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진동수 격자 이론과 훈민정음 모음도 = Frequency Lattice Model of the Vowel Chart of Hun-Min-Jung-E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62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rmant theory, which approximates and characterizes the sound spectrum by choosing two successive peak frequencies F1 and F2, is extended to the frequency lattice model by adding the vocal frequency F0 and by using the frequency and amplitude modulations to synthesize the fundamental frequencies ($\omega_1$, $\omega_2$). Thus, we define the frequency lattice and the formants F1 and as are points on the lattice. We see that the crystal structure will be useful in clarifying the human voice. We apply the lattice model to study the vowel structure of the Hun-Min-Jung-Eum, and see that the vowels are the first and the second neighboring lattice points centered at the vocal frequency $\omega_0$. We use the voices of Korea youth to discuss the lattice briefly.
      번역하기

      The formant theory, which approximates and characterizes the sound spectrum by choosing two successive peak frequencies F1 and F2, is extended to the frequency lattice model by adding the vocal frequency F0 and by using the frequency and amplitude mod...

      The formant theory, which approximates and characterizes the sound spectrum by choosing two successive peak frequencies F1 and F2, is extended to the frequency lattice model by adding the vocal frequency F0 and by using the frequency and amplitude modulations to synthesize the fundamental frequencies ($\omega_1$, $\omega_2$). Thus, we define the frequency lattice and the formants F1 and as are points on the lattice. We see that the crystal structure will be useful in clarifying the human voice. We apply the lattice model to study the vowel structure of the Hun-Min-Jung-Eum, and see that the vowels are the first and the second neighboring lattice points centered at the vocal frequency $\omega_0$. We use the voices of Korea youth to discuss the lattice brief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개의 특성 진동수(F1과 F2)를 선택해서 음성 스펙트럼을 대표적으로 설명하는 포만트 이론을 성대 진동수 F0를 추가하여 진동수 격자 이론으로 확장한다. 포만트 F1과 F2가 성대 진동 F0에서 기본 진동수 ($\omega_1$, $\omega_2$)에 따른 주파수 변조가 되게 진동수 격자 구조를 정의한다. 따라서 포만트 이론이 진동수 격자 이론의 제한된 형태임을 보인다. 고체의 결정 구조가 인간의 음성 분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진동수 격자 이론을 훈민정음을 살피는데 사용하고, 훈민정음 모음도가 중심 진동수 $\omega_0$에서 1차와 2차 인접 격자 진동수를 기호화한 것임을 보인다. 한국 청년의 소리를 중심으로 훈민정음 모음도에 따른 격자의 크기를 살핀다.
      번역하기

      2개의 특성 진동수(F1과 F2)를 선택해서 음성 스펙트럼을 대표적으로 설명하는 포만트 이론을 성대 진동수 F0를 추가하여 진동수 격자 이론으로 확장한다. 포만트 F1과 F2가 성대 진동 F0에서 기...

      2개의 특성 진동수(F1과 F2)를 선택해서 음성 스펙트럼을 대표적으로 설명하는 포만트 이론을 성대 진동수 F0를 추가하여 진동수 격자 이론으로 확장한다. 포만트 F1과 F2가 성대 진동 F0에서 기본 진동수 ($\omega_1$, $\omega_2$)에 따른 주파수 변조가 되게 진동수 격자 구조를 정의한다. 따라서 포만트 이론이 진동수 격자 이론의 제한된 형태임을 보인다. 고체의 결정 구조가 인간의 음성 분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진동수 격자 이론을 훈민정음을 살피는데 사용하고, 훈민정음 모음도가 중심 진동수 $\omega_0$에서 1차와 2차 인접 격자 진동수를 기호화한 것임을 보인다. 한국 청년의 소리를 중심으로 훈민정음 모음도에 따른 격자의 크기를 살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 Kim, Yeongnam University 2015

      2 M. Heo, 34 : 235-, 1992

      3 M. LeBrun, 1 : 51-, 1977

      4 L. Demany, 96 : 706-, 1994

      5 J. Chowing, 21 : 526-, 1973

      6 D. D. Greenwood, 33 : 1344-, 1961

      7 A. Horner, 17 : 17-, 1993

      8 E. Zwicker, 68 : 1523-, 1980

      9 E. Zwicker, 33 : 248-, 1961

      10 B. R. Glasberg, 47 : 103-, 1990

      1 S. Kim, Yeongnam University 2015

      2 M. Heo, 34 : 235-, 1992

      3 M. LeBrun, 1 : 51-, 1977

      4 L. Demany, 96 : 706-, 1994

      5 J. Chowing, 21 : 526-, 1973

      6 D. D. Greenwood, 33 : 1344-, 1961

      7 A. Horner, 17 : 17-, 1993

      8 E. Zwicker, 68 : 1523-, 1980

      9 E. Zwicker, 33 : 248-, 1961

      10 B. R. Glasberg, 47 : 103-, 1990

      11 R. Plomp, 38 : 548-, 1965

      12 J. Bate, 14 : 38-, 1990

      13 박상업, "훈민정음의 원형 자음과 원형 모음의 과학적 원리" 한국물리학회 66 (66): 478-488, 2016

      14 소강춘, "훈민정음의 안정적 음소 분할 원리의 과학적 탐색 -합리적 대화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94) : 31-67, 2015

      15 박상업, "훈민정음 음소 분할의 소수성과 과학성" 한국물리학회 66 (66): 30-36, 2016

      16 김슬옹, "한글 우수성, 독창성, 과학성에 대한 통합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37-82, 2012

      17 박재환, "기업가정신과 창업준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인프라 활용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39-47, 2016

      18 A. C. Graham, "the Nature of Collective Thinking" Institute of East Asian Philosophies 1986

      19 N. W. McLachlan, "Theory and Application of Mathieu Functions" Oxford 1947

      20 J. Sundber, "The Science of the Singing Voice" Northern Illinois Univ. Press 1987

      21 A. M. Kosevich, "The Crystal lattice" Wiley-VCH 2005

      22 B. Martin, "Phonetics: The Science of Speech" Edward Arnold 1999

      23 A. D. Partel, "Music, Language, and the Brain" Oxford 2008

      24 G. B. Arfken, "Mathematical Methods for Physicists" Academic 2005

      25 The Great King SeJong, "Hun-Min-Jung-Eum Hae-Rye"

      26 J. Daniel,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27 D. Abercrombie, "Elements of General Phonetics" Aldine 1967

      28 E. T. Whittaker, "A Course of Mordern Analysis" Cambridge 1978

      29 P. Ladefoged, "A Course in Phonetics" Wadsworth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