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都市女性의 餘暇實態와 社會敎育 要求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education needs of urban wom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69494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라 늘어나는 여성의 여가 문제를 어떻게 사회 교육적으로 해결하고 또 바람직하게 선용하도록 유도할 것이냐에 따라 도시여성의 여가 활동 실태를 파악해 ...

      본 연구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라 늘어나는 여성의 여가 문제를 어떻게 사회 교육적으로 해결하고 또 바람직하게 선용하도록 유도할 것이냐에 따라 도시여성의 여가 활동 실태를 파악해 보고 사회교육활동참여와 요구를 조사하여 도시여성들을 위한 사회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참고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들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총 672부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한쪽에 치우친 응답이나 무응답 문항이 지나치게 많은 불성실 응답자 34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총 638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로 얻어진 자료는 지역별, 연령별, 결혼여부, 학력별, 직업별, 생활정도별로 나누어 두 변수(문항)간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X^(2)(Chi-Square)검증과 AN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시여성들의 여가 활용 실태에 대해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도시여성들의 평일 중 가장 한가한 시간은 오후 9시 이후가 가장 많았으며 여가에 소요되는 1시간~2시간 정도였고 여가란 일에서 벗어나는 자유시간으로 생각하며, 여가 생활에 있어 생활의 활력과 새로움을 찾기 위한 욕구가 크며, 여가 생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스럽게 나타났다.
      2. 도시 여성들의 사회교육 활동에 대한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도시여성들은 사회교육활동 참여를 대체로 필요하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41~50세, 50세 이상의 여성들은 여성의 사회교육활동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교육프로그램 안내는 주로 방송매체를 활용하면 사회교육에 참여하는 목적은 교양, 지식, 건강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교육활동 참여시 주된 관심사는 마음의 여유로 나타났으나 기혼의 가정주부들은 비용에도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교육방법은 실험, 실습, 견학위주의 창조적이고 활동적인 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도시여성들의 사회 교육시설 이용에 대해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사회교육기회는 주로 공공시설인 구청, 구민회관, 지역사회복지관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기간은 3개월 정도였으며 생활정도와 학력이 높을수록 교육기간이 길었고 생활정도와 학력이 낮을 수록 교육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교육시설은 1년에 1회 정도 이용하며 거주지역의 사회교육시설에 대해서 그저그렇게 생각하거나 불만족스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여성들이 직장이 끝난 후에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저소득층 여성들을 위한 시설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보여진다.
      4. 사회교육 활동 및 프로그램 특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도시 여성들의 교육 참여 내용으로는 직업기술전문분야와 건강 교육 보건 분야로 나타났으며 기초교양 교육 분야에서 주로 희망하는 내용은 인간관계 및 여성활동에 관한 교육이었고, 건강, 보건교육 중 희망내용은 생활건강 및 운동에 관한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기술 분야 중 희망 내용은 부업 및 취업을 위한 기능교육을 원하는데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을 수록 컴퓨터교육과 외국어 교육을 연령이 높고 학력이 낮을 수록 부업 및 취업을 위한 기능 기술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교육 중 희망내용은 체육교육 분야로 에어로빅 및 건강체조 등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needs for education in leading urban women for useful their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describes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of survey finding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re obser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needs for education in leading urban women for useful their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describes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of survey finding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re observed by reviewing general concept of leisure, change of women's urban life and leisure, and social education for women from the standpoint social educa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ew concept of leisure should be establish and adapted to social education for women. The leisure now not only means 'spare time' but more comprehensively 'free state of mind' so that one can perform ones duty in free envelopment..
      2. The social education for women should include leisure education. To make best use of increased leisure,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and it can be done effecting through social education for women.
      3. The social education for women must be education that can prepare women for the future.
      4. The social education for women must be for self-actulization of women, and to do so, may high quality education program must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women's leisure activities high quality 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along with seminars and symposium about the useful use of women 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국문초록 = ⅳ
      • Ⅰ. 서론 = 1
      • A. 문제의 제기 = 1
      • B.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 목차 = ⅰ
      • 국문초록 = ⅳ
      • Ⅰ. 서론 = 1
      • A. 문제의 제기 = 1
      • B.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 C. 연구의 범위 및 한계 = 4
      • Ⅱ. 이론적 배경 = 6
      • A. 도시의 특징과 도시여성의 특징 = 6
      • 1. 도시지역사회의 일반적 특징 = 6
      • 2. 도시여성의 특성 = 8
      • B. 여성의 삶과 여가 = 9
      • 1. 여가의 개념적 의의 = 9
      • 2. 가족구조의 변화와 여성여가의 중대 = 16
      • 3. 산업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 중대 = 18
      • 4. 여성의 여가인식과 활동의 변화 = 21
      • C. 여성 여가에 대한 사회교육적 접근 = 22
      • 1. 여성 사회교육의 개념 = 22
      • 2. 여성사회교육의 실태 = 26
      • 3. 여성사회교육의 문제점과 발전과제 = 32
      • D. 선행연구 = 34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7
      • A. 연구대상 = 37
      • B. 조사도구 = 37
      • C. 연구방법 및 절차 = 38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9
      •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9
      • B. 도시 여성의 여가 실태 = 40
      • C. 도시여성의 사회교육 활동에 관한 인식도 = 47
      • D. 사회교육시설에 대한 인식도 = 54
      • E. 도시여성의에 관한 인식도 = 60
      •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 71
      • A. 요약 = 71
      • B. 결론 및 제언 = 72
      • 참고문헌 = 76
      • -부록- 설문지 = 81
      • ABSTRACT =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