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동포정책의 통일 및 경제 측면에서의 의의 =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owards Korean-Chinese and its implications Regarding Korean Reunification and South Korea-China Economic Relation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process and problems of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owards Korean-Chinese and suggest its implications regarding Korean reunification and South Korea-China economic relations. Until now it focused on managing ...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process and problems of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owards Korean-Chinese and suggest its implications regarding Korean reunification and South Korea-China economic relations.
      Until now it focused on managing them as one of immigrant workers.
      However, in the presence of the G2 era and Korean reunification, it has to take a completely new perspective. Since 1992, when China and South Korea formally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Korean-Chinese have alread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China relations, especially Korean companies’ entering into Chinese consumer market. They have not really played a role in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Korean reunification yet, but they have a great potential to improve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help realize Korean reunification in due time. Therefor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should be necessarily linked to its Korean reunification policy and South Korea-China economic relations. It is time for us to think much of the strategic values of Korean-Chinese and reconstructing our Korean-Chinese policy instead of either having compassion on them or hating them. It needs to deepen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rough Korean-Chinese by removing the provisions discriminating Korean-Chinese from the Law on Ethnic Koreans Abroad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South Korean perceptions on Korean-Chinese migrants and helping them to be better integrated into South Korean society as wel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한국정부의 중국동포정책이 지니는 통일 및 경제 측면에서의 의의를 조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중국동포정책은 외국인 출입국 및 노동자정책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중...

      이글은 한국정부의 중국동포정책이 지니는 통일 및 경제 측면에서의 의의를 조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중국동포정책은 외국인 출입국 및 노동자정책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중국이 미국과 더불어 세계를 지배하는 이른바 G2 시대의 도래와 한반도의 통일을 앞둔 시점에서 중국동포정책은 그러한 기존의 패러다임을 뛰어넘어야 한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중국동포들은 이미 한중관계의 발전, 그 중에서도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에기여하였다. 남북한관계 및 한반도 통일과 관련하여서도 중국동포들은 큰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제 중국동포정책은 통일외교정책 및 통상정책과 반드시 연계되어야만 한다. 중국동포에 대한 동정이나 혐오의 차원을 벗어나서 그들이 지닌 전략적 가치에 주목하고, 그에 맞게 중국동포정책을 재조정할 때다. 중국동포에 대한 재외동포법 시행령 상의 차별을 실질적으로제거함으로써 중국동포를 매개로 한 한중간의 통상(通商)과 인적⋅문화적교류의 수준을 한 차원 더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중국동포는 전체 체류외국인의 30%가 넘고 그 중에는 정주(定住)의도를 가진 사람들이 많으므로이들에 대한 국민 인식을 개선하고 이들의 사회통합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림관헌, "한반도 통일을 위한 재외동포 제언" 평화문제연구소⋅제주대평화연구소 2011

      2 백영옥, "한반도 통일과 재외동포의 역할" 2014

      3 차용호, "한국이민법" 법문사 2015

      4 이승률, "한국에서 본 재중동포의 지위와 역할" 재외한인학회 11-18, 2010

      5 설혜심, "한국사회의 일그러진 자화상: 내부 식민주의와 조선족" (8) : 1-3, 2014

      6 이진영, "한-중 외교관계와 재중 동포 -재외동포법 헌법 불일치 결정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8 (8): 77-100, 2002

      7 곽재석, "포용과 배제의 동포정책과 발전과제" 다문화통합연구소 5 (5): 33-73, 2012

      8 이진영, "통일과 동북아 평화를 위한 재외동포의 역할 모색" 재외한인학회 (37) : 1-29, 2015

      9 이진영, "통일과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의 구축: 재외동포와 신뢰프로세스" 1 (1): 63-83, 2014

      10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월보"

      1 림관헌, "한반도 통일을 위한 재외동포 제언" 평화문제연구소⋅제주대평화연구소 2011

      2 백영옥, "한반도 통일과 재외동포의 역할" 2014

      3 차용호, "한국이민법" 법문사 2015

      4 이승률, "한국에서 본 재중동포의 지위와 역할" 재외한인학회 11-18, 2010

      5 설혜심, "한국사회의 일그러진 자화상: 내부 식민주의와 조선족" (8) : 1-3, 2014

      6 이진영, "한-중 외교관계와 재중 동포 -재외동포법 헌법 불일치 결정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8 (8): 77-100, 2002

      7 곽재석, "포용과 배제의 동포정책과 발전과제" 다문화통합연구소 5 (5): 33-73, 2012

      8 이진영, "통일과 동북아 평화를 위한 재외동포의 역할 모색" 재외한인학회 (37) : 1-29, 2015

      9 이진영, "통일과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의 구축: 재외동포와 신뢰프로세스" 1 (1): 63-83, 2014

      10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월보"

      11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2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 월보"

      13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통계 월보"

      14 전병곤, "중국의 동북공정과 우리의 대응책" 통일정세분석 2004

      15 임형백, "중국의 국가통합과 조선족 정체성의 갈등" 다문화평화연구소 10 (10): 1-28, 2016

      16 이왕재, "중국동포의 대(對)한국 인식도에 관한 실증분석과 정책 제언" 10 (10): 243-385, 2001

      17 서정경, "중국동포의 귀환과 한국사회의 과제: ‘중국의 조선족’과 ‘한국의 중국동포’를 넘어" 세계한상문화연구단 8 (8): 71-94, 2014

      18 최서리, "중국동포의 국내 취업현황 분석 : 방문취업자와 영주⋅귀화자비교" IOM 이민정책연구원 ⅰ-xvii, 2014

      19 최재헌,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해석: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51 (51): 167-184, 2016

      20 김윤영, "중국 내 비자 방문 북한 여성들의 경제활동 경험과 의식 변화" 다문화평화연구소 10 (10): 50-71, 2016

      21 윤태순, "중-한 국제결혼의 증가에 따른 가족법의 문제 ―연변조선족의 한-중 “가장혼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법학회 22 (22): 61-90, 2008

      22 최우길, "조선족을 어떻게 볼 것인가" 1-12, 2016

      23 최우길, "조선족 정체성 다시 읽기: 세 차원의 의식에 관한 시론" 재외한인학회 (34) : 95-131, 2014

      24 윤인진, "재외동포정책의 목표와 추진체계의 재정립"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54) : 4-21, 2013

      25 곽재석, "재외동포의 이주현황과 향후 정책 전망" 사단법인 이주⋅동포정책연구소 2011

      26 외교부, "재외동포 총계"

      27 박광성, "세계화 시대 조선족을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 키워드들" (여름) : 2011

      28 진희관, "북한의 재외동포정책 연구 - 재중총련, 재CIS동포, 재일총련 그리고 재미동포 정책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평화문제연구소 23 (23): 63-106, 2011

      29 김용찬, "남북한의 재외동포정책" (5) : 62-76, 2000

      30 최진욱, "남북한 재외동포정책과 통일과정에서 재외동포의 역할" 통일연구원 2007

      31 이춘근, "남북한 과학기술협력과 전망" 25 (25): 50-57, 2015

      32 김재기, "남북통일과정에서 재외동포의 대북한 경제협력 - 중국 조선족과 재일 조총련 동포를 중심으로 -" 한국동북아학회 10 (10): 167-194, 2005

      33 조한범, "남북 학술교류⋅협력 증진방안 연구" 통일연구원 1-59, 2000

      34 최홍, "기로에 선 중국동포정책의 현안과 해법" (348) : 2011

      35 동북아신문, "각 정당은 중국동포정책을 밝혀 달라!"

      36 이철우⋅이호택, "‘한인’의 분류, 경계 획정 및 소속 판정의 정치와 행정" 2009

      37 김지영, "‘조선족 끌어안아, 말아?’ 韓정부 고민…포용해야 한다 주장 다시 대두"

      38 "http://theme.archives.go.kr/next/immigration/yanbianSettle.do"

      39 이금순, "[요약] 대북인도적 지원의 변천과정과 현황에 관한연구" 통일연구원 1999

      40 법무부, "2012년도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제문제연구 -> 국가안보와 전략
      외국어명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