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밀교종단 진각종의 교리형성과 소의경전 = The formation of the doctrine and the chief textbooks of Jingak esoteric Buddhist sec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초기 불교탄압으로 밀교종파가 한국에서 역사에서 사라진지 5백여 년이 지난 이래 한국 밀교를 중흥한 종단인 진각종이 회당 손규상 대종사(1902~1963)에 의해 창종되었다. 그는 육자진언...

      조선 초기 불교탄압으로 밀교종파가 한국에서 역사에서 사라진지 5백여 년이 지난 이래 한국 밀교를 중흥한 종단인 진각종이 회당 손규상 대종사(1902~1963)에 의해 창종되었다. 그는 육자진언 옴마니반메훔을 염송하여 깨달음을 얻게 되었고, 이후 그는 불교 교리에 입각하여 그의 깨달음을 정립해 나가게 된다. 종단 초기에 대종사는 『금강경』, 『유마경』, 『법화경』 등과 같은 일반적인 대승경전의 교리에 입각하여 그의 깨달음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나, 육자진언과 관련한 밀교 교리와의 연관성을 발견하고 그는 자신의 깨달음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밀교의 교리에 입각하여 깨달음을 정립해 나갔다. 그러나 종단 초기에는 밀교 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그 교리 형태가 미완성의 양상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차츰 더 많은 밀교의 경전과 교리적인 자료를 통하여 대종사는 진각종 특유의 밀교교리를 수립해 나가게 되었고, 1957년 11월에 이르러 그는 종단이 밀교종으로서의 교리를 완성하였음을 선언하게 된다. 이 과정은 철저히 경전에 입각하면서도 다양한 교리를 무조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자신의 수행체험과 증득을 통하여 취사선택하여 종단의 교리를 정립해 나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종단은 최종적으로 밀교경전인 『대일경』, 『금강정경』, 『보리심론』, 『대승장엄보왕경』의 경전을 소의경전으로 채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종단의 밀교 교리를 정립하기에 이르게 된다.
      본 논문은 대종사께서 종단의 교리를 완성해 나가는 과정을 종단의 공식적인 역사서인 『교사(敎史)』를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종단의 전적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채택된 종단의 소의경전(所依經典)에서 어떤 교리적 내용을 채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같은 시도를 통하여 진각종이 한국 밀교를 중흥한 종단으로서 어떤 교리적 특색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esoteric sects disappeared from history in Korea due to the suppression of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Jingak sect, a sect that revived Esoteric Buddhism in Korea after more than 500 years, was created by Hoidang Sohn Gyu-sang(1902...

      After esoteric sects disappeared from history in Korea due to the suppression of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Jingak sect, a sect that revived Esoteric Buddhism in Korea after more than 500 years, was created by Hoidang Sohn Gyu-sang(1902-1963). He achieved enlightenment by chanting the six-syllable mantra, Om Mani Padme Hum and afterwards he organized his enlightenment based on Buddhist doctrine. In the early days, he tried to express his enlightenment based on the doctrines of general Mahayana sutras such as Diamond-sutra, Vimalakirti-sutra, Lotus-sutra, but after discovering a connection with the esoteric doctrine related to the Six Mantras, Hoi-dang can best understand your enlightenment. He established his enlightenment based on the doctrine of esotericism that could be expressed, but in the beginn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some esoteric materials, the doctrinal aspects were not completed. However, gradually through more and more esoteric scriptures and doctrinal materials, Hoi-dang began to establish the unique esoteric doctrine of the Jingak sect and in November 1957, he declared that the sect had completed the doctrine as an esoteric sect. This process is thoroughly based on the scriptures, but it is established through self-perceived experience and verification without simply following theoretically. In this process, the sect finally adopted the esoteric scriptures as the chief textbooks of Jingak sect such as Maha-vairocana sutra(大日經), Vajraśekhara-sūtra(金剛頂經), Kāraņḍa-vyūha sūtra(大乘莊嚴寶王經), Bodhicitta-śastra(菩提心論) and based on thi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ll the doctrines of the sect.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the great master completes the doctrine of the sect based on 『敎史』, the historical material of the sect, through the history of various sects. Also, I would like to examine what kind of doctrinal content is contained in the finally adopted the chief textbooks of Jingak sect. Through such an attempt, I think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wha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