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참여를 통한 정부혁신 사례연구: 행정안전부 사례를 중심으로 = Case Study on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70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의 국민참여 사례를 통해 정책성과를 도출하고 행정서비스를 혁신한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국민참여를 통한 혁신을 도모한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 및 지방정부, 공공기관의 정부혁신을 독려하는 주무부처로서 국민참여를 통한 정부혁신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기관으로 평가를 받아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2년 행정안전부의 국민소통과 참여의 추진과정, 국민참여를 위한 창구의 분석, 국민참여를 통한 서비스 혁신의 성과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해 행정안전부가 국민참여를 통해 정부혁신을 할 수 있었던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영향 요인을 통해 다른 중앙부처 및 공공부문에서 국민참여를 독려하고 이를 통해 행정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의 국민참여 사례를 통해 정책성과를 도출하고 행정서비스를 혁신한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국민참여를 통한 혁신을 도모한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대...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의 국민참여 사례를 통해 정책성과를 도출하고 행정서비스를 혁신한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국민참여를 통한 혁신을 도모한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 및 지방정부, 공공기관의 정부혁신을 독려하는 주무부처로서 국민참여를 통한 정부혁신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기관으로 평가를 받아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2년 행정안전부의 국민소통과 참여의 추진과정, 국민참여를 위한 창구의 분석, 국민참여를 통한 서비스 혁신의 성과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해 행정안전부가 국민참여를 통해 정부혁신을 할 수 있었던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영향 요인을 통해 다른 중앙부처 및 공공부문에서 국민참여를 독려하고 이를 통해 행정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deduced policy outcome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cases, analyzed cases of administrative service innovation, and derived influencing factors that promoted innovation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which was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been evaluated as an institution that successfully promoted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as the main ministry that encourages government innovation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promoting public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2022, analysis of channels for public participation, and service innovation outcome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were reviewed. In addition, through this analysis, the influence factors that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were able to achieve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were analyzed. Through these influencing factors, it is judged that other central ministries and public sectors will encourage public participation and thereb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deduced policy outcome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cases, analyzed cases of administrative service innovation, and derived influencing factors that promoted innovation through public ...

      In this stud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deduced policy outcome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cases, analyzed cases of administrative service innovation, and derived influencing factors that promoted innovation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which was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been evaluated as an institution that successfully promoted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as the main ministry that encourages government innovation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promoting public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2022, analysis of channels for public participation, and service innovation outcome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were reviewed. In addition, through this analysis, the influence factors that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were able to achieve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were analyzed. Through these influencing factors, it is judged that other central ministries and public sectors will encourage public participation and thereb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영, "한국 제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체제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4 (24): 1451-1478, 2011

      2 정부용, "한국 베이비붐 세대 공무원의 사회참여 태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93-101, 2018

      3 정부합동, "정부혁신 추진 기본계획" 관계부처합동 2021

      4 관계부처 합동, "정부혁신 종합 추진계획" 2022

      5 이향수 ; 이성훈, "정보화 수준과 소득 수준과의 관계: PC기반 환경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8, 2017

      6 박해선 ; 노재확,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기업 생산성에 미친 영향 : 기업데이터를 이용한 총요소생산성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655-674, 2010

      7 연합뉴스, "전 행정기관서 '국민참여 수준진단' 실시…온라인 정책참여 강화"

      8 정용훈 ; 신종국 ; 이성훈, "자율주행 확대로 인한 고속도로 이용률 증가는 경제성장에 기여하는가? : 지역별 패널 통계를 활용한 고속도로 이용률 확대와 경제성장과의 관계 분석을 통한 고찰" 한국산업경제학회 34 (34): 761-780, 2021

      9 서동조 ; 김미연, "시민참여를 위한 스마트 도시 플랫폼의 개념모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63-73, 2021

      10 최민주 ; 이상호 ; 조성수 ; 정예진 ; 조성운, "시민참여 기반의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 설정" 한국콘텐츠학회 20 (20): 284-294, 2020

      1 김은영, "한국 제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체제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4 (24): 1451-1478, 2011

      2 정부용, "한국 베이비붐 세대 공무원의 사회참여 태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93-101, 2018

      3 정부합동, "정부혁신 추진 기본계획" 관계부처합동 2021

      4 관계부처 합동, "정부혁신 종합 추진계획" 2022

      5 이향수 ; 이성훈, "정보화 수준과 소득 수준과의 관계: PC기반 환경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8, 2017

      6 박해선 ; 노재확,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기업 생산성에 미친 영향 : 기업데이터를 이용한 총요소생산성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655-674, 2010

      7 연합뉴스, "전 행정기관서 '국민참여 수준진단' 실시…온라인 정책참여 강화"

      8 정용훈 ; 신종국 ; 이성훈, "자율주행 확대로 인한 고속도로 이용률 증가는 경제성장에 기여하는가? : 지역별 패널 통계를 활용한 고속도로 이용률 확대와 경제성장과의 관계 분석을 통한 고찰" 한국산업경제학회 34 (34): 761-780, 2021

      9 서동조 ; 김미연, "시민참여를 위한 스마트 도시 플랫폼의 개념모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63-73, 2021

      10 최민주 ; 이상호 ; 조성수 ; 정예진 ; 조성운, "시민참여 기반의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 설정" 한국콘텐츠학회 20 (20): 284-294, 2020

      11 장홍붕 ; 김종관 ; 왕환환 ; 이윤경, "사내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개방형 혁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부산지역 중소기업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101-111, 2018

      12 정명선, "기업의 조직학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무형자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97-105, 2017

      13 배상훈, "국민과 함께 혁신성과 창출 : 국민 소통 참여형 혁신플랫폼 구축_아이디어 제안한 시민이 직접 참여"

      14 "https://open.canada.ca/en/coronavirus"

      15 "https://open.canada.ca/data/en/dataset"

      16 Yoon, S. J., "The Science and Technology, Citizen Participation: Exploring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Applicabilities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National R&D Investment Direction" KISTEP 2013

      17 House of Commons Information Office, "Public Petitions. Factsheet P7"

      18 Choi, B. S., "Platform, It changes the management" SERI 17-24, 2014

      19 Hoque, Z, "Linking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o size and market factors: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12 (12): 2000

      20 Yeo., "Innovation with sincerity, breaking the wall with customers" 74 (74): 4-7, 2011

      21 Yoo, J, "Expansions of the Civic Particip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Participatory Democracy" 7 (7): 105-125, 2003

      22 An, Y. J., "An Establishment of the Smart City Model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s" DSI 2019

      23 Mantel, S. P., "A behavioral Study of Supply Manager Decision Making: Factors Influencing Make versus Buy Evaluation" 24 (24): 822-83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