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들의 윤리적 과제수행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4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과제표절 현황과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윤리적 과제수행을 목표로 하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대학생들의 과제표절을 예방하고 학업윤리 ...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과제표절 현황과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윤리적 과제수행을 목표로 하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대학생들의 과제표절을 예방하고 학업윤리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과제표절이 일어나는 빈도와 유형, 표절에 대한 인식 등 과제표절의 현황과 원인을 파악한다. 둘째, 대학생들의 과제표절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관련 요인(전공별 수업특성, 과제유형, 강좌유형 등)을 탐색한다. 셋째, 대학생의 과제표절 실태와 교수-학습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윤리적 과제수행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과 적용전략을 개발한다. 넷째,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과 적용전략을 실제 수업현장에 적용하여 타당성과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모형을 수정하고 추가적인 적용전략을 개발한다.
      주로 시험중 부정행위를 뜻하는 ‘학업부정행위(academic dishonesty)'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진 선행연구들과 구별되는 본 연구의 실천적 의의와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인터넷의 보편화와 검색엔진 및 저장매체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학업부정행위들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행해지고 있고 그 폐해도 심각하다고 할 수 있는 과제표절로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고 과제표절의 빈도와 유형, 특히 인터넷 등 첨단매체를 중심으로 과제표절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정확하고 깊이있는 분석을 통해 보다 현실적이고 근본적인 처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둘째, 대학생들의 과제표절과 관련한 기존의 대응책들이 주로 표절예방의 차원에서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학생들의 표절행위에 대한 적발과 처벌을 강화하려는 제도적, 행정적 접근에 머무르고 있으며, 정작 학생들의 윤리적 과제수행을 위해 가장 핵심적인 수업에서의 교수-학습 과정에서는 아무런 개선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대학의 실제 수업 차원에서 지속적이고 융통성있게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다양하고 현실적인 수업에의 활용전략을 제공함으로써, 일회적 예방책 또는 기계적 적발 및 처벌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표절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 및 환경적 요인들을 살펴보는 데 그쳤던 기술적(descriptive)성격의 선행연구들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전공별 수업특성이나 과제유형, 교수자의 피드백 형태 등 다양한 교수-학습 요인들을 고려하여 실제 수업에서 활용가능한 처방적(prescriptive)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넷째, 연구방법의 측면에서 표절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존 연구들의 설문조사 기법 이외에도 심층면담과 포커스집단면담, 그리고 주요 전공별 수업관찰 및 강의계획서 분석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과제표절과 관련된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의 종합적 분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도출된 교수-학습모형은 일회적인 성격의 표절방지 수업이나 예방보다는 적발에 중점을 둔 표절검사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다양한 전공영역의 개별 수업 차원에서 지속적이고 융통성있는 적용이 가능한 표절방지를 위한 수업의 설계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a large-scale survey, in-depth interviews, and focus-group interviews with college students on their misuse of information resources while completing course assignments, the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a) how (and ...

      Based on a large-scale survey, in-depth interviews, and focus-group interviews with college students on their misuse of information resources while completing course assignments, the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a) how (and how often) do college students misuse various types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while completing course assignments ; (b)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on such misuse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 (c) How can we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to promote academic integrity among college studetns ; and (d) how can we validate the aforementioned instructional model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indicate that (a) there are limited instructional opportunities available to inform college students on proper use of various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b) regardless of the participant’s year in college, major, or the type of course assignment, the most commonly misused digital information resource was free Internet contents; (c) lack of confidence was most frequently reported reason contributing to college students’ misuse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while completing course assignments; and (d) participants’ major and the type of course assignment seem to be co-related to the misuse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an instructional model was developed to support project learn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It is argued that there is a need to build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promote eth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s part of meaningful learning which can also provide guidelines for instructors to articulate course assignments and monitor the progress of student learning.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