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에 따라 생활수준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빈곤 인식의 개념을 재조명하고자하는 것이다. 특히 종교가 사회연결망 규모에 어떤 영향을주고, 그 영향에 따라 생활수준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에 따라 생활수준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빈곤 인식의 개념을 재조명하고자하는 것이다. 특히 종교가 사회연결망 규모에 어떤 영향을주고, 그 영향에 따라 생활수준 인...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에 따라 생활수준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빈곤 인식의 개념을 재조명하고자하는 것이다. 특히 종교가 사회연결망 규모에 어떤 영향을주고, 그 영향에 따라 생활수준 인식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종교의 역할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2012년 현재 B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 356명으로,생활수준에 대한 인식과 사회 연결망 규모를 매개변수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은 교차분석과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시도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숙, "한부모 여성의 멘토링 연결망 특성이 멘토링 기능 및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61-84, 2009
2 고용노동부, "한국표준직업분류"
3 박능후, "탈빈곤정책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소득보장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4 김인, "지역사회의 소득, 빈곤 문제와 교회의 대처방안" 8 : 55-91, 2008
5 김형용, "지역사회 건강불평등에 대한 고찰 - 사회자본 맥락효과에 대한 해석" 한국사회학회 44 (44): 59-92, 2010
6 김용학, "지역감정의 관계적 분석: 결혼 연결망을 중심으로" 24 : 65-84, 1992
7 송건섭, "주관적 빈곤인식의 측정과 영향요인 : 기초생활수급자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7-27, 2011
8 임채홍, "절대적・상대적 빈곤수준의 결정요인 및 격차 비교분석: 2005-2007년의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이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25 (25): 77-109, 2011
9 김우식, "연결망과 반연결망" 2 : 62-94, 2004
10 Seabrook, Jeremy, "세계의 빈곤 누구의 책임인가?" 이후 2010
1 이인숙, "한부모 여성의 멘토링 연결망 특성이 멘토링 기능 및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61-84, 2009
2 고용노동부, "한국표준직업분류"
3 박능후, "탈빈곤정책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소득보장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4 김인, "지역사회의 소득, 빈곤 문제와 교회의 대처방안" 8 : 55-91, 2008
5 김형용, "지역사회 건강불평등에 대한 고찰 - 사회자본 맥락효과에 대한 해석" 한국사회학회 44 (44): 59-92, 2010
6 김용학, "지역감정의 관계적 분석: 결혼 연결망을 중심으로" 24 : 65-84, 1992
7 송건섭, "주관적 빈곤인식의 측정과 영향요인 : 기초생활수급자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7-27, 2011
8 임채홍, "절대적・상대적 빈곤수준의 결정요인 및 격차 비교분석: 2005-2007년의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이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25 (25): 77-109, 2011
9 김우식, "연결망과 반연결망" 2 : 62-94, 2004
10 Seabrook, Jeremy, "세계의 빈곤 누구의 책임인가?" 이후 2010
11 김교성, "서울시 가구 빈곤의 원인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215-240, 2010
12 최선덕, "상대적 빈곤감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 비정규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13 이철우, "사회적 연결망의 연구동향과 공간적 함의" 10 : 169-171, 1998
14 이원숙, "사회적 망과 사회적 지지이론" 홍익재 1995
15 김용학, "사회연결망이론" 박영사 2004
16 박경숙, "빈곤층의 생활과 의식: 생활세계 내 불평등의 지배와 저항" 한국사회학회 42 (42): 96-129, 2008
17 구인희,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빈곤이행: 경제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48 : 82-112, 2002
18 노병일, "빈곤의 개념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점" 13 (13): 125-140, 1994
19 김승범,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교회의 역할 연구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6
20 김태성, "빈곤과 사회복지정책" 청목출판사 2002
21 이명현, "빈곤 개념의 재검토" 7 (7): 179-206, 2000
22 정현정, "도시근로자의 주관적 빈곤감에 관한 연구 : 사회 연결망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3
23 김교성, "근로계층의 빈곤 결정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19-141, 2006
24 배병렬, "구조방정식 모델링" 청람출판사 2011
25 김경섭, "교회인사행정론" 도서출판 프리셉트 1994
26 Orman, S., "Your husband may spend your money and bounce checks, but you, my love, are the one living in emotional poverty" 16 : 46-47, 2005
27 Bott. E., "Urban Families: Conjugal Roles and Social Networks" Academic Press 253-292, 1977
28 Alcock, Pete, "Understanding poverty" Macmillan 2006
29 Campbell. A. Karen,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n" MacGraw-Hill 1981
30 Bond, J., "The persistent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Alcoholics Anonymous on abstinence" 64 (64): 579-588, 2003
31 Weber, Max,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Minneola" Dover Publications 2003
32 Townsend, Peter, "The Meaning of Poverty" 61 : 85-102, 2010
33 Diener and Suh. Eunkook, "Subjective Well-Being: Issues for Cross-Culture Research" 145-165, 1995
34 Wasserman, S., "Social Networks Analysis: Method and Application" Cambridge 1994
35 Ferge, Zsuzse, "Poverty in Hungary and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Breadline Europe" The Policy Press 267-306, 2000
36 Erickson, B. H., "Network Sampling in Practice: Some Second Steps" 3 : 127-136, 1981
37 Townsend, Peter, "Meaning of Poverty" 5 : 130-137, 1954
38 Helliwell, J., "How's Your Government? International Evidence Linking Good Government and Well-Being" 38 (38): 595-620, 2008
39 Haller, Max, "How social relations and structures can produce happiness and unhappiness: An internation comparative analysis" 75 : 169-216, 2006
40 Rothstein, Bo., "Happiness and the Welfare State" 77 (77): 441-168, 2010
41 Crooker, Karen J., "Happiness and Satisfaction: Measures of affect and cognition?" 44 : 195-224, 1998
42 "Encyclopaedia Britannica"
43 Goudie, A, "Economic growth, poverty and inequality" 11 (11): 325-338, 1999
44 Diener,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MIT Press 2000
45 Muffels. Ruud, "A multi-method approach to monitor the evolution of poverty" 2 (2): 193-213, 199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영성적 탄력성의 조절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