가지 기술" 물푸레출판 2014

      3 강영하, "행복 연구가 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1, 2012

      4 최진성,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95-215, 2013

      5 김경신,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9 (19): 209-228, 2017

      6 최성규, "특수교사의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동향" 교육발전연구소 28 (28): 137-156, 2018

      7 이정현, "특수교사 회복탄력성 측정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17, 2013

      8 이선민, "특수교사 직무역량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219-242, 2016

      9 김자경, "초임 초등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29-1049, 2019

      10 한지일, "직장에서의 세대 변인에 따른 일-가정, 일-여가, 일-성장 균형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1

      1 김혜진,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27 (27): 27-46, 2018

      2 캐런 레이비치, "회복력의 7가지 기술" 물푸레출판 2014

      3 강영하, "행복 연구가 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1, 2012

      4 최진성,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95-215, 2013

      5 김경신,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9 (19): 209-228, 2017

      6 최성규, "특수교사의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동향" 교육발전연구소 28 (28): 137-156, 2018

      7 이정현, "특수교사 회복탄력성 측정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17, 2013

      8 이선민, "특수교사 직무역량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219-242, 2016

      9 김자경, "초임 초등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29-1049, 2019

      10 한지일, "직장에서의 세대 변인에 따른 일-가정, 일-여가, 일-성장 균형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1

      11 장재윤,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23-42, 2003

      12 이주일, "직장-가정 갈등의 세대 차이와 직장-가정 갈등이 복에 미치는 영향: 직장여성의 경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3 (23): 471-501, 2010

      13 김효선, "직장-가정 간 상호작용과 가족친화적 조직지원이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2 (22): 515-540, 2009

      14 김은라, "지체장애인의 차별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5 (25): 27-54, 2015

      15 김흥길, "조직웰빙(OWB)의 개념화와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7 (17): 325-344, 2010

      16 박재국, "장애아동 어머니의 행복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199-223, 2013

      17 김주엽, "일과 생활의 균형, 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인사관리학회 33 (33): 121-153, 2009

      18 박예송, "일-생활 균형(Work-Life Balance)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2000년 이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1-29, 2013

      19 권수현,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resilience)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0 이소담, "유치원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155-178, 2017

      21 김경미, "유아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행복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3-30, 2017

      22 김안나,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자아탄력성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390-399, 2017

      23 김용성,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자아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5 (5): 5-17, 2018

      24 김미진,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143-162, 2014

      25 김종운,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장 내외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413-1441, 2018

      26 박정열, "여성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화: 전일제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75-102, 2014

      27 최지혜, "시간관리, 열의, 행복간 구조적 관계" 교육문제연구소 29 (29): 1-19, 2016

      28 김종운,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이 양육미혼모의 회복탄력성과 특성불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15-537, 2018

      29 박석희,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교사의 스트레스와 긍정·부정감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생태학회 31 (31): 606-614, 2017

      30 박봉환,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6 (16): 1-24, 2017

      31 이소담, "보육교사의 일-삶 균형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경향 및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7 (17): 185-213, 2018

      32 마틴 셀리그만, "마틴 셀리그만의 플로리시: 웰빙과 행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 물푸레 출판 2011

      33 김나미,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1125-1144, 2013

      34 Baumgardner, S. R., "긍정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9

      35 조연갑, "교사의 행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치료학회 8 (8): 19-38, 2016

      36 최영옥,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직무스트레스 및 행복 간의 관계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37 김정운,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문화학회 5 (5): 53-69, 2008

      38 Froese-Germain, B., "Work-life balance and the canadian teaching profession" Canadian Teachers’ Federation 2014

      39 Gropel, P., "Work-life bal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 the mediating role of need fulfillment" 100 (100): 365-375, 2009

      40 Frone, M. R., "Work-family balance.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3-162, 2003

      41 Delecta, P., "Work life balance" 3 (3): 186-189, 2011

      42 Noble, T., "Wellbeing and resilience in young people and the role of positive relationships" 2012

      43 Ga¨rling, T., "Time pressure and emotional well-being" 3 (3): 132-143, 2014

      44 Jackson, R., "The resilience inventory : seven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obstacles and determining happiness" 20 (20): 13-17, 2004

      45 Hills, P.,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33 : 1073-1082, 2002

      46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96

      47 Lyubomirsky, S., "The how of happiness: A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Penguin 2008

      48 Myers, D. G., "The funds, fridends, and faith of happy people" 55 : 56-67, 2000

      49 Lee, C. R., "The effects of special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resilience 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work-life balance" Dong-A University 2017

      50 Seo, S. S., "The effect of the job related stress on the employees' work and life balance :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Mokpo National University 2016

      51 Kim, J. W.,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n ‘work-life Balance’ and its effectiveness" 2 (2): 29-48, 2005

      52 Gu, Q., "Teachers resilience :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23 (23): 1302-1316, 2007

      53 Kang, G. S., "Teacher education for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jong publisher 2000

      54 Ministry of Education, "Special Education Annual Report" Ministry of Education 2018

      55 Ezzedeen, S. R., "Rethinking work-life balanc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gnitive intrusion of work scale(CIWS)—A dissertation research proposal" 2002

      56 Kim, J. H., "Restorative resilience: a pleasant secret that turns trial fortune" Wisdom House 2011

      57 Choo, B. W., "Resilience: action strategies in schools, homes, and the military" Howe Publishing 2017

      58 Kang, N. W.,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stressors, and stress coping styles in children" 2 (2): 69-94, 2012

      59 Kwon, S. M., "Positive Psychology" Hakjisa 2008

      60 Diener, E., "New well-being measure : short scales to assess flourishing and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 97 (97): 143-156, 2010

      61 Luthar, S. S., "Maximizing resilience through diverse levels of inquiry:prevailing paradigms, possibilities, and priorities for the fu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19): 931-955, 2007

      62 Ryff, C. D., "Know thyself and become what you are : a eudaimonic approach to psychological well-being" 9 : 13-39, 2008

      63 Seligman, M. E., "Hand book of positive psychology" 3-12, 2002

      64 Platsidou, M., "Does empathy predict instructional assignment-related stress?. a study i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64 (64): 57-75, 2017

      65 Sobel, M. 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 : 290-312, 1982

      66 Choi, S. 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teacher's perception in school culture and happiness" Pusa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8

      67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Quality of Life Survey Repor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51,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