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어 모음의 포먼트 중앙화 비율 : 모음공간면적의 대안으로서의 측정기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97138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2012. 2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741.2 판사항(5)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Fromant Centralization Ratio of English Vowels

      • 형태사항

        ix, 43 L. 챠트 ; 26cm

      • 일반주기명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종미
        참고문헌 : L.37-41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포먼트 중앙화 비율이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을 구분하는 데 유요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모음의 명료도를 평가하는 전통적인 방법에는 모음 포먼트, 성대진동 시...

      본 연구의 목적은 포먼트 중앙화 비율이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을 구분하는 데 유요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모음의 명료도를 평가하는 전통적인 방법에는 모음 포먼트, 성대진동 시작기간(Vowel Onset Time, 약칭VOT), 모음 공간 면적 등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평가 기준은 모음 공간 면적이다. 모음 공간 면적은 이옥분(2010), 심이슬(2010), 조소형(2010) 등의 연구에서와 같이 언어병리학 및 인문과학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준이다. 그러나, 2009년과 2010년 Shimon의 연구가 밝힌 바에 따르면 모음 공간 면적은 화자 간 변이의 민감성이 아주 높기 때문에 비교 집단 간의 차이를 잘 구별하지 못 하고, 그 때문에 연구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화자 간 변이는 성별과 나이 등의 해부학적인 또는 신체적인 차이 때문일 수도 있고, 모든 모음을 조음할 때 습관적으로 혀를 상대적으로 앞으로 혹은 뒤로 빼는 등의 특이한 조음 습관 때문에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Shimon(2010)은 정상 화자와 마비말장애 화자의 모음 포먼트 값을 이용하여 모음 공간 면적과 포먼트 중앙화 비율을 비교한 연구를 하였는데, 포먼트 중앙화 비율은 두 집단 간의 화자 간 변이는 최소화 하고 모음 중앙화의 민감도는 최대화하기 위해 고안된 공식이다. 연구 결과, 모음 공간 면적은 정상 화자와 마비말장애 화자를 구분하지 못하였으나, 포먼트 중앙화 비율은 두 집단 간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 선행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경우에도 마비말장애 화자와 마찬가지로 줄어든 모음 공간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므로 포먼트 중앙화 비율이 영어 학습자와 영어 모국어 화자를 구분하는 데에도 효과적인지를 실험 해 보고자 한다.
      연구에는 5명의 영어 원어민 화자와 25명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참여하였다. 녹음목록은 ‘pot, put, pit' 세 단어이며 피 실험자들은 조용한 공간에서 위 단어를 한 번 내지 두 번 발음하였다. 녹음에는 CSL(Computerized Speech Lab) 4400과 CoolEdit96, 그리고 SHURE사의 SM48마이크를 사용하였다. 음향분석을 위해 세 단어의 각 모음의 포먼트 주파수를 Praat(5.2.25버전)을 통해 측정하였다. 첫 번째와 두 번째 포먼트 주파수 값을 모음 공간 면적과 포먼트 중앙화 비율의 공식에 대입하여 비교해 보았을 때, 포먼트 중앙화 비율은 두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였지만 모음 공간 면적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포먼트 중앙화 비율은 마비말장애 화자와 정상인 화자를 구분하는 데 뿐 만 아니라,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를 구분하는 데에도 유효한 음향학적 측정 기준이라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포먼트 중앙화 비율은 모음 공간 면적에 비해 더 안정적인 연구 결과를 낼 수 있으므로, 앞으로 행해질 모음 명료도 연구에서는 포먼트 중앙화 비율이 모음 공간 면적을 보완하는 기재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apply formant centralization ratio to vowel formant to differentiate learners from native speakers and to find out whether formant centralization ratio is useful. One of the traditional ways to evaluate the articulati...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apply formant centralization ratio to vowel formant to differentiate learners from native speakers and to find out whether formant centralization ratio is useful. One of the traditional ways to evaluate the articulation of vowels is vowel space area. Shimon et al.(2009) and Shimon et al.(2010), however, say vowel space area has a problem with varying degrees of success because it is highly sensitive to interspeaker variability.
      For this study, total 90 English words which were produced by 5 native speakers of American English and 25 Korean learners of English who specialize in English literature and English language. They read 3 words (pot, put, pit) once to twice in a calm place using Computerized Speech Lab 4400 and Cool Record Edit program 96. The first and second formant frequency of three vowels (㉪, ᴜ, ɪ) in the given words were extracted through speech analysis program, Praat(version 5.2.25). The formant values were used to produce vowel space area and formant centralization ratio.
      The result of t-test turned out to be meaningful(t=0.033) in case of formant centralization ratio, but did not show senseful distinction(t=0.126) in time of vowel space area. The result indicates that formant centralization ratio works as a useful acoustic metric which supplements vowel space area for differentiating learners from native speak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 례
      • 표 및 도표 목록 -----------------------ˇ
      • ??. 서 론 -----------------------1
      • 차 례
      • 표 및 도표 목록 -----------------------ˇ
      • ??.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 문제 -----------------------3
      • 1.3 연구의 제한점 ---------------------4
      • ??.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5
      • 2.1 용어의 정의 ----------------------5
      • 2.1.1 모음의 특성 ---------------------5
      • 2.1.2 포먼트 ------------------------6
      • 2.1.3 모음 공간 면적 -------------------8
      • 2.1.4 포먼트 중앙화 비율 ----------------9
      • 2.2 연구배경 -----------------------10
      • 2.2.1 구희산, 오연진(2001) -------------11
      • 2.2.2 이찬종, 김정환, 허윤주(2011) ---------12
      • 2.2.3 2.2.3 Sapir. S, Polczynska. M, Tobin. Y (2009) ---14
      • 2.2.4 Sapir. S, Raming. L, Spielman. J and Fox. C (2010) 16
      • ??. 연구 방법 -----------------------20
      • 3.1 연구 대상 -----------------------20
      • 3.2 자료 수집 -----------------------21
      • 3.3 측정 방법 -----------------------22
      • 3.4 자료 분석 -----------------------25
      • ??. 연구 결과 및 논의 ----------------27
      • 4.1 연구 결과 --------------------28
      • 4.2 논의 -----------------------34
      • ??. 결론 ------------------------35
      • 5.1 요약 --------------------------35
      • 참고 문헌 ----------------------------37
      • 영문요약 -----------------------------------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