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미술교육의 핵심 역량으로서 창의적 사고 역량에 대한 논의 = A Study on Creative Thinking Competencies in School Ar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87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tional interest in ‘convergence technology’ has been linked to ‘Convergent Human Resources Education(so called, STEAM education), and the education system also has been focusing on ’creativity’, ‘convergent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at emphasizes ‘creativity & convergenc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how the ‘creativity’ and ‘convergence’ as core competenci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has as much relevance as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09. Since the content categories of ‘creativity & convergence’ in the current curriculum are different from the ‘General Summary’,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at is core competencies of creative & convergence in school art education, and what is done by school level. Core competencies highlighted in the curriculum are achieved through linked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junior-high and senior-high school art textbooks according to the current curriculum, and contents activities related to creativity & convergence by school grad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creative thinking’ instead of ‘creativity & convergence’ as core competencies would foster school art education for the next National Art Curriculum, and ‘convergence’ should be treated as a methodical tool to be utilized for this purpose. Discussions on core competencies will continue i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various ideas related to ‘creativity’ and ‘convergence’ should be shared.
      번역하기

      The national interest in ‘convergence technology’ has been linked to ‘Convergent Human Resources Education(so called, STEAM education), and the education system also has been focusing on ’creativity’, ‘convergent thinking’, ‘problem so...

      The national interest in ‘convergence technology’ has been linked to ‘Convergent Human Resources Education(so called, STEAM education), and the education system also has been focusing on ’creativity’, ‘convergent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at emphasizes ‘creativity & convergenc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how the ‘creativity’ and ‘convergence’ as core competenci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has as much relevance as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09. Since the content categories of ‘creativity & convergence’ in the current curriculum are different from the ‘General Summary’,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at is core competencies of creative & convergence in school art education, and what is done by school level. Core competencies highlighted in the curriculum are achieved through linked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junior-high and senior-high school art textbooks according to the current curriculum, and contents activities related to creativity & convergence by school grad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creative thinking’ instead of ‘creativity & convergence’ as core competencies would foster school art education for the next National Art Curriculum, and ‘convergence’ should be treated as a methodical tool to be utilized for this purpose. Discussions on core competencies will continue i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various ideas related to ‘creativity’ and ‘convergence’ should be sha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융합기술에 대한 국가적 관심은 융합인재교육(STEAM)으로 연결되었으며, 학교교육에서도 창의성, 융합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등을 강조한 국가 교육과정을 개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창의·융합은 창의와 융합의 당위성만 있을 뿐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인성만큼이나 둘의 조합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창의적 사고 역량과는 달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융합 역량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의 달성을 위하여 학교미술교육에서 학습 활동들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를 점검해본다면 두 요소간의 조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창의·융합교육의 기본이 되는 STEAM 및 A-STEAM을 살펴보았으며,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제시된 창의·융합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학습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의 달성은 한 두 개의 단원이나 활동으로 달성되는 것이 아니라 연계적인 학습에 의해 전체적인 교육의 결과로서 완성된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일반 단원이나 관련 학습 활동에서 창의와 융합은 각각 제시되거나 방법적 논의로서 융합이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학교급별로 이의 적용에 있어 내용과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융합의 개념와 의미에 일관성이 결여된 점은 문제라고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와 융합에 기초한 혁신적인 사고는 사회적으로도 꾸준히 강조되고 있는 바,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이를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 학교미술교육에서 육성해야 하는 핵심 역량으로서 ‘창의·융합 역량’ 대신 ‘창의적 사고 역량’을 제안하였다. 둘째, 융합은 창의적 사고 역량의 달성을 위하여 활용해야 하는 하나의 선택적, 방법적 도구로서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핵심 역량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인 바, 미술교과의 창의 및 융합과 관련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공유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번역하기

      융합기술에 대한 국가적 관심은 융합인재교육(STEAM)으로 연결되었으며, 학교교육에서도 창의성, 융합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등을 강조한 국가 교육과정을 개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2015...

      융합기술에 대한 국가적 관심은 융합인재교육(STEAM)으로 연결되었으며, 학교교육에서도 창의성, 융합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등을 강조한 국가 교육과정을 개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창의·융합은 창의와 융합의 당위성만 있을 뿐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인성만큼이나 둘의 조합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창의적 사고 역량과는 달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융합 역량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의 달성을 위하여 학교미술교육에서 학습 활동들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를 점검해본다면 두 요소간의 조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창의·융합교육의 기본이 되는 STEAM 및 A-STEAM을 살펴보았으며,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제시된 창의·융합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학습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의 달성은 한 두 개의 단원이나 활동으로 달성되는 것이 아니라 연계적인 학습에 의해 전체적인 교육의 결과로서 완성된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일반 단원이나 관련 학습 활동에서 창의와 융합은 각각 제시되거나 방법적 논의로서 융합이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학교급별로 이의 적용에 있어 내용과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융합의 개념와 의미에 일관성이 결여된 점은 문제라고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와 융합에 기초한 혁신적인 사고는 사회적으로도 꾸준히 강조되고 있는 바,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이를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 학교미술교육에서 육성해야 하는 핵심 역량으로서 ‘창의·융합 역량’ 대신 ‘창의적 사고 역량’을 제안하였다. 둘째, 융합은 창의적 사고 역량의 달성을 위하여 활용해야 하는 하나의 선택적, 방법적 도구로서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핵심 역량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인 바, 미술교과의 창의 및 융합과 관련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공유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획재정부, "혁신성장 전략 투자 방향 발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한 5개년 로드맵 만든다"

      3 김정선, "초등학교 4" 동아출판㈜ 2018

      4 류재만, "초등학교 4" ㈜천재교육 2018

      5 김성숙, "초등학교 4" 도서출판지학사 2018

      6 안금희, "초등학교 4" ㈜천재교과서 2018

      7 김정선, "초등학교 4" ㈜금성출판사 2018

      8 이은적, "초등학교 4" ㈜비상교육 2018

      9 김정선, "초등학교 3" ㈜금성출판사 2018

      10 안금희, "초등학교 3" ㈜천재교과서 2018

      1 기획재정부, "혁신성장 전략 투자 방향 발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한 5개년 로드맵 만든다"

      3 김정선, "초등학교 4" 동아출판㈜ 2018

      4 류재만, "초등학교 4" ㈜천재교육 2018

      5 김성숙, "초등학교 4" 도서출판지학사 2018

      6 안금희, "초등학교 4" ㈜천재교과서 2018

      7 김정선, "초등학교 4" ㈜금성출판사 2018

      8 이은적, "초등학교 4" ㈜비상교육 2018

      9 김정선, "초등학교 3" ㈜금성출판사 2018

      10 안금희, "초등학교 3" ㈜천재교과서 2018

      11 류재만, "초등학교 3" ㈜천재교육 2018

      12 이은적, "초등학교 3" ㈜비상교육 2018

      13 김성숙, "초등학교 3" 도서출판지학사 2018

      14 김정선, "초등학교 3" 동아출판㈜ 2018

      15 이정묘, "초등 미술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한국조형교육학회 (53) : 153-175, 2015

      16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17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1]"

      18 배상민, "창의적 디자인과 그를 통한 사회 공헌 활동" 9-12, 2018

      19 김경자,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과 행복 교육으로의 전환"

      20 연혜경, "중학교 미술 ②" ㈜미래엔 2018

      21 현은령, "중학교 미술 ②" ㈜리베르스쿨 2018

      22 연혜경, "중학교 미술" ㈜미래엔 2018

      23 장연자,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술교육의 방향"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52 : 67-94, 2018

      24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2]"

      25 백윤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26 홍성욱, "융합이란 무엇인가" 사이언스 북스 2012

      27 LG Global Challengers, "융합의 시대가 요구하는 힘. 창의력"

      28 박찬길, "융합, 인문학의 살 길인가" 영미문학연구회 (41) : 12-34, 2016

      29 백윤수,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30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4]"

      31 교육부,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32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33 "서울 및 수도권 지하철 노선도"

      34 Kieran, E., "상상력 교육. 미래학교를 디자인하다" ㈜학지사 2014

      35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36 ID+IM, "사운드 스프레이"

      37 교육부, "사람 중심 창의·융합교육. 인재 성장 지원한다"

      38 교육부,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

      39 이주연, "미술과 핵심 역량 재구조화 방안" 한국조형교육학회 (64) : 135-154, 2017

      40 미래엔, "미술과 중심 타교과의 융합 활동" ㈜미래엔 2018

      41 미래엔, "미술과 소리의 융합 활동" ㈜미래엔 2018

      42 교육부, "미술과 교육과정"

      43 이재호,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은? 인성, 전문성, 메이킹 창의·융합 역량갖춰라"

      44 이주연, "미래 사회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조형교육학회 (66) : 245-269, 2018

      45 ID+IM, "마사이 스마트 지팡이"

      46 김형숙, "디자인 씽킹으로 일 잘하는 방법" 초록비책공방 2018

      47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6]"

      48 고명철, "다의적 융합 개념의 이해를 통한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간 융합연구 촉진방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959-968, 2017

      49 Kieran, E., "깊은 학습, 지식의 바다로 빠지다" ㈜ 학지사 2014

      50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5]"

      51 김경자, "국가 교육과정 무엇을 왜 개정하는가?" 1-35, 2014

      52 박정렬, "교육 안에 예술이 녹아들어야. 2011 서울예술교육 파트너데이 네트워크 포럼"

      53 홍성욱, "과학기술학의 관점에서 본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 영미문학연구회 (41) : 115-142, 2016

      54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55 조익환, "고등학교 미술" 씨마스 2018

      56 조우호, "고등학교 미술" ㈜미래엔 2018

      57 장지성, "고등학교 미술" ㈜천재교과서 2018

      58 서예식, "고등학교 미술" ㈜해남에듀 2018

      59 안혜리, "고등학교 미술" ㈜지학사 2018

      60 현영호, "고등학교 미술" ㈜비상교육 2018

      61 김형숙, "고등학교 미술" ㈜교학도서 2018

      62 Goldman, S., "Taking design thinking to school" Routledge 2017

      63 MakerEdKorea, "Maker movement"

      64 Yayici, E., "Design thinking methodology book" ArtBizTech 2016

      65 Lee, D., "Design thinking in the classroom" Ulysses Press 2018

      66 Liedtka, J., "Design thinking for the greater good innovation in the social sector"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7

      67 Gallagher, A., "Design thinking for school leaders" ASCD 2018

      68 Giudice, M., "DEO의 시대가 온다" ㈜이퍼블릭 2015

      69 강도현, "A-STEAM 프로그램의 감성적 체험 내용 분석" 한국조형교육학회 (52) : 1-32, 2014

      70 김경자,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안)의 기본 방향에 대한 소통과 논의" 3-19, 2014

      71 박소영,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72 박소영,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