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재승,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성격"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1) : 171-192, 2006
2 노영덕, "추상미술의 미학적 이해 - 칸딘스키의 경우와 몬드리안의 경우 비교 -"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95-103, 2009
3 서주희,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효과" 25 (25): 1-14, 2012
4 곽춘옥,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문학 통합의 두 가지 유형-1~4학년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1) : 267-293, 2014
5 오연화, "초등미술교과에서 상상표현을 위한 효과적인 발상 지도방안 연구 : 3, 4학년 평면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6 이육사, "청포도" 신라출판사 1999
7 박성진, "창작을 통한 학습자의 동기화 신장과 미술-문학 통합예술교육의 연관성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8 (8): 39-54, 2010
8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
9 고정희, "자화상(自畵像)을 통한 미술과 문학의 융합 교육" 한국문학치료학회 47 : 119-160, 2018
10 이원숙, "인식의 확장을 유도하는 예술계열 글쓰기" 6 : 185-211, 2013
1 이재승,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성격"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1) : 171-192, 2006
2 노영덕, "추상미술의 미학적 이해 - 칸딘스키의 경우와 몬드리안의 경우 비교 -"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95-103, 2009
3 서주희,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효과" 25 (25): 1-14, 2012
4 곽춘옥,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문학 통합의 두 가지 유형-1~4학년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1) : 267-293, 2014
5 오연화, "초등미술교과에서 상상표현을 위한 효과적인 발상 지도방안 연구 : 3, 4학년 평면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6 이육사, "청포도" 신라출판사 1999
7 박성진, "창작을 통한 학습자의 동기화 신장과 미술-문학 통합예술교육의 연관성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8 (8): 39-54, 2010
8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
9 고정희, "자화상(自畵像)을 통한 미술과 문학의 융합 교육" 한국문학치료학회 47 : 119-160, 2018
10 이원숙, "인식의 확장을 유도하는 예술계열 글쓰기" 6 : 185-211, 2013
11 윤지영, "인문 융복합 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국문학이라는 근대의 경계에서 마을 만들기 -" 한국문학연구소 (53) : 477-510, 2017
12 고영자, "이육사 시정신 고찰" 현대문학이론학회 (26집) : 25-45, 2005
13 김임구, "의미의 구체시* — 고원의 시집 『나는 ㄷㅜㄹ 이다』에 대한 하나의 독법" 독일어문화권연구소 (15) : 143-157, 2006
14 Sousa, D. A., "융합인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다빈치books 2014
15 박수정,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미술의 역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30 (30): 161-192, 2016
16 백윤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17 김시정, "융복합 교육의 양상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국어교육학회 (43) : 125-153, 2012
18 강성숙, "예체능 계열 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온지학회 (41) : 335-368, 2014
19 이지은, "예술적 체험에 기반을 둔 주제 중심 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적용사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3 (43): 91-116, 2015
20 구본관, "언어 중심 교과 통합의 가능성 탐색" 국어국문학회 (176) : 299-340, 2016
21 박주형, "시각화를 통한 문학 텍스트 구체화 교육의 가능성 고찰" 국어국문학회 (179) : 35-87, 2017
22 "삼성미술관"
23 Vygotsky, L. S., "비고츠키의 사회 속의 정신" 양서원 2000
24 김주현, "미술대학 글쓰기 교육 체계: 교양 교과 예술 계열 글쓰기와 전공 교과 글쓰기 연계" 한국미술교육학회 29 (29): 163-186, 2015
25 고정희, "문학과 미술의 교육적 융합을 위한 제언 - 존 에버렛 밀레이의 그림 <오필리아>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40 : 39-72, 2016
26 고 원, "나는 ㄷㅜㄹ이다: 고원의 구체시와 사진" 이응과 리을 2004
27 김종삼, "김종삼 전집" 나남출판 2006
28 박민규, "김종삼 시에 나타난 추상미술의 영향" 민족어문학회 (59) : 377-401, 2009
29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0 홍성욱, "과학기술학의 관점에서 본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 영미문학연구회 (41) : 115-142, 2016
31 김정효,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기초한 STEAM 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한국 STEAM 교육의 원리와 수업 구상의 검토 -" 한국미술교육학회 27 (27): 123-152, 2013
32 정혜연, "고등학교 미술 이론. 경기도교육청 인정 교과서" 2018
33 장지성, "고등학교 미술" 천재교과서 2018
34 김지서, "감상용어의 정교화를 통한 고등학교 추상미술 감상 지도방안 연구 : 추상미술의 형식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18
35 신경림, "가난한 사랑노래 : 신경림 시집" 실천문학사 2013
36 김영아, "STEAM 교육을 활용한 주제 중심 동시 교육 사례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44) : 207-244,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