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고려시대 금속활자본 『직지(直指)』 하권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금속활자의 특징과 인쇄특징을 조사하였다. 직지의 인쇄에는 크기가 큰 자, 작은 자, 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94901
유우식 (WaferMasters, Inc.)
2025
Korean
Jikji(直指) ; early printing ; metal type print ; image analysis ; printing characteristics ; typesetting technique ; 직지(直指) ; 고인쇄(古印刷) ; 금속활자본 ; 이미지 분석 ; 인쇄 특징 ; 조판방식
KCI등재
학술저널
195-229(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고려시대 금속활자본 『직지(直指)』 하권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금속활자의 특징과 인쇄특징을 조사하였다. 직지의 인쇄에는 크기가 큰 자, 작은 자, 폭...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고려시대 금속활자본 『직지(直指)』 하권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금속활자의 특징과 인쇄특징을 조사하였다. 직지의 인쇄에는 크기가 큰 자, 작은 자, 폭이 좁은 자 등 다양한 종류의 금속활자가 사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활자의 위아래가 조판 과정에서 뒤집혀 인쇄된 “날 일(日)”자가 세 군데에서 확인되었으며 주조결함이 있는 활자의 사용도 상당수 확인되었다. 행의 폭에 맞춰서 큰 자 한 자의 공간에 폭이 좁은 활자 두 자를 옆으로 배열하여 조판한 경우와 탈자 “움직일 동(動)”을 주서(朱書)로 기입한 경우도 발견되었다. 같은 글자의 인쇄된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활자본의 특성상 일부 활자가 반복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검토하였으나 거의 모든 활자는 한 번씩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각 장의 판심제에 사용된 활자와 광곽의 모양을 비교하여 홀수 장과 짝수 장 특유의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metal type and print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images of the second volume of Jikji(直指), a metal-movable- type printed book from the Goryeo Dynasty, registered as a UNESCO Memory of the World. It ...
The characteristics of metal type and print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images of the second volume of Jikji(直指), a metal-movable- type printed book from the Goryeo Dynasty, registered as a UNESCO Memory of the World.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types of metal type, such as large fonts, small fonts, and narrow fonts were used for the printing of Jikji. The upside down printed characters of “日(meaning: day)” were confirmed in three places due to mistakes during the typesetting process. The usage of a number of types with casting defects was also confirmed. Cases in which two narrow metal types we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pace of one large metal type to fit the line width, and a case where a missing character “動(meaning: move)” was hand written in red ink were also discover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images of the same printed characters, the possibility of repeated use of some metal types was also reviewed. Almost all metal types are estimated to have been used only once. By comparing the printed images of the book title and border lines in every leaf, commonalities unique to odd and even leaves were found.
통역사의 중립성(Neutrality) ― ‘해석(interpretation)’과 ‘개입(intervention)’을 중심으로 ―
한계 사례에 도전한 스파이 ― 프란츠 노이만의 칼 슈미트 비판에 대한 시론 ―
영화 <헤어질 결심>에 나타난 언어의 노이즈와 경청의 관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