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June, 2013,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Art Promotion Act, and the most noticeable piece of the Art Promotion Act is resale royalty right, also known as the ‘droit de suite,’ which gives artists the right to a part of the resal...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5218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9-169(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June, 2013,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Art Promotion Act, and the most noticeable piece of the Art Promotion Act is resale royalty right, also known as the ‘droit de suite,’ which gives artists the right to a part of the resal...
In June, 2013,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Art Promotion Act, and the most noticeable piece of the Art Promotion Act is resale royalty right, also known as the ‘droit de suite,’ which gives artists the right to a part of the resale price whenever their artwork is resold by or to an art market professional. To guarantees the efficient enforcement of resale royalty right, the Art Promotion Act stipulates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resale royalties through compulsory collective management, and the request for information necessary for collection of resale royalties. However, the details of procedures for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resale royalties should be detailed through the Enforcement Decre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detailed regulations and systems for efficiently collecting and distributing resale royalty of during the four-year grace period until the implementation of provisions stipulating the resale royalty right. Accordingly, this paper reviewed legal issues on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resale royalties under the Art Promotion Act.
For this purpose, Chapter 2 reviews related articles under the Art Promotion Act and examines overseas situations where the resale royalty right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Next, Chapter 3 addresses major legal issues related to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resale royalties and proposes the direction of enactment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rt Promotion Act related to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resale royalties through compulsory collective management system.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증한, "채권총론" 박영사 1998
2 정기웅, "채권총론" 법문사 2014
3 이은영, "채권총론" 박영사 1999
4 김주수, "채권총론" 삼영사 1999
5 곽윤직, "채권총론" 박영사 2003
6 김상용, "채권총론" 화산미디어 2009
7 송덕수, "채권법총론" 박영사 2015
8 박준서, "주석민법 채권총칙(2)" 한국사법행정학회 2000
9 이동기, "유럽의 재판매보상청구권 제도 운영과 우리나라에의 도입 여부에 관한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85) : 2009
10 차민경, "예술인 복지정책 기본계획 수립방향 설정을 위한 사전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
1 김증한, "채권총론" 박영사 1998
2 정기웅, "채권총론" 법문사 2014
3 이은영, "채권총론" 박영사 1999
4 김주수, "채권총론" 삼영사 1999
5 곽윤직, "채권총론" 박영사 2003
6 김상용, "채권총론" 화산미디어 2009
7 송덕수, "채권법총론" 박영사 2015
8 박준서, "주석민법 채권총칙(2)" 한국사법행정학회 2000
9 이동기, "유럽의 재판매보상청구권 제도 운영과 우리나라에의 도입 여부에 관한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85) : 2009
10 차민경, "예술인 복지정책 기본계획 수립방향 설정을 위한 사전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
11 임건면, "부진정연대채무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점과 유형화 시도" 법학연구원 29 (29): 211-242, 2017
12 곽윤직, "민법주해(10)채권(3)" 박영사 2013
13 이동기 ; 박경신, "미술품재판매보상청구권의 강제적 집중관리 관련 법적 쟁점" 법학연구소 34 (34): 467-496, 2023
14 이동기 ; 박경신, "미술품재판매보상청구권 관련 정보제공요청권 실효성 제고 방안 연구" 한국정보법학회 27 (27): 1-28, 2023
15 박경신, "미술품재판매보상금 지급의무자에 대한 검토- 유럽 사법재판소의 판결을 중심으로 -" 한국저작권위원회 31 (31): 231-263, 2018
16 문화체육관광부, "미술품 재판매에 대한 보상청구권 도입 방안 연구" 2017
17 문화체육관광부, "미술저작권 신탁관리 현황 및 활성화 방향 모색" 2022
18 박경신, "미술시장의 비밀 준수 관행 및 추급권의 실효성 확보 방안에 관한 재고" 한국정보법학회 20 (20): 77-111, 2016
19 한국저작권위원회, "미술시장에서의 NFT 열풍과 저작권 쟁점들에 대한 검토(박경신)" 2023
20 문화체육관광부, "미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단계적 제도화 기초연구" 2021
21 계승균, "독일저작권법상 추급권에 관한 연구" 세창출판사 48 : 180-201, 2007
22 양창수, "독일민법전-총칙ㆍ채권ㆍ물권" 박영사 2005
23 국회입법조사처, "「저작권법」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의 보상금 징수 및 미분배 보상금 활용에 대한 입법영향분석" NARS 2017
24 한국저작권위원회, "[프랑스] 파기원, 저작권 집중관리단체의 회원은 직접 저작권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박경신)" 2015
25 한국저작권위원회, "[프랑스] 대법원, 미술품 재판매 로열티 비용은 매수인에게 전가될수 있다(박경신)" 2019
26 Joëlle Farchy,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THE ARTIST’S RESALE RIGHT"
27 NICOLAS BOUCHE, "INTELLECTUAL PROPERTY LAW IN FRANCE" 2011
28 LIONEL BENTLY, "INTELLECTUAL PROPERTY LAW" 2009
29 Alexandre Mathieu-Fritz, "French ‘officiers ministeriels’: autonomy of the legal professions, protection of their market and an ambivalent relationship with the state" 16 : 167-, 2009
구분건물 대지사용권의 처분일체성과 신탁재산의 독립성- 대법원 2021. 11. 11. 선고 2020다278170 판결 -
ESG의 ‘G’의 새로운 구축을 위한 상법을 주축으로 한 기업의 욕망에 관한 소고
자동차관리법상 중고차 성능ㆍ상태점검 책임보험 제도에 대한 입법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