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미술 감상 교육에서 미술과 문학의 융합 = The Convergence of Art and Literature in the education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8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ignificance and instances of the teaching-learning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through convergence with literature. In the pre-existing discourse on convergence education, art was utilized in an instrumental capacity under the justific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convergence in art education must be applied when it actually contributes to teaching-learning by linking with areas outside of art. In view of this, this study does not deal with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 rather, it examines what significance the convergence of art and literature might hold vis-à-vis convergence education from the aspect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The education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is often conducted in the form of transferring knowledge regarding artworks. This is because, based on the work itself, viewers find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work’s context and to appreciate it in an independent manner. Focusing on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that gives rise to difficulties in appreciation – i.e., non-representation – and concretizing it through omission, symbolic coloration, composition and arrangement, these elements may be understood more effectively via convergence with literature. This is because the activity of understanding beforehand, via literary material, about these elements and how they accord with the overall significance of a work may serve as scaffolding for the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 Because language is used as the material, the rpretative context of literary texts that are characterized as being relatively more descriptive can be transferred to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nd play a scaffolding role. As such, the convergence of art and literature can help foster the capacity for active appreciation by facilitating access to the experience of independent appreciation.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ignificance and instances of the teaching-learning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through convergence with literature. In the pre-existing discourse on convergence education, art was utilized in an instru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ignificance and instances of the teaching-learning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through convergence with literature. In the pre-existing discourse on convergence education, art was utilized in an instrumental capacity under the justific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convergence in art education must be applied when it actually contributes to teaching-learning by linking with areas outside of art. In view of this, this study does not deal with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 rather, it examines what significance the convergence of art and literature might hold vis-à-vis convergence education from the aspect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The education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is often conducted in the form of transferring knowledge regarding artworks. This is because, based on the work itself, viewers find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work’s context and to appreciate it in an independent manner. Focusing on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that gives rise to difficulties in appreciation – i.e., non-representation – and concretizing it through omission, symbolic coloration, composition and arrangement, these elements may be understood more effectively via convergence with literature. This is because the activity of understanding beforehand, via literary material, about these elements and how they accord with the overall significance of a work may serve as scaffolding for the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 Because language is used as the material, the rpretative context of literary texts that are characterized as being relatively more descriptive can be transferred to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nd play a scaffolding role. As such, the convergence of art and literature can help foster the capacity for active appreciation by facilitating access to the experience of independent appreci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미술 감상 교육에서 문학과의 융합을 통한 교수‧학습이 가지는 의미와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융합 교육 담론에서 미술은 융합 교육 시행의 당위 아래 도구적으로 활용되곤 하였다. 그러나 미술교육에서 융합은 미술 외의 영역과의 연계가 교수‧학습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아닌, 융합 교육에 있어서 미술과 문학의 융합이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현대미술 감상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현대미술 감상 교육은 작품에 담긴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감상자가 그림 자체만으로는 맥락을 파악하고 주체적으로 감상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감상자들이 감상 시 주로 어려움을 느끼는 현대미술의 주된 특징 중 한 가지인 ‘비재현성’을 중심으로 이를 생략, 상징적 색상, 구도와 배열로 구체화해본다면 이 요소들은 문학과의 융합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해당 요소들이 전체적 의미와 조응하는 바를 문학 제재를 통해 선(先)이해하는 활동이 현대미술 감상의 비계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를 제재로 하였기에 상대적으로 설명적인 특성을 지니는 문학 텍스트에서의 해석 맥락은 현대미술의 감상에 전이되어 비계로 작용될 수 있다. 이처럼 미술과 문학의 융합은 주체적인 해석 경험에의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능동적인 감상 능력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현대미술 감상 교육에서 문학과의 융합을 통한 교수‧학습이 가지는 의미와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융합 교육 담론에서 미술은 융합 교육 시행의 당위 아래 도구적으...

      본 연구는 현대미술 감상 교육에서 문학과의 융합을 통한 교수‧학습이 가지는 의미와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융합 교육 담론에서 미술은 융합 교육 시행의 당위 아래 도구적으로 활용되곤 하였다. 그러나 미술교육에서 융합은 미술 외의 영역과의 연계가 교수‧학습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아닌, 융합 교육에 있어서 미술과 문학의 융합이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현대미술 감상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현대미술 감상 교육은 작품에 담긴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감상자가 그림 자체만으로는 맥락을 파악하고 주체적으로 감상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감상자들이 감상 시 주로 어려움을 느끼는 현대미술의 주된 특징 중 한 가지인 ‘비재현성’을 중심으로 이를 생략, 상징적 색상, 구도와 배열로 구체화해본다면 이 요소들은 문학과의 융합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해당 요소들이 전체적 의미와 조응하는 바를 문학 제재를 통해 선(先)이해하는 활동이 현대미술 감상의 비계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를 제재로 하였기에 상대적으로 설명적인 특성을 지니는 문학 텍스트에서의 해석 맥락은 현대미술의 감상에 전이되어 비계로 작용될 수 있다. 이처럼 미술과 문학의 융합은 주체적인 해석 경험에의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능동적인 감상 능력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승,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성격"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1) : 171-192, 2006

      2 노영덕, "추상미술의 미학적 이해 - 칸딘스키의 경우와 몬드리안의 경우 비교 -"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95-103, 2009

      3 서주희,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효과" 25 (25): 1-14, 2012

      4 곽춘옥,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문학 통합의 두 가지 유형-1~4학년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1) : 267-293, 2014

      5 오연화, "초등미술교과에서 상상표현을 위한 효과적인 발상 지도방안 연구 : 3, 4학년 평면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6 이육사, "청포도" 신라출판사 1999

      7 박성진, "창작을 통한 학습자의 동기화 신장과 미술-문학 통합예술교육의 연관성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8 (8): 39-54, 2010

      8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

      9 고정희, "자화상(自畵像)을 통한 미술과 문학의 융합 교육" 한국문학치료학회 47 : 119-160, 2018

      10 이원숙, "인식의 확장을 유도하는 예술계열 글쓰기" 6 : 185-211, 2013

      1 이재승,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성격"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1) : 171-192, 2006

      2 노영덕, "추상미술의 미학적 이해 - 칸딘스키의 경우와 몬드리안의 경우 비교 -"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95-103, 2009

      3 서주희,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효과" 25 (25): 1-14, 2012

      4 곽춘옥,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문학 통합의 두 가지 유형-1~4학년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1) : 267-293, 2014

      5 오연화, "초등미술교과에서 상상표현을 위한 효과적인 발상 지도방안 연구 : 3, 4학년 평면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6 이육사, "청포도" 신라출판사 1999

      7 박성진, "창작을 통한 학습자의 동기화 신장과 미술-문학 통합예술교육의 연관성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8 (8): 39-54, 2010

      8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

      9 고정희, "자화상(自畵像)을 통한 미술과 문학의 융합 교육" 한국문학치료학회 47 : 119-160, 2018

      10 이원숙, "인식의 확장을 유도하는 예술계열 글쓰기" 6 : 185-211, 2013

      11 윤지영, "인문 융복합 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국문학이라는 근대의 경계에서 마을 만들기 -" 한국문학연구소 (53) : 477-510, 2017

      12 고영자, "이육사 시정신 고찰" 현대문학이론학회 (26집) : 25-45, 2005

      13 김임구, "의미의 구체시* — 고원의 시집 『나는 ㄷㅜㄹ 이다』에 대한 하나의 독법" 독일어문화권연구소 (15) : 143-157, 2006

      14 Sousa, D. A., "융합인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다빈치books 2014

      15 박수정,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미술의 역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30 (30): 161-192, 2016

      16 백윤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17 김시정, "융복합 교육의 양상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국어교육학회 (43) : 125-153, 2012

      18 강성숙, "예체능 계열 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온지학회 (41) : 335-368, 2014

      19 이지은, "예술적 체험에 기반을 둔 주제 중심 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적용사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3 (43): 91-116, 2015

      20 구본관, "언어 중심 교과 통합의 가능성 탐색" 국어국문학회 (176) : 299-340, 2016

      21 박주형, "시각화를 통한 문학 텍스트 구체화 교육의 가능성 고찰" 국어국문학회 (179) : 35-87, 2017

      22 "삼성미술관"

      23 Vygotsky, L. S., "비고츠키의 사회 속의 정신" 양서원 2000

      24 김주현, "미술대학 글쓰기 교육 체계: 교양 교과 예술 계열 글쓰기와 전공 교과 글쓰기 연계" 한국미술교육학회 29 (29): 163-186, 2015

      25 고정희, "문학과 미술의 교육적 융합을 위한 제언 - 존 에버렛 밀레이의 그림 <오필리아>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40 : 39-72, 2016

      26 고 원, "나는 ㄷㅜㄹ이다: 고원의 구체시와 사진" 이응과 리을 2004

      27 김종삼, "김종삼 전집" 나남출판 2006

      28 박민규, "김종삼 시에 나타난 추상미술의 영향" 민족어문학회 (59) : 377-401, 2009

      29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0 홍성욱, "과학기술학의 관점에서 본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 영미문학연구회 (41) : 115-142, 2016

      31 김정효,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기초한 STEAM 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한국 STEAM 교육의 원리와 수업 구상의 검토 -" 한국미술교육학회 27 (27): 123-152, 2013

      32 정혜연, "고등학교 미술 이론. 경기도교육청 인정 교과서" 2018

      33 장지성, "고등학교 미술" 천재교과서 2018

      34 김지서, "감상용어의 정교화를 통한 고등학교 추상미술 감상 지도방안 연구 : 추상미술의 형식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18

      35 신경림, "가난한 사랑노래 : 신경림 시집" 실천문학사 2013

      36 김영아, "STEAM 교육을 활용한 주제 중심 동시 교육 사례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44) : 207-244,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